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숙박 패러다임의 최전선 _ ‘낫 어 호텔(NOT A HOTEL)’_1
분야
등록일
작성자
조회수946

@NOT A HOTEL
‘호텔이 아니다(Not a hotel)’라고 명시함으로써 오히려 ‘호텔’이라는 개념이 더 강하게 떠오른다. 이미 ‘호텔’이라는 단어를 통해 프레임이 활성화 된 이상, 호텔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리고 나타나는 최고급 빌라형태의 ‘호텔’처럼 보이는 사진들과 그 건축을 설계하고 내부를 디자인한 명성 높은 크리에이터들. 자본이 동력으로 작용하는 사회에서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물건’을 ‘더’있어 보이게 포장하는 방식은 다양하고 영리한 접근이 필요하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크게 ‘소비’하는 ‘집’의 또 다른 형태인 ‘별장’멤버십이 등장했다. 그 수는 적고, 수요자의 스펙트럼 또한 명확하다. ( 하지만 최근에는 고객층을 넓히기 위한 진화가 한창이다. )
한번 소유권을 구매하면 ‘낫 어 호텔(NOT A HOTEL)’그룹 내 다양한 장소들을 이용할 수 있다. 홈페이지에는 ‘당신은 멤버쉽이 아니라 소유권을 사는 겁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시스템을 살펴보면 보면 멤버십 제도인데, 구매로 얻는 것은 ‘멤버십’이 아닌 ‘소유권’이라고 주장한다. 흔히 사용되는 ‘멤버십’이라는 단어가 부정형 문장 뒤로 영리하게 숨어버렸다. 굳이 가치를 따지자면, 멤버십보다 소유권을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반영한 어휘 선택이지 않았을까. 멤버십(Membership)의 장점인 해당 그룹의 혜택이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소유권의 특징인 자산에 대한 완전한 법적 권리를 가지게 되지만 단독 소유는 아닌, 새롭지만 애매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냈다. 경계의 이쪽도 저쪽도 아닌 곳에서 새로운 비즈니스가 탄생한다. 호텔도 아니요 멤머십도 아니라고 하지만 호텔과 멤버십의 개념을 빌려 말할 수 밖에 없는, 언어의 한계란.

@NOT A HOTEL
팬데믹 속 혁신과 성장
‘낫 어 호텔(NOT A HOTEL)’은 코로나로 세상이 멈춰선 것 같았던 2020년 4월, 일본의 대표적인 온라인 패션 유통회사의 자회사인 ‘조조(ZOZO)’테크놀러지 이사였던 ‘하마 우즈 · 신지[濵渦 伸次]’가 창업한 회사이다. 조조 창업자인 ‘마에자와’가 퇴임 후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거나, ‘우주에 가려는’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아 새로운 창업을 시작했다. ‘하마 우즈 · 신지[濵渦 伸次]’는 도전의 일환으로 호텔, 혹은 새로운 좋은 장소에 가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숙박업을 하려했지만 은행 대출이 거절되자 시드 스테이지 투자에 특화된 일본의 독립 벤처 캐피탈 ANRI의 대표 사마타 앙리에게 무작정 연락해 사업계획을 설명하고 받아낸 6억엔의 출자금과, 고객에게 선 판매 후 호텔을 짓게되면서 컨셉이 ‘호텔’에서 ‘낫 어 호텔’이 된 비화가 있다. 어떤 상황에서든 일단 떠나야 길이 만들어진다.
한가지 더 언급하자면, 2024년 1월 시점으로 직원 수는 124명이며, 사원의 평균 연수입은 1,000만 엔이다. 일본 내 신입 연봉이 280만 엔 인것을 생각하면 약 3.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 상승 물가를 반영해 30년만에 올라간 최근 연봉의 수치이다). 또한 ‘낫 어 호텔(NOT A HOTEL)’은 복리후생으로 "직원과 그 가족에게 연간 최대 100만 엔의 여행 경비를 지원”한다.
팬데믹으로 세계가 멈춰선 2020년 4월 ‘낫 어 호텔(NOT A HOTEL)’이 시작된 이래, 경제에 점차 온기가 돌고 해외여행객이 코로나 이전보다 더 많이 증가한 2024년 현재. ‘낫 어 호텔(NOT A HOTEL)’은 눈에 띄는 성장을 일궈냈다. 최근 ‘낫 어 호텔(NOT A HOTEL)’이 IEO*(Initial Exchange Offfering)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고객층을 확장하고 비즈니스를 더 성장시키기 위해 가상화폐(암호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석된다. 상세한 로드맵과 서비스 개발의 진척 사항까지는 여기에서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기로 한다.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길.
*IEO란
암호화 자산을 이용해 기업이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새로 발행하는 토큰을 선행 판매함으로써 기업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모을 수 있다.
운용방법은 다양한 시스템으로 점차 진화하며 다양한 고객층에 맞춰가고 있는 중이어서 간단하게 설명하기는 어렵겠지만, 최대한 정리해서 설명해 보겠다.
사용자는 연간 자신이 이용할 일수에 따라 가격이 책정된다. 만약 자신이 할당받은 일수를 채우지 못할 경우, 남은 일수를 다른 고객에게 호텔로서 렌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로써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절찬리에 판매 종료된 ‘NOT A HOTEL MEMBERSHIP NFT’는 실제 물건(별장)을 구입하지 않고도 저렴한 금액으로 '멤버십 NFT'를 구매하여 멤버십 회원이 됨으로서 하루 단위로 NOT A HOTEL에 숙박할 수 있는 서비스다. ( 이 서비스를 ‘하우스’라 명칭한다. ) 판매되는 멤버십 NFT는 S, Y, X의 세 가지 종류로 나뉘며, 각기 다른 가격과 사양을 갖추고 있어 고객은 자신에게 맞는 NFT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부동산을 소유하지 않고도 고급 숙소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NOT A HOTEL MEMBERSHIP NFT’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매매가 가능하고 가족이나 친구에게 양도할 수 있다. 단, 머물게 될 숙소나 날짜는 랜덤이다. ( 날짜와 장소 선택은 소유권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고, 그 외 공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라. )
현재까지 판매된 거점 은 9곳이고, 오너수는 597명, 총 계약 금액은 227엑엔이다.
2편에서는 각 거점에 대한 자세한 사진과 함께 해당 크리에이터들에 대해 이어서 소개하겠다.
참고자료
https://notahotel.com/en
https://journal.nstock.com/article/not_a_hotel_hamauzu_interview
https://coralcap.co/people/anri-samata/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졸업
-영국 왕립예술대학원 제품디자인 석사 졸업
-생테티엔(프랑스)비엔날레 참여작가
-스왈로브스키 본사(오스트리아)협업작가
-런던디자인뮤지엄레시던시 작가
(현) 프리랜서 디자이너 / 작가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영리를 목적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를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 게재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필자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의 내용은 designdb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