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중장기 디자인인력 수급전망 인적자원정책 개선연구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울대학교 2017

중장기 디자인인력 수급전망 인적자원정책 개선연구

한국디자인진흥원, 서울대학교. 2017

 

제출일 : 2017.10.

연구주관기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연구수행기관 :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 윤주현 서울대학교 교수

공동연구진 : 이찬 서울대학교 교수, 김성우 서울대학교 교수, 한정민 서울대학교 교수, 이민구 서울대학교 교수

보조연구진 : 전혜린, 김우리, 안성욱



연구의 필요성
저출산, 고령화 등의 인구 구조의 변화, 소득 수준 향상 및 품격 있는 삶 추구 등에 따른 소비 및 생산 패턴의 변화로 디자인 수요의 증대 및 디자인산업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기술과 산업지형의 고도화 및 복합화에 따른 융복합사고의 강조로 디자인 비전공 대상자에게도 디자인씽킹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인 인구 감소, 산업인력의 글로벌 이동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등으로 인해 디자인산업 및 일자리 지형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현 디자인 인력 수요에 대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정부주도의 디자인 진흥사업으로 디자인 전문인력에 대한 급속한 양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디자인 전문 고급 인력의 양성과 활용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이현규, 2011), 전문 인력 공급과 산업계 수요 간의 괴리,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디자인 인력 양성의 부재, 정책의 단기적인 목표와 통합적 관리의 부재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장은경, 2011).

이에 따라 디자인 인력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기반으로 디자인 관련 학과를 재분배하여 공급을 조절하고, 보다 양질의 전문적인 디자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탄생한 신산업에 종사하는 디자인 인력과 디자인 비전공인력에 대해 디자인 융복합 교육 방안을 구축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지원하여 디자인 인력 양성 및 수급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국가차원의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인력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 수요를 예측하여, 디자인 인력 양성 및 체계적인 수급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디자인 인력에 대한 인적자원정책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디자인 인력 수급과 관련한 국내의 현황을 분석하고 디자인 인력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여 디자인 인력의 체계적인 수급이 가능하도록 수급 체계 및 정책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디자인 관련 산업인력의 양성 방향을 재설정 하는데 그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 내용
이 연구는 ① 디자인 인력 수급관련 현황분석, ② 국내 디자인산업인력 미래수요 예측, ③ 디자인 인력의 체계적 수급 체계 및 ④ 정책방안 제시 등의 4가지 과업으로 이루어져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전문가 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헌 연구
문헌 연구는 국내외 서적, 통계자료, 연구 보고서, 학술지 논문 및 각종 Database 자료 등을 통해 ① 디자인 인력 수급 관련 국내 동향 분석, ② 국내 디자인산업의 정성·정량분석 연구 조사, ③ 국내외 체계적 디자인 인력 수급 정책의 벤치마킹 대상 선정을 위한 선행연구를 고찰을 진행했다.
설문조사
설문조사는 국내 디자인산업으로 분류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Borich 요구분석 프레임의 원리를 차용하여 인력 요구 분석에 맞게 응용한 설문문항으로 진행했다. Borich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을 확인하고 바람직한 수준에 가중치를 주어 결과 값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요구도 공식을 제안했다. Borich(1980)는 현재 수준(what is)과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인 중요 수준(what should be)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육 요구를 확인할 수 있다고 기술하였다. Borich의 모델은 교수자 패널, 혹은 교육생이 중요하다고 응답하는 교육 목적(what should be)에 가중치를 두어 불일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이 우선순위는 향후 프로그램의 개선, 수정을 위한 기본 골격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Borich 교육 요구도 조사를 인력 요구도 조사로 변형하여 요구 인력 수준과 현재 인력 수준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현재 인력 요구 수준과 미래 인력 요구 수준의 값과 Borich를 차용하여 산출해낸 값을 합해 종합순위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디자인산업의 구분은 디자인산업특수분류를 근거로 하였으며, 대분류 8개 영역과 각 영영에 따른 중분류 영역에서의 현재 인력 요구 수준, 미래 인력 요구 수준에 대한 정보를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심층면담
심층 면담은 전체 연구 과정에서 국내 디자인산업현장에 종사하는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포터의 5세력 프레임워크에 맞춰 진행했다. 포터의 5세력 프레임워크
는 특정 산업의 경쟁요소를 신규 진입자의 위협(Threats of Potential Entrants), 구매자(소비자)의 교섭력(Bargaining Power of Buyers), 공급자의 교섭력(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대체재의 위협(Threat of Substitues), 현재 경쟁기업들 간의 경쟁(Rivarly) 등의 5가지 요소로 분석, 제시하고 있다(Dobbs, 2014). 해당 심층면담을 통하여 국내 디자인 업계가 인력에 요구하는 주요 역량을 파악하고, 현재 디자인 인력 수급 정책의 문제점 등을 진단했다.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협의회는 포터의 5세력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 검증, 현행 국내외 디자인 인력양성 교육제도의 벤치마킹 대상 선정, 이후 전체 Borich와 포터의 5세력 프레임 워크의 결과 점검 및 분석 등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자인산업 관련 전문가, 유관기관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디자인 인력 수급 관련 현황 분석
1. 디자인산업의 범위 및 규모 분석
2. 디자인 인력의 개념 및 영역분석
3. 디자인 인력 수요 및 공급 현황 분석
III. 디자인 인력 미래 수요 예측
1. Borich 요구 분석을 통한 디자인산업 영역의 정량적 수요 분석
2. Porter의 5세력 분석을 통한 정성적 디자인산업 인력 수급 트렌드 분석
3. 미래 유망 신산업에 따른 디자인산업 인력 수급 트렌드 분석
IV. 디자인 인력 교육 현황 분석
1. 현행 디자인 인력 양성 교육 체계 분석
2. 국내 디자인 인력 양성 고등 교육
3. 국내 기업체 디자인 교육 체계 분석
4. 해외 디자인 인력 양성 고등 교육
5. 글로벌 기업 디자인 교육 체계 분석
6. 소결
Ⅴ. 디자인 인력 체계적 수급 체계·정책 방안 제시
1. 교육 고도화 방안 제시
2. 디자인경영 기반 인력 수급 방안
3. 디자인공학 기반 인력 수급 방안
4. 디자인-사회 문제 해결 인력 수급 방안
5. 융합 산업 기반의 디자인 인력 수급 방안
6. 소결
VI.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별첨 부록
별첨 1. Borich 인력 요구 조사 설문
별첨 2. 디자인 미래 인력 수요 예측을 위한 디자인산업 분석 



 

"중장기 디자인인력 수급전망 인적자원정책 개선연구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울대학교 2017"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