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트렌드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안전저널] 근로자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염명수

근로자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안전저널, 2025.05.28

글 : 염명수 (주)아이엔엑스 / 디자인컨설턴트

 


필자는 지난 3회차 칼럼에서 안전디자인 3원칙(▲유니버설 디자인 ▲행동유도 디자인 ▲사용자경험 디자인)을 제시했다. 그리고 각 원칙이 무엇을 의미하고 왜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어지는 칼럼에서 순차적으로 소개하겠다고 마무리한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먼저 언급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과 사례를 중심으로 활용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고자 한다.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제품, 시설,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사람이 성별, 나이, 장애, 언어 등으로 인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흔히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 또는 '범용디자인'이라고 한다. 다양한 근로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디자인 원칙이다.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유니버설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을 핵심으로 한다. 즉 연령과 성별, 국적(언어), 장애의 유무 등으로 인한 차별이 없도록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 건축·환경, 서비스 등을 구현하는 모든 활동과 그 결과물을 포함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1960년대 장애인을 위해 도로 및 보행로의 물리적 단차를 해결하고자 하는 ‘장애의 극복’이라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했다. 이후 점차 물리적 장애는 물론 인간 개개인의 특성이나 신체적 차별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제한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보편성이 강조된 ‘유니버설 디자인’, 즉 범용디자인의 개념으로 확장됐다.

유니버설 디자인이 무엇인가를 명확히 제시하는 ‘7가지 원칙(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1)’은 다음과 같다.2)
1. Equitable :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
2. Flexibility in Use : 어떠한 환경·상황에서도 필요한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가
3. Simple and Intuitive :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가
4. Perceptive Information :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구조와 대안이 있는가
5. Tolerance for Error : 오류를 예방하거나 원상태로 쉽게 복귀할 수 있는가
6. Low Physical Effort : 자연스러운 자세로 사용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가
7.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이용자가 모두 접근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가


유니버설 디자인 7가지 원칙(출처: center of universal design at NC state)
 
일상 속 유니버설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은 7원칙이 공표된 이후 30여 년 동안 점진적으로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켜 온 중요한 작동 원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차가 없는 마트 출입구나 전철 게이트도, 위험시 긴급하게 눌러야 하는 안전벨도, 한 손으로 여닫는 출입문 손잡이도 모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됐다. 또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는 산업사회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은 다방면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으며, 개인의 삶에 대한 가치가 중요해질수록 그 역할이나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나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이자 프레임워크로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장애가 있는 사람은 물론, 손에 아이를 안고 있거나 짐을 들고 있어도 음성이나 발로 엘리베이터를 부를 수 있는 ‘터치리스 엘리베이터(Touchless Elevator)’, 색약자도 빠르게 식별할 수 있는 출구 안내, 휠체어 사용자도 여유롭게 즐길 수 있는 편리한 산책로,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보행신호, 다양한 키높이에 맞춘 지하철 손잡이, 글씨가 또렷하게 보이는 서체 등 일상 곳곳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은 활용되고 있다. 일상이 조금 더 편리해졌거나 특정 제품을 사용하기가 쉬워졌다면 유니버설 디자인이 활용되고 있는 사례일 수도 있다.
 

서울시 이촌한강공원에 마련된 '모두를 위한 피크닉 풀'. 무장애 피크닉 공간, 개인형 피크닉 공간, 평상형 피크닉 공간, 스탠드형 피크닉 공간 등 여러 유형의 시설이 마련됐다. (사진제공=뉴시스)


냉온수를 알 수 있는 안내표지(출처: 내손안의 서울)

산업현장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요성

미국 노동부(U.S. Department of Labor) 공식 홈페이지에도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제품, 환경, 운영체제 및 서비스를 가능한 한 다양한 사람들이 환영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3)’이며 고령화나 장애는 물론 더욱 광범위한 영역에서, 즉 우리 대부분은 매일 유니버설디자인의 혜택을 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배경, 요구사항 및 능력을 가진 직원과 고객에게 포용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수익성과 성공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1927년 국제노동기구(ILO)의 후원으로 설립된 국제사회보장협회(ISSA)4)의 ‘기계 및 시스템 안전(Machine and System Safety)’섹션5)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인적요인 및 인체공학(HF&E, Design in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기반 작업 시스템 설계 전략으로 소개하고 있다. 작업 시스템과 기계류 작업 설계 시, 다양한 작업자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을 반영한 포괄적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시간의 지남에 따라 인간-시스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미래지향적인 작업 시스템 체계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작업시스템 유니버설 디자인 고려사항

출처: www.safe-machines-at-work.org

즉 유니버설 디자인이 작업공간에서의 고려사항은 물론 디스플레이와 컨트롤 배치·위치에 대한 사항, 정보처리에 대한 사항 등 작업 시스템 분야를 설계할 때 필수적인 요소로 다뤄지고 있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서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이 ‘안전’의 필수적 요소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안전 이상의 사용성과 편의성’에 중요한 원칙이라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근로자와 유니버설 디자인

특히 근로자를 위한 환경, 제품, 시설에 왜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이 중요한지 꼭 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근로자는 대부분의 작업공정에서 실제로 좁고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고 있으며, 무거운 도구나 설비를 나르고 이동하기도 한다. 또는 지게차를 운행하느라 시야 일부가 가려지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상당수의 근로자는 현장에서 한 손을 쓸 수 없거나 몸을 움직이기 어렵고 시야가 좁아지는 등의 일시적 혹은 상황적 장애6)상태를 매일, 매순간 당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과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산업현장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즉 누구나 작업현장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일할 수 있도록, 직관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시설을 제공하고 배치하기 위해서, 작업공정 모든 방면에서 좋은 환경과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유니버설 디자인은 어느 곳에나 어디서나 필수적인 고려사항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안전표지나 사인과 같이 시각적인 개선은 물론, 산업-작업-시스팀 전반에 유니버설 디자인은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론이자 실제이며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의제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이 글을 마친다.

[주석]
1)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미국 건축가 로널드 메이스(Ronald Mace)가 처음 제안했으며,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유니버설디자인센터에서 다음과 같은 7가지 원칙을 정리했다. 
https://disabilityandmultimodality.wordpress.ncsu.edu/

2) www.designdb.com, 유니버설 디자인
3) 미국 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dol.gov/agencies/odep/program-areas/employment-supports/universal-design
4) 1927년에 설립된 국제사회보장협회(ISSA,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Association)는 사회보장기관, 정부 부처 및 기관을 위한 국제기구로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의 후원으로 설립됐다. 현재 160개국 이상에서 320개 이상의 회원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www.issa.int/about/the-issa
5) 국제사회보장협회(ISSA) 예방 특별위원회의 14개 국제 예방 섹션 중 하나로, 기계 및 시스템 안전 분야에서 직장의 안전과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www.safe-machines-at-work.org
6) 마이크로소프트 인클루시브 디자인 가이드에서는 신체적인 장애와 같이 팔을 다쳤거나 아기를 안고 있는 등의 상태 역시 장애이며 이를 ‘일시적 혹은 상황적 장애(temporary, and situational disabilities)’로 구분함. https://inclusive.microsoft.design/

* 출처 : 안전저널 


목록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