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워드 : 인공지능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관련된 이슈가 지속됨에 따라 디자인 업무에서 AI를 활용하는 단계와 활용 소프트웨어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하여
2024 디자인산업통계 조사 중 AI 관련 문항을 신설하였다.
[디자인활용업체]

디자인활용업체에서 AI를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9%로 활용 단계로는 '기타'(61.6%)가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시장·트렌드 분석, 소비자 선호 분석, 입찰·계약서 분석, 설계 데이터 자동인식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 기획'(31.1%)
샘플이미지 생성, 디자인 스케치 생성, 디자인컨셉 시각화 등을 포함하는 '컨셉 디자인'(27%) 순이었다.
활용 소프트웨어로는 '기타' 단계에서 'Chat GPT'(86.9%), '디자인 기획' 단계에서 '포토샵'(45.9%)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기술 활용하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활용업체에서 응답한(중복응답) 인공지능 기술 활용 시 장애 요인으로는 '인프라 및 인력 부재'가 28.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을 이어 '구독 비용 부담'(24.9%), '호환성 문제'(20.9%)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장애 요인 없음' 비율이 6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디자인전문업체]

디자인전문업체에서 AI를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10.5%로,
활용 단계로는 샘플이미지 생성, 디자인 스케치 생성, 디자인컨셉 시각화 등을 포함하는 '컨셉 디자인'이 76.5%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이어 제품 생성 디자인, 제품 CMF 추천, 공정 설계 자동화, UX/UI 로고 자동생성 등을 포함하는 '상세 디자인'(28.4%),
시장·트렌드 분석, 소비자 선호 분석, 입찰·계약서 분석, 설계 데이터 자동인식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 기획'(26.9%) 순이었다.
활용 소프트웨어로는 '컨셉 디자인'과 '상세 디자인'에서 모두 'Chat GPT'(각 53.2%, 44.8%)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전문업체에서 응답한(중복응답) 인공지능 기술 활용 시 장애 요인으로는 '이용 필요성 부재'가 56.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구독 비용 부담'(28.1%), '장애 요인 없음'(14.3%)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품디자인에서 '장애 요인 없음' 비율이 7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디자인산업통계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 의 ㅣ d_stat@kidp.or.kr
보고서 ㅣ2024 디자인산업통계 총괄/요약보고서(2023년 기준) (designd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