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일본 워터서버 시장 동향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세부 HS 코드

상품명

841869

8418 (4자리)

냉장고냉동고 기타 냉장용 또는 냉동용 기기(전기식 또는 비전기식 구분 없음및 히트펌프

841869 (6자리)

841869091 (9자리)

냉장용 또는 냉동용 기기(무게가 100킬로그램 이하인 것에 한함)

* 주: 이 글은 한국에서 일본으로의 수출 통계 및 일본 세관의 사전 교시 답변을 참고해 세부품목인 '워터서버'에 관해 작성

[자료관세법령정보포털일본 수입통계품목표]

 

일본 전기용품안전법에선 워터서버를 "온수를 생성하는 기능과 냉수를 생성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갖춘 것으로, 가정배수(물병)를 공급하는 복합 전기장치"로 정의한다. 한국에서 흔히 '정수기(浄水器)'라고   사하나, 일본에서 칭하는 정수기(浄水器)는 단순히 사람이 음용하기 위한 목적 뿐 아니라, 수영장, 반도체 제조 등 공정에 필요한 액체용 여과기를 통칭한다. 이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사람의 음용목적을 위한 것에 한정해 작성하며, 현지 통용 용어인 '워터서버'를 사용한다.

 

워터서버는 그 사양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물 공급 방식에 따른 분류로는 사용자에게 택배로 배송된 물병을 워터서버에 직접 장착해 사용하는 ‘가정배수형’과 수도 시설에서 워터서버로 직접 물을 공급받는 ‘정수형’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음용수의 종류에 따른 분류도 존재한다. 가정배수 제조공장에서 병에 담기는 물이 천연수인지, 혹은 RO수*인지에 따라 ‘천연수형’과 ‘RO수형’으로 나뉜다. 설치된 워터서버에서 수돗물을 정수해 사용하는 경우는 ‘수돗물 직결형’ 또는 ‘수돗물 충전형’으로 분류된다. 마지막으로, 물병 형태도 중요한 분류 기준이다. 사용한 물병을 회수해 세척·살균 후 재사용하는 ‘리턴형’과, 한 번 사용 후 폐기하는 ‘원웨이형’으로 나뉜다. RO수는 리턴형, 천연수는 원웨이형 방식을 주로 채택한다.

* 주: RO수란, 역삼투압(RO) 필터를 이용해 물 분자 외의 유해물질이나 불순물을 제거한 고순도 정제수를 의미

 

<워터 서버의 분류>

 

[자료: KOTRA 도쿄무역관 작성]

 

시장 동향

 

일본의 워터서버(가정배수)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1920억 엔으로 추산된다. 이는 워터서버 본체의 생산·판매 규모가 아닌, 워터서버 렌탈 및 물병 정기배송 사업자의 매출을 기준으로 한 수치로, 서버 자체의 시장 규모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최근 일본의 가정용 물 배달 시장은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름철 폭염, 지진·태풍·폭우 등 자연재해 증가에 따른 비상용 물 비축 수요가 확대됐으며, 유기불화화합물(PFAS) 검출 이슈로 수돗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점도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운송비, 연료비, 인건비 상승은 시장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터서버 본체는 일반적으로 렌탈 형태로 제공되며, 일부를 제외하고는 소유권은 기업에 있고, 관리는 사용자에게 맡겨진다. 이에 따라 안전성, 위생,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물탱크를 본체 하단에서 세팅할 수 있는 방식이 등장하면서 무거운 물탱크를 들어 올리지 않아도 교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령자 등에게 호응을 얻고 있으며, 수소수·탄산수 기능이나 정밀한 온도 조절이 가능한 고기능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디자인 역시 일본의 협소한 주거 환경을 고려해 슬림한 형태를 갖추고, 다양한 색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일본 내 워터서버 보급률은 약 4% 수준으로, 미국(약 50%), 중국(약 32%), 한국(약 60%)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그러나 일본 시장에서 유통되는 워터서버 본체 대부분이 한국산으로, CLOVER, SEONE, AQUA GLORY 등 한국 제조업체가 주요 공급처로 자리 잡고 있다. 이들 기업은 일본 가정배수&서버협회(JDSA)의 찬조회원이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일본의 ‘HS 841869’(기타 냉난방 기기 등) 품목 수입액은 2억2497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3% 증가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0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국가별 수입액을 살펴보면 1위는 8806만 달러(전년 대비 12.58% 감소)를 기록한 중국이었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24년에는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2012년부터 13년 동안 꾸준히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2위인 한국은 5808만 달러(전년 대비 24.82% 증가)를 기록하며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양국은 전체 수입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과점 체제를 형성 중이다. 

 

세부 품목 중 워터서버에 해당하는 ‘HS 841869091’의 경우, 2024년 일본의 한국산 수입액은 5452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59% 증가하며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 워터서버의 일본 시장 내 영향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의 최근 3년 HS 8418.69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증감율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163,548

220,486

224,973

100.00

100.00

100.00

2.03

1

중국

75,464

100,733

88,063

46.14

45.69

39.14

-12.58

2

대한민국

16,631

46,534

58,085

10.17

21.11

25.82

24.82

3

미국

15,959

17,933

18,407

9.76

8.13

8.18

2.65

4

호주

4

7,979

15,134

0.00

3.62

6.73

89.67

5

이탈리아 

7,908

9,180

6,820

4.84

4.16

3.03

-25.71

6

독일 

6,175

5,398

5,884

3.78

2.45

2.62

9.01

7

프랑스 

7,627

5,765

5,058

4.66

2.61

2.25

-12.27

8

아일랜드

7,236

2,409

4,490

4.42

1.09

2.00

86.41

9

말레이시아

5,929

4,947

4,432

3.63

2.24

1.97

-10.42

10

대만 

3,513

3,196

3,430

2.15

1.45

1.52

7.34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15.)]

 

<일본의 최근 3년 HS 8418.69.091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증감율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45,210

83,188

94,655

100.00

100.00

100.00

13.78

1

대한민국

11,114

43,418

54,529

24.58

52.19

57.61

25.59

2

중국

19,692

24,517

25,246

43.56

29.47

26.67

2.98

3

말레이시아

5,239

4,311

4,187

11.59

5.18

4.42

-2.87

4

미국

1,499

4,310

4,124

3.32

5.18

4.36

-4.33

5

독일

570

815

2,414

1.26

0.98

2.55

196.19

6

대만

2,827

2,735

1,667

6.25

3.29

1.76

-39.03

7

스위스

766

789

550

1.69

0.95

0.58

-30.24

8

멕시코

199

172

547

0.44

0.21

0.58

217.32

9

베트남 

2,143

599

434

4.74

0.72

0.46

-27.45

10

필리핀

-

-

254

-

-

0.27

-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15.)]

 

경쟁동향

 

제조사명

이미지

특징

프리미엄 워터


- 가정배수 업계 최대 기업 

- 주요 제품명은 "famfit2"로 물탱크의 설치 위치가 하단에 있어 탱크 교체가 용이

- 또한 회사 최초로 '전면 냉수 버튼'을 탑재

- 어린이도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냉수 전용 출수 버튼을 설치해 안전성과 편리성을 추구

프리미엄 워터

 

- 정수형 서버 "Slim-RⅡ" 모델

- 어떤 공간에도 어울리는 심플한 디자인

- 약 90℃까지 재가열하는 재가열 기능급수 탱크 내 UV 살균 기능 탑재로 위생적

- 업계 최저 수준의 월 2,780엔 정액제

재팬워터


- "재팬워터 후지산 천연수"는 오리콘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5년 연속 종합 1위 기록

서버 기능 및 병 교체 용이성 부문 1위, 디자인 부문 3위를 차지하며 서버 본체뿐만 아니라 종합적으로 사용자에게 어필

[자료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워터서버의 유통 구조는 공급 방식에 따라 리턴형과 원웨이형으로 구분된다. 리턴형은 자사, 그룹사 또는 대리점이 직접 고객에게 제품을 배송하며, 회수 및 세척·살균 과정을 포함한다. 반면, 원웨이형은 택배 업체를 활용해 배송되며, 물병 회수 없이 일회용으로 제공된다. 이는 배송망을 자체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없고 야간 및 주말 배송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어, 신규 진입 기업들은 대부분은 물류 인프라 구축이 불필요하고 유연한 배송이 가능한 원웨이 방식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물류비 증가에 대응해, 혼합적재 방식 도입, 포장 간소화, 재배송 억제, 채수지*와 배송지 간 거리 단축 등 다양한 비용 절감 전략이 시도되고 있다. 일례로 천연수를 공급하는 경우 배송지와 가까운 채수지로부터 공급해 배송 비용을 절감하고 지산지소**를 도모하는 기업이 있다. 특히 정수형 서버는 배달이 필요 없어 물류 부담이 적다는 점에서, 기존 가정배수형 고객의 전환 수요까지 유입되며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 주: 물을 채집하는 곳 ()

** 주지역에서 생산한 것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지칭

 

관세율

<적용 관세율>

HS코드

관세율

841869

기본, WTO협정 모두 무관세(무세)

[자료관세법령정보포털일본 수입통계품목표]

 

인증

 

일반사단법인 일본택배 및 서버협회(JDSA)가 발간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일본 내 워터서버 관련 제조 및 판매는 식품위생법, 전기용품안전법(PSE 마크) 등 관련 법령의 적용을 받는다. 그 외에도 프레온가스 등 특정 부품 사용 여부에 따라 적용 법규가 달라질 수 있어, 사전 확인이 중요하다. 임의 인증으로는 JDSA가 정한 영유아 화상사고 방지 기준을 충족한 제품에 부여되는 ‘JDSA 적합 마크’가 있으며, 일부 제조사는 항균성과 안전성을 충족한 제품에 SIAA 마크(일반사단법인 항균제품기술협의회), SEK 마크(섬유평가기술협의회) 등을 획득해 제품 안전성을 고객들에게 어필하며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시사점


일본의 워터서버 시장은 급성장보다는 안정적인 우상향 추세를 보인다. 현재 일본 시장에 유통되는 서버 본체의 대부분이 한국산이라는 점에서, 한국 기업에는 긍정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돼 있다고 평가된다. 일본 내 보급률이 낮다는 점에서 향후 시장 확대 여력도 충분하다. 또한 일본 내 워터서버 보급률이 아직 4%라는 보고도 있어 시장 확대 여력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운송비 절감 니즈의 확산과 함께 정수형 서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워터서버 업계의 구조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 N 씨는 “물 그 자체로는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에 워터서버 본체의 고기능화, 에너지 절약, 디자인 혁신에 대한 수요가 높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일본 워터서버 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재무성 수입통계품목표, 일본 세관JDSA, Global Trade Atlas, 프리미엄 워터, 재팬워터, KOTRA 도쿄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원문기사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90&CONTENTS_NO=2&bbsGbn=254&bbsSn=254&pNttSn=229383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