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디자인주도 사회적기업 혁신역량 강화사업 스토리북_지속가능한 사회적 비즈니스모델 개발 - 한국디자인진흥원, 2020
2020 디자인주도 사회적기업 혁신역량 강화사업 스토리북
지속가능한 사회적 비즈니스모델 개발
한국디자인진흥원, 2020
연구기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경험디자인실
연구진 :
강필현, 김상열, 윤나리, 김유진
ISBN 979-11-90340-74-8
연구배경
현재 국민의 삶을 가장 어렵게 만드는 사회문제 30가지는 다양하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삶의 변화속도가 빨라지면서 사회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난이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 이렇게 난이도 높은 사회문제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기존 정부 주도의 정책·복지서비스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민간분야에서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함께 창출하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조직의 역할과 책임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제정한 이래로 2020년의 사회적기업 수는 약 46배, 고용 규모는 약 20배 이상 성장하였으나 질적 성장은 그렇지 못하다. 100억 이상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적기업은 단 2%(40개)에 불과하고, 매출도 10억 미만으로 집중되어있다. 양적으로 성장한 사회적기업의 내실을 다져 경제적 가치도 창출하는 유망한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혁신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지원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연구 방법
Design Value Index에 따르면 고객 니즈를 탐색하고 반영하는 디자인 방법론을 경영에 도입했을 때 기업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S&P 500대 기업의 평균 주가지수와 비교해서 디자인 경영을 도입한 기업의 주가가 211%나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의 디자인 역량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적용하기 위해 McKinsey Design Index(MDI), Design Maturity Survey, Design Value Scorecard 등 다양한 지표들도 제안되고있다. 본 사업에서는 디자인 지표를 사회적기업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서 기업들이 디자인 방법론의 효과를 실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기업의 디자인 성숙도 진단 지표인 Design Maturity Survey*에서 제안된 5가지 핵심지표(고객 공감, 디자인 완성도, 혁신 인재 조직, 비즈니스 성과, 임팩트)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본 프로그램은 사회적 경제조직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고객 공감과 디자인 완성도를 높이는 ‘디자인 컨설팅’, 디자인 인재를 매칭하는 ‘디자인 인력지원’, 비즈니스 성과와 임팩트를 도출하는 ‘비즈니스모델 개발’로 구성했다.
연구 내용
사회적경제조직과 디자이너의 연결 및 교육을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장 동력과 디자이너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이 디자이너 신규 채용시 인건비 50%를 지원하고, 디자이너에게는 사회적경제조직에서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는 혁신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한다.
- 지원대상 : 디자인 투자 시 발전가능성이 높으며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조직
- 지원기간 : 지원 협약일 ~ 2020.12월 (약 6개월)
- 지원금액 : 지원기간 동안 매월 아래의 디자이너 등급별 노임단가에 따라 정부지원금 지원
목차
1. 프롤로그
- 서비스디자인으로 만들어가는 사회적 경제조직 혁신
- 서비스디자인이란
- 사업 배경
- 추진 전략
- 지원 내용 및 프로세스
- 참고 사례
2. 프로그램 소개
- 프로그램 소개
- 프로그램 운영 내용
- 성과지표 개발
3. 참여기업 소개
- 환경
몽세누
시프트디자인컨설팅
아트임팩트
율립
주신글로벌테크
케이오에이
할리케이
- 사업
알티비피얼라이언스
앤톡
위대한상사
이나우스아카데미
이풀약초협동조합
퍼플더블유
- 안심/이동
가치같이
비알인포텍
엘비에스테크
케어닥
- 여가/나눔
더클락웍스
디맨드
세올디자인컨설팅
아이엠커뮤니케이션
키뮤
한국갭이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