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이름: Simon Busse와 Echo Lamp

분야
등록일
작성자
조회수367
산업디자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국가중 하나인 독일. 그만큼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타 디자이너들도 넘쳐난다. 리포트를 통해서 몇차례 유명 디자이너들을 소개한 적이 있지만, 이번에 소개할 Simon Busse (사이먼 부세)는 비교적 덜 알려진 이름이다. 하지만 최근 조명과 가구 씬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독일 디자이너를 꼽으라면 빼놓지 않고 거론되는 이름이기도 하다.
최근 디자인 잡지인 Wallpaper의 Smart Space 2022 디자인 어워드 (Wallpaper* Smart Space Awards 2022 winners: best design and tech for the home)에서 불려진 이름이기도 한 Simon을 소개한다. (모든 수상작들을 보려면 여기로: LINK)
Wallpaper* Smart Space Awards 2022 (이미지 출처: wallpaper.com/technology/wallpaper-smart-space-awards-2022-enter-now)
Wallpaper에 의 해 선정된 Echo Lamp는 독일의 대표적인 디자인 가구 브랜드 Caussa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졌다. Caussa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다음 리포트로 기약하고 Caussa가 소개하는 Simon을 들어보자. Simon의 디자이너 경력은 2005년부터 시작됐다. 슈투트가르트를 베이스로 산업제푼, 및 가구, 조명, 부대 공간 등 다양한 영역의 디자인 작업을 해오고 있는 Simon는 여러 국제 디자인대학에서 강연을 펼치며 교육자의 활동도 하지만, 그의 가치는 역시 여러 디자인 작업에서 빛나고 있다. Simon Busse 스튜디오의 작업은 기능적이면서 동시에 미학적으로 완성도 있는 오브제와 그것이 놓이는 공간과의 조화에 가치를 두고 있다.
작업실에서 스케치 중인 Simon Busse (이미지 출처: thefuturepositive.com/projects/simon-busse)
수상작 Echo Lamp를 살펴보자. 모듈형 탁상램프 Echo는 자연스럽게 높낮이와 각도 조절, 동시에 발광 조절까지 가능한 모든 기능을 극히 심플한 조형으로 풀어냈다. LED 광원이 있는 원형 헤드는 회전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 조명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램프 베이스 레일 내에서 높이를 쉽게 조절 할 수 도 있다. 이 두가지 움직임의 조합을 통해 원하는 모든 곳으로 빛을 보낼 수 있고 센서가 탑재된 헤드에 간단한 손동작을 통해 조명을 켜고 끌 수 있다.
Echo Lamp BLue와 제스처 컨트롤 (이미지 출처: caussa.de)
소리굽쇠의 형상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이 매력적인 램프는 책상용 램프로 혹은 침대 옆 독서등으로 혹은 천장을 향하게 해서 무드램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공간을 최대한 절약한 재생 종이 상자에 평평하게 포장된 램프는 소비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흑백과 빨강 파랑 총 네가지의 선택을 준다.


각 모듈이 분해되어 배달되는 Echo Lamp, White와 Red Version (이미지 출처: caussa.de)
Simon Busse Studio에서 디자인한 Echo 램프는 제작사인 Caussa의 웹사이트에서도 만날 수 있지만, 아직 한국에는 정식 판매되지는 않고 있는 듯하다. Echo 램프 하나만으로도 기억하고 기록해두고, 가끔씩 들여다 볼만한 독일 디자이너의 이름 하나가 늘었으리라 생각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가구와 공간 디자인을 해온 Simon의 디자인 세계는 스튜디오 웹사이트 (simon-busse.com)에서 확인해보자.
참고 사이트 / 자료
caussa.de
simon-busse.com
양성철(독일)
imaginemade@gmail.com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졸업
(현)Phoenix Design 수석디자이너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영리를 목적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를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 게재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필자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의 내용은 designdb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