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20. 상형토기·상형청자 - 강석영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 교수

20. 상형토기 · 상형청자

강석영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 교수

 

인류의 구석기 시대 불의 발견은 신석기시대의 토기 제작으로 이어졌다.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면서 원시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정착된 생활을 하게 되었고 흙을 빚어 불에 단단히 구워내는 방법을 알아내었다. 토기는 인류의 정착생활과 농경생활과도 깊은 연관을 갖고 있고 식량의 획득과 저장이라는 생계방식은 용기의 제작을 가능케 하였다. 이렇듯 인간의 식생활 문화와 생산 활동에서 오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인 용기는 사회 문화적 발전과 함께 기능과 용도가 확대되었고 식량을 저장하고 운반하는 일상용기로서의 쓰임은 물론 원삼국시대 이후에는 신분이나 부의 상징으로, 제사와 죽은 자의 영혼을 기리기 위한 부장용 등의 의식용(儀式用)도구로도 널리 쓰여 졌다. 삼국시대 특히 가야와 신라에서 부장용 혹은 의식용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상형토기(象形土器)가 제작 되었고 각 지역과 시대마다 상형의 형태나 표현기법 그리고 용도 및 기능 등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고 신라시대의 상형토기는 중국의 한(漢). 육조 (六朝)의 영향을 받았고 낙동강 유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중국. 중앙아시아. 유럽 등의 상형토기들과 비교해 볼 때 고 신라시대 상형토기는 장식을 많이 하여 그 형태가 다양하고 고분 출토품이 대부분이므로 죽은 자의 영혼을 기리기 위한 부장용 등의 의식용(儀式用)도구 혹은 제사용기였을 것이다. 동물이나 인간 혹은 차륜(車輪), 집, 배, 신발 등의 형태들을 표현했으며 비록 세련되지 않은 원시적인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나 고대인의 소박한 정서와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렇듯 원삼국 시대를 시작하여 삼국시대 특히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 다양한 상형토기가 제작되었고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 까지감각적이고 예술적인 상형토기들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상형토기는 고려시대로 오면서 자기질(磁器質)로 발전하게 되며 조형적으로 보다 완성되어진 형태로서고려시대의 상형청자를 형성하게 된다. 고려의 상형청자에 와서는 신라 상형토 기가 지녔던 고분문화적인 특징은 바뀌게 되지만 형태에 있어 유사한 특징을지니는데 예를 들어 신라시대의 오리형 토기(鴨形土器) 같은 형태들은 청자의 오리형 연적<사진3>과 그 형태가 유사하고 고려시대 토기 조롱박 모양 주전자 형태는 고려 시대의 청자 청자진사연화문표형주자(靑磁辰 砂蓮華文瓢形注子)<사진5>와 모양과 형태가매우 유사하다. 청자는 다양한 장식 기법으로 장식되지만 토기로 만든 주전자는 무늬가없는 대신 우아한 곡선미를 잘 살려 내었고 주로 일반 서민들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상형청자 역시 향로 등과 같이 의례용기로 만들어진 것이 있고,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의례용, 부장용으로 많이 제작되어온상형토기와 상형청자는 연관성을 보이지만상형청자는 상형토기와 달리 문방구 및 일상용품으로도 제작된 예가 있어 이러한 용도상 으로는 상형토기와 상형청자는 다소 차이를보인다. 이렇듯 신라, 가야의 상형토기와 고려 상형청자는 용도는 다르지만 고려시대 이전에 흙을 사용하여 입체적인 상형물(象形物)을 제작했다는 것은 상형토기가 고려 상형청자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삼국시대 신라 가야의 상형토기를 바탕으로 한고려초기의 상형청자는 12세기 고려청자의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우수한 여러가지 형태의 상형청자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형청자의 조형미(造形美)는 귀족 적인 성격이 짙고 고려시대 상류사회의 생활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토기에서 청자, 분청자, 백자로 이어지는 담는 문화의 변천과 발전 속에 신라, 가야의 상형토기와 고려의 상형청자가 제작되었고 다양한 형태와 양상으로 고대인들의 문화와 생활 그리고 의식이 반영된 역사적 산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  

보고서 도입부에서 발췌

 

 

목차

 

1장. 들어가는 글

“담는 문화”속의 상형 토기(象形土器)와 상형청자(象形靑磁)

- 영혼을 담는 상형토기(象形土器)와 상형청자(象形靑磁)

2장 토기의 발생과 상형 토기의 등장

1.실용적 일상 용기로서의 신석기시대 토기- 최초의 그릇 제작

2.주술적 실용적용도로서의 청동기 시대 토기(무문토기 시대)- 제기(祭器)의 등장

3.철기문화의 시작 원삼국시대 - 오리형 상형토기(鴨形土器) 등장

3장 토기문화가 다양화된 삼국시대

흙을 구워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 지혜-주술적, 건축적, 용기적(容器的)

4장 신라.가야토기의 발달과 다양한 형태의 상형토기

통일신라시대 토기- 토우의 간결화와 골호의 등장

5장 상형토기의 조형적 의미와 다양성

1.동물형토기 2.가형토기 3.차형토기

4.배모양토기 5.신발형토기 6.인물형토기

6장 상형토기의 정신적 사상

7장 상형토기에서 상형청자로의 시대적 흐름과 발생

8장 상형청자(象形靑磁)의 생활양식과 시대적 가치관

9장 상형청자의 조형적, 재료 문화적 특징

10장. 중국의 상형청자

11장. 맺음말

1. 상형토기.상형청자의 조형적인 미와 정신적 사상

2.상형토기, 상형청자의 고유한 조형요소가 현대적 조형요소로의 반영

 

 

----------

이 보고서는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2010,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결과물 중 일부입니다.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은 한국의 정신적, 문화적 가치가 담긴 디자인과 기술 요소를 발굴해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와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지식경제부 주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추진되었습니다. 건축, 가구, 의복, 도자, 인문, 예술 각 분야에서 한국의 고유한 조형 의식의 원형과 정체성이 잘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대표 사례 141개를 찾아 정리하였고, 연구과정 중 50개 주제로 한국디자인DNA를 소개하는 심화연구 보고서가 작성되었는데, 본 보고서는 그중 하나입니다. 



designdb logo

 

designdb logo
Tag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DNA #K디자인 #정체성 #토기 #상형토기 #상형청자 #강석영
"20. 상형토기·상형청자 - 강석영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 교수"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