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과
기능 정의가
필요하였습니다.
•
소비자 페인 포인트 :
현재 업소들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해 수기로 작성을 통해서 사업장 변경 신고, 배출
및 처리관리, 대장관리,
실적신고 등 처리가 되고 있으며
신고대상 여부 확인
및 신고서 작성 요령, 발생억제
및 처리 업체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지만 음식물 처리 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지자체 별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지자체 담당자가 관리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
따라서 다량배출사업자 음식물쓰레기 관리가 직접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위탁처리 업체에 관리를 맡기는 비율이 96.20%로
높은 편으로 계량관리 불확실 / 처리과정
투명성 미흡 / 신뢰할
수 있는 업체 선정 정보 부재 등의 애로사항이 있었습니다.
정의하기
•주요
활동 및 인사이트
이
단계에서는 정부 플랫폼과 협업구조를 가질 수 있는 핵심적인 사업 모델로 정의를 했습니다.
최종적으로 환경부
전자관리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자동계량
송수신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핵심 비즈니스 모델을 재설정하였습니다.
핵심
비지니스 모델
재설정
•
현 시장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이해관계자인 위탁수거업체를
수요 대상으로 하는 단독
자동계량송수신 기능을 갖춘 제품 개발도
검토하였으나 기업의 현황 및 주요
사업인
‘음식물처리기’
시장에 집중하여 ‘음식물
처리기+자동계량기’
통합 모델 개발에 주력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
다만, 위
경우 기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위탁수거업체를
대체하는 대체재 성격이 되므로 기존
시장의 반발 등으로 단기간 시장 진입이 어려울 것으로 보였습니다. 또한
이미 환경부에서
시행되고 있는 시스템과 대치되지
않도록 연동 관계를 감안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였고 기존 위탁수거업체와
크게 대치되지 않는 서비스 모델을
‘토탈송수신기 +
어플리케이션’으로
환경부의 전자관릿스템에
연동되는 데이터 자동 입력 및 전송 서비스 모델로 정의하였습니다.

발전하기
•주요
활동 및 인사이트
이
단계에서는 서비스 러프
프로토타입 작성을 통해 페이지를 구성하고 예상되는 사용자 페인포인트에 대한 피드백을
실질적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
West
Zero 자동계량
송수신기&어플리케이션
앱의 주요 기능을 기획했습니다.
러프
프로토타입 1차,
2차
작성
•
러프 프로토타입을 통해 예상되는 사용자 피드백을 확인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발생율 / 비용
절감을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페이지 UI를
기획하였습니다.

•
앱 서비스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소비자 가치인 감량 수치 및 달성율에
대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주요 페이지를 기획했습니다. 지난달
대비 감량에 대한 내용, 감량된
중량,
유사 규모 업소 평균 대비 비교 등 전월 비교평가가 가능한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환경부 업무 페이지로 연결되어 1주일/
1개월/ 6개월
기간 내 검색이 가능하도록 페이지를 재구성하고 환경부 정보 시스템 연동 외 직접 신고하기, 연동
해제하기,
로그인
기능 등을 추가 하였습니다.

전달하기
•주요
활동 및 인사이트
최종적인
서비스 모델은 환경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관리/
자동 입력 및 전송으로 다량배출사업주가 쉽게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관리를 하도록 돕
는 서비스 WASTE
ZERO(가칭)
프로토타입에 대한 소비자의 피드백을
받아 서비스 모델 고도화를 진행하였습니다.
러프
프로토타입 3차
작성 및 소비자
피드백
•
환경부 전자관리시스템과 연동하여 배출량 정보를 자동 입력/
전송, 편리하고 쉽게 음식물쓰레기를 관리하도록 돕는 WASTE ZERO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델을
정의하고 화면 구성/ 정보
읽힘/
내용 이해/ 앱
사용
편리함 등
다량배출사업자 업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
최종적으로 WASTE
ZERO(가칭) 프로토타입에
대한 소비자의 피드백을 조사한 결과
50%
이상의 소비자가 사용 목적, 이해도,
가독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주요 기능 및 내용의 배치에 대해서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에
대해서 소비자 중심으로 서비스 모델 고도화를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