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산업통계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키워드 리포트(친환경 요소)

△ 키워드 : 친환경 요소

 

​디자인 개발 시 디자인 활용/전문 업체가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는 정도와

친환경 디자인 개발 추진 시 업체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활용업체>

디자인활용업체의 경우 디자인 개발 시 40.5%가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26.6%로 나타났다.

 

'22년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17.5%에서 40.5%로 23%p가 증가하였고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30.9%에서 26.6%로 4.3%p 감소하여

전년 대비 친환경이 디자인 개발에 더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시각 디자인'에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는 비율이 8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디지털/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있는 비율이 82%로 가장 높아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는 것에 대한 업종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디자인활용업체가 친환경 디자인 개발 추진 시 겪는 어려움으로는 '지식/노하우 부족'이 55.1%(중복응답)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가격 경쟁력 하락'(46.8%), '전문가 및 전문업체 부족'(28.6%) 순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전문업체>

디자인전문업체의 경우 디자인 개발 시 38.5%가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15.8%로 나타났다.

 

'22년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26.3%에서 38.5%로 12.2%p가 증가하였고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28.9%에서 15.8%로 13.1%p 감소하여

활용업체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전문업체에서도 전년 대비 친환경이 디자인 개발에 더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4.3%로 가장 높았고

'시각 디자인'에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24.2%로 가장 높았다.

 

디자인전문업체가 친환경 디자인을 산업에 확장하는 데 겪는 어려움으로는 '가격 경쟁력 하락'이 64%(중복응답)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지식/노하우 부족'(39.6%), '소재 다양성 부족'(38.7%) 순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디자인산업통계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 의 ㅣ d_stat@kidp.or.kr

보고서 ㅣ2024 디자인산업통계 총괄/요약보고서(2023년 기준) (designdb.com)

 

"키워드 리포트(친환경 요소)"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