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리포트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2 : 영국 폴리시랩, BIT

UK Policy Lab (영국)

UK Policy Lab 영국 내각 사무처 (Cabinet Office) 산하에 있는 정책랩으로, 정부 정책 설계에 서비스디자인 디자인 씽킹을 활용해 사용자 중심의 정책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 소속: 영국 정부 내각 사무처 
  • 설립연도: 2014년
  • 목적: 공공정책 설계에 창의적 방법론과 디자인 씽킹을 도입하여, 사용자 중심의 정책을 혁신하고 더 나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주로 시민의 요구와 경험을 반영해 정부 정책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주요 활동:
    • 공공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워크숍과 협업 프로그램 운영
    • 사용자 경험(UX)을 분석하여 정책 설계 과정에 반영
    • 정책 메이커, 시민, 그리고 공무원이 협력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도출하는 프로젝트 추진
  • 특징:
    • UK Policy Lab은 정책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문제 정의 및 해결책 도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사고와 디자인 씽킹을 결합해 정책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해 시민의 경험과 요구를 중심으로 정책을 혁신하는데, 실질적인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는 구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 주요 프로젝트: 영국 정부의 주택 정책, 헬스케어 서비스 개선 프로젝트에서 시민들의 피드백을 정책 설계에 반영하는 혁신을 이루었다. 또한, 정책 워크숍을 통해 공무원들에게 창의적인 방법론을 교육함으로써 실질적인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 인원: 약 30명 
  • 관련 링크:
    웹사이트 : https://openpolicy.blog.gov.uk/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company/policy-lab-uk/


주요 도구

시스템으로서의 정부 툴킷 : https://servicedesign.tistory.com/566 
실험적 정책디자인 방법 : https://servicedesign.tistory.com/676 
열린 정책 만들기 툴킷 https://www.gov.uk/guidance/open-policy-making-toolkit  
Systemic (정책 실험을 위한 보드 게임) : https://openpolicy.blog.gov.uk/2023/11/15/launching-systemic-a-game-for-applying-systems-change-thinking-to-policy/ 

사진 : 새로운 정책디자인 도구 'Systemic'을 디자인하고 플레이 중인 Policy Lab 팀. 2023.11.15,

 

* 기타 관련 글: 정책 결정에 디자인 활용하기 - 안드레아 시오드목 (전 영국 폴리시랩 소장) https://servicedesign.tistory.com/568

2024년 창설 10년을 맞은 폴리시랩의 기념 로고


Behavioural Insights Team (BIT, 영국)

Behavioural Insights Team은 영국 정부 산하에서 설립된 조직으로, 행동 경제학을 활용해 공공정책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정책랩이다. 현재는 독립적인 민관 협력 조직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가와 협력해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혁신하고 있다.
BIT는 처음에는 영국 정부의 산하 조직이었지만 지금은 민간기구가 되었다. 정책랩의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지만, 정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각국이 주목하는 기능을 하는 기구이니만큼 함께 소개한다.

  • 소속: 영국 정부 산하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민관 협력 조직으로 운영
  • 설립연도: 2010년
  • 목적: 행동 과학과 디자인 씽킹을 결합해 공공정책을 혁신하며, 정책 메이커들에게 증거 기반의 정책 설계를 지원한다. 공공서비스 제공 방식을 개선하고 시민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정책을 개발한다.
  • 주요 활동:
    • 행동 경제학을 기반으로 한 정책 실험 및 데이터 분석
    • Nudge Theory(넛지 이론)를 적용해 공공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프로젝트 진행
    • 복지, 교육, 건강, 환경 정책 등 다양한 공공 영역에서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통해 시민의 행동 변화를 유도
  • 특징:
    • 행동 경제학과 심리학적 연구에 기반해 정책 결정 과정을 혁신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공공 서비스 개선을 위해 행동 유도(Nudge) 기법을 적용한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 민관 협력을 통해 영국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와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 주요 프로젝트: 교육 참여율 증가, 세금 납부율 개선, 에너지 소비 감소 등의 분야에서 행동 경제학을 활용한 정책 실험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이루어냈다.
  • 인원: 약 150명 이상의 전문가가 활동 중 (행동 과학자, 데이터 분석가, 정책 메이커 등)
  • 관련 링크: BIT 웹사이트 http://www.bi.team/


출처 : 윤성원. 2024.10.13. https://servicedesign.tistory.com/680 

 

[세계의 정책랩]

약자의 목소리와 디자이너의 조력이 세상을 바꾼다 - 정책랩을 소개합니다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1 : 정책을 디자인하는 조직, 정책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2 : 영국 폴리시랩, BIT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3 : 미국 Lab·OPM, USDS, 18F, MONUM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4 : 캐나다 PHC, IIU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5 : 호주 A-Lab, BETA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6 : 일본 디지털청 서비스디자인 유닛(Service Design Unit)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7 : 덴마크 마인드랩, X-Lab 

윤성원(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실장/수석연구원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영리를 목적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를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 게재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필자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의 내용은 designdb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2 : 영국 폴리시랩, BIT"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