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06. 정자문화 - 남호현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06. 정자문화

남호현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연구내용 및 결론 

정자는 세속을 벗어난 한적한 곳에 은거하면서 자기 수양을 하는 것을 삶의 중요한 과정으로 삼았다. 선비들은 산과 물이 어우러진 이상적인 장소를 찾았으며 거기에 작은 집을 짓고 성리학을 통한 삶의 바른 태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정자공간은 불필요한 군더더기가 사라지고 가장 절제되고 축소된 공간이 남아 있고 그 공간은 주변의 자연경관과 일체가 된다. 소박한 것이 좋고농염한 것은 좋지 않으며, 정갈한 것이 좋고 화려한 것은 좋지 않다. 장수와 유식을 위한 내부공간 역시 극도의 절제되고 조촐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정자건축에 반영된 우리 민족의 기질과 성향은 바로 자연주의이다. 앞서 전술한우리의 지형적 특성과 사시사철 계절의 변화라는 기후적 영향으로 우리에게 자연은 삶의 일부이자 이상인 것이다. 우리의 정자를 포함하여 한국의 이상적인 정원, 나아가 한국의 건축 모두가 이상으로 지향한 공간으로 표현하였다.

한국의 누정은 중국에 비해 건축양식적인 측면이나 공간특성, 경관처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정원은 자연과 분리되지 않은 자연의 연장이다. 정자를 주위 자연에 어울리도록 세밀하게 꾸밈으로써 인위적이지 않고, 황량한 대지 위에 어울리도록 화려하게 지어진 건축물이 아니다. 우리의 정자건축은 자연 속에 파묻혀 있기 때문에 잘 보이지도 않을뿐더러 가장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소박한 건축물일 뿐이다.

정자는 천지 우주가 구체화된 자연 안에 인간이 머물고자하는 본연의 고귀한 심상을 드러내는 공간이다. 인간은 그러한 자연을 택하고 그 안에서 정자를 통해 자연스럽게 동화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자의 조영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것이 정자의 장소성이다. 정자에는 또한 내부와 외부 사이에 차별이 없다. 정자에 방이 있을지라도 방을 막는 벽은 공간 중간에 칸막 이를 친 것에 불과하다. 내외부 사이의 무차별은 자연과의 일체라는 개념을가르친다. 여기에는 비움의 미학이 있다. 자연과의 일체와 비움이 합침으로써공간적 무차별이 이루어진다. 내외부 사이의 무차별은 전이공간에 의하여 구체화된다. 전이공간은 곧 처마 밑 툇마루공간이다. 이러한 겹쳐지는 공간은한 가지 상태만을 갖지 않고 내부와 외부의 모호한 다질화된 공간을 만들어낸다.

정자의 건축공간은 지붕과 바닥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도 아니고 외부공간도 아닌 모호한 성격의 전이공간이다. 또한 온돌방이 있더라도 들어열개문을 통해 언제든지 마루를 통해 바깥 경치를 감상하는 등 자연과의 소통을 꾀하여, 그 폐쇄된 물리적인 경계는 언제든지 동시에 개방된 정신적 경계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정자의 방과 마루의 공간개념은 불확정 특징을 보여준다. 따라서정자의 건축공간은 경계가 모호하다. 주변 자연 속에 파묻혀 사용자들의 정신세계를 구현함이 더 크기 때문에 건축물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았다. 따라서물리적 경계인 벽체를 없애고 자연과 더 가까워지려는 의도로 기둥들로만 구성하여 외부영역으로 최대로 확산될 수 있는 구성을 하였다. 물리적으로 감싸 여진 경계와 시각적으로 한정된 공간의 경계 사이에 있는 여백 안에 처마공간과 같은 완충공간이 있다. 공간의 확장 가변성은 융통성과 암시성을 동시에지니는 공간의 특성으로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물리적 경계와 시각적 경계를넘나드는 상대적 여백을 생성하여 공간의 물리적 확장뿐 아니라 지각의 무한경계를 인식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허(虛를) 통한 무위성은 우리 선조들이 가지고 있던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함으로써 나타나는 비물질적 특성이다. 인위적인 문화가 없으며 자연그대 로의 텅 빈 상태를 말을 하는 것이지만 여기에서 텅 빈 상태란 단지 물질이비어 있음으로 구현되는 것보다 생명의 기운인 기가 차있는 허를 말한다. 이는 시각적으로 비어 있는 공간이 관념적으로 기가 가득 찬 함축되고 밀도가높은 공간을 말한다. 즉 다양한 행위와 기능성을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 이다. 과거의 사대부들은 무위라는 개념을 건축에 투영함으로써 노자가 말하는 자연그대로의 텅 빈 상태, 즉 근원인 무(無)에 이른 삶을 구현하고자 했다. 정자는 이러한 비움의 공간 혹은 무의의 공간을 즐겨 구성했다.

...  

보고서 도입부에서 발췌

 

 

목차

 

제1부 연구 개요

제2부 분석

1장 사용자들의 디자인 의식과 태도분석

1절 정자문화에 부여된‘우리’의 인간성에 관하여

2절 정자문화를 통해 본‘우리’의 미의식에 관하여

2장 디자인의 풍토적, 사회적 맥락 분석

1절 정자문화에 작용한 풍토적 배경

2절 정자문화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문화적 배경

3장 개념의 시각화/도구화 과정 분석

1절 의미와 가치를 구체화하는 조형행위

제3부 종합

1장 정자문화에 드러난 창조적 사고방식

1절 우리의 디자인 개념과 제작자의 조형의식

2절 우리의 조형가치와 현대적으로 개선, 발전시켜야 할 점

2장 정자문화를 현대적 디자인 가치로 표현한 디자인 사례

1절 대표적인 전통 정자건축 사례

2절 현대의 시대가치로 재해석된 현대건축 사례

3절 정자문화가 현대디자인에 발현되기 위한 디자인 요소

 

 

----------

이 보고서는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2010,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결과물 중 일부입니다.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은 한국의 정신적, 문화적 가치가 담긴 디자인과 기술 요소를 발굴해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와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지식경제부 주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추진되었습니다. 건축, 가구, 의복, 도자, 인문, 예술 각 분야에서 한국의 고유한 조형 의식의 원형과 정체성이 잘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대표 사례 141개를 찾아 정리하였고, 연구과정 중 50개 주제로 한국디자인DNA를 소개하는 심화연구 보고서가 작성되었는데, 본 보고서는 그중 하나입니다. 

 

 

designdb logo

 

designdb logo
Tag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DNA #K디자인 #정체성 #정자문화 #정자 #건축 #남호현
"06. 정자문화 - 남호현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