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늘 믿고 쓰던 헬베티카, 정말 중립적인 폰트일까?
분야
등록일
작성자
조회수886
모노타입이 이야기하는 헬베티카의 장점과 중립적 폰트에 대한 고찰
여러분들은 요즘 어떤 폰트를 자주 보고 계시나요? ✍️ 우리 일상 속에선 무심코 스쳐 지나가는 많은 것들엔 폰트가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폰트들엔 더 나은 경험을 위해 디자이너들의 섬세한 고민이 담겨있는데요. 단순 보기에 예쁜 것을 넘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치밀하게 기획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모노타입이 소개합니다.
헬베티카(Helvetica)는 흔히 가장 중립적인 폰트라는 소개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눈에 띄기보다는 배경에 머무르거나, 다른 디자인 요소들이 더 잘 드러나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헬베티카는 디자이너들 사이에서 종종 ‘빈 캔버스’나 ‘비어 있는 그릇’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이런 특징 덕분에 헬베티카는 많은 브랜드에서 선호하는 폰트가 됐는데요. 예를 들어 ‘아메리칸 어패럴’ ‘놀’ ‘무인양품’ 같은 기업들은 헬베티카를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는데요. 폰트 자체가 튀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고 세련된 인상을 제공해, 브랜드 고유의 메시지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빈 캔버스 같은 헬베티카는 지금까지도 많은 기업들이 신뢰하고 사용하는 ‘중립적인’ 폰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런데 몇몇 디자이너들은 헬베티카 폰트가 오랫동안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받아온 것이 단순히 중립적이고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다가 아니라고 말하는데요.
이번 글에선 글로벌 폰트 및 폰트 기술 전문 기업 모노타입(Monotype)이 헬베티카 폰트의 장점부터 역사, 중립적이라 여겨졌던 헬베티카의 남다른 모습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모노타입)
늘 믿고 썼던 헬베티카
모노타입의 수석 타입 디자이너인 테런스 와인지얼(Terrance Weinzierl)은 헬베티카가 기업에서 자주 쓰이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헬베티카는 효율적이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를 줍니다. 너무 튀거나 극단적인 느낌이 없어서 기업 이미지와 잘 어울립니다”라고 설명하는데요.
또한 그는 헬베티카를 식당에서 자주 쓰는 ‘둥근 흰 접시’에 비유합니다. 흰 접시는 음식의 색이나 모양을 돋보이게 해주고, 마찬가지로 헬베티카도 다른 디자인 요소들이 중심이 될 수 있게 조용히 뒷받침해 준다는 이야기죠. 요컨대 흰 접시가 유행을 타지 않고 어디서든 잘 어울리는 것처럼, 헬베티카도 시대에 상관없이 다양한 상황에서 무난하게 어울릴 수 있는 폰트라는 뜻입니다.
이처럼 헬베티카는 ‘중립적인 폰트’라는 인식 덕분에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눈에 띄지는 않지만 또렷하고 정돈된 느낌 때문에, 공식 문서, 식품 성분표, 공공 표지판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헬베티카는 디자이너들에게 있어서 튀지 않으면서도 중요한 정보를 분명하게 전달해야 할 때, 늘 믿고 쓸 수 있는 선택지였습니다.

(자료=모노타입)
헬베티카는 어떻게 인기 폰트가 됐을까?
그렇다면 이런 헬베티카는 어떻게 인기 폰트가 됐을까요? 모노타입의 크리에이티브 타입 디렉터이자 ‘Helvetica Now’ 프로젝트에 참여한 스티브 매티슨(Steve Matteson)은 헬베티카의 인기가 단순히 디자인 때문만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특히 그는 “헬베티카는 딱 알맞은 시기에, 알맞은 자리에 있었던 셈이죠.”라고 말하면서 헬베티카가 널리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인 흐름과 기술의 발전이 큰 영향을 줬다고 설명하는데요.
실제 1960년대 이전엔 잡지나 인쇄물에서 흑백 이미지가 주를 이뤘지만, 인쇄 기술이 발전하면서 선명한 사진과 이미지가 중심이 되는 디자인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헬베티카는 눈에 띄지 않으면서도 정보를 또렷하게 전달해줄 수 있는 폰트로 주목받게 됐습니다. 강한 이미지와 부딪히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폰트가 필요했던 거죠.
또한 매티슨은 “헬베티카는 사진이나 영상, 그림 같은 시각 요소가 주인공이 되도록 자연스럽게 물러나는 데 능숙한 폰트입니다”라고 덧붙입니다. 즉, 다른 요소들이 잘 보이도록 돕는 조연 같은 역할을 해냈다는 뜻입니다.
또 다른 모노타입의 수석 타입 디자이너인 짐 포드(Jim Ford)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포드는 헬베티카를 ‘개성이 거의 없는 빈 폰트’라고 표현하는데요. 따로 꾸미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 않고, 크기를 작게 하면 거의 사라지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로 그 절제된 모습 덕분에 색상이나 그래픽 같은 다른 요소들이 더 잘 살아나게 됩니다.
결국 헬베티카는 ‘튀지 않음’이라는 장점을 무기로, 이미지 중심의 디자인 환경에서 가장 잘 어울리는 선택이 된 것입니다.

(자료=모노타입)
‘중립적인 디자인’은 정말 중립적일까?
헬베티카는 흔히 ‘중립적인 폰트’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어떤 디자인도 완전히 중립적일 수는 없습니다. 폰트, 가구, 로고 같은 디자인 요소는 시대적 배경, 문화,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실제 디자이너 니나 스퇴싱어(Nina Stössinger)도 “디자인은 그 안에 담긴 의미와 떨어뜨려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아무리 단순하고 중립적으로 보여도, 실제로는 다양한 의도와 뉘앙스가 담겨 있다는 뜻이죠.
암스테르담의 디자인 스튜디오 익스페리멘탈 젯셋(Experimental Jetset)은 이 문제를 “우리가 ‘중립적’이라고 부르는 폰트는 사실 본질이 중립적인 게 아니라, 어떤 시기에 어떤 사람들이 중립적으로 보기로 한 폰트일 뿐입니다”라고 정리합니다.
즉, 그 폰트가 실제로는 표현적인 성격을 갖고 있지만, 사회나 문화가 그것을 ‘중립적’으로 받아들였다는 거죠. 헬베티카는 분명 절제된 느낌을 주는 폰트지만, 그 안에도 세심한 디자인과 감성이 담겨 있습니다.
이에 대해 스티브 매티슨은 “헬베티카를 큰 크기로 보면, 생각보다 많은 디테일과 공예적 요소가 보입니다. 이미지나 다른 글자와 경쟁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헬베티카 자체가 주인공처럼 보일 수도 있어요”라고 설명하는데요.
결국 헬베티카도 보는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중립적’이라는 말 뒤에는 우리가 쉽게 놓치는 맥락과 해석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죠.

(자료=모노타입)
‘중립적인 폰트’란 어떤 의미일까?
그렇다면 헬베티카 같은 폰트를 ‘중립적’이라고 할 때, 우리는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글자가 또렷해서 읽기 쉬운 점? 어디에나 잘 어울려서 튀지 않는 성격? 아니면 너무 자주 보여서 이제는 특별한 감정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일까요? 이런 다양한 해석이 모여 헬베티카는 중립적이란 이미지를 만들고, 그 인식을 계속 강화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중립적이라는 이미지가 있는 헬베티카가 항상 그렇게 조용하고 절제된 역할만 해왔던 것은 아닙니다. 의외로 강한 개성과 감정을 드러낸 사례들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1970년대에는 펑크 밴드들이 만든 전단지나 앨범 커버에 헬베티카가 자주 사용됐는데요. 당시에는 레트라셋(Letraset)이라는 전사식 글자 도구로 쉽게 쓸 수 있었기 때문이죠.
또 1980년대에는 디자이너 네빌 브로디(Neville Brody)가 잡지 Arena에서 헬베티카를 사용해, 절제된 폰트 안에서 감정을 끌어내고자 했습니다. 디자인 거장 마시모 비넬리(Massimo Vignelli)도 ‘Helvetica Extra Bold’ 버전을 열정적으로 지지하며, 이 폰트가 강한 표현력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사례들은 헬베티카가 단순히 ‘튀지 않는 폰트’에 그치지 않고, 문화적 맥락이나 디자이너의 의도에 따라 충분히 강한 개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국 헬베티카는 중립적인 폰트라고 말할 수는 있지만, 중립적이라는 이미지 또한 이 폰트를 둘러싼 더 큰 이야기 중 하나일 뿐입니다. 모든 폰트가 그렇듯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 헬베티카도 단순 중립적인 폰트를 넘어, 감정을 전달하고 분위기를 바꾸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원문 링크: 헬베티카, 정말 중립적인 폰트일까?
관리자(디자인DB)
designdb@kidp.or.kr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영리를 목적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를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 게재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필자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의 내용은 designdb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