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23. 특수복식 - 박가영 숭의여자대학 교수

23. 특수복식

박가영

숭의여자대학 교수

 

‘디자인 DNA’는 21세기 마케팅의 키워드가 되고 있다.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감성을 팔고, 기술로 차별화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으로 차별화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흔히 접하는 명품 브랜드는 각 국가 이미지를 높이고 있다. 버버리(Burberry)는 개버딘 트렌치 코트와 체크무늬로 영국의 품격을 대변하는 트래디셔널의 대명사가 되었고, 루이 비통(Louis Vuitton)과 에르메 스(Hermes)의 가죽 백, 샤넬(Chanel)의 향수, 카르티에(Cartier)의 쥬얼리는 프랑스의 이미지를 고급스럽고 패셔너블하게 기억되게 한다. 롤렉스(Rolex)는 스위스가 시계의 나라임을 확인시키고, 아르마니(Armani)와 프라다(Prada)는 이태리를, 폴로 랄프 로렌(Polo Ralph Lauren)은 미국에 호감을 가지게 만든다. 태국의 나라야(NaRaYa)는 큰 리본이 달린 천가방을 전세계에 유행시키며 태국의 국가이미지를 크게 높이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성공사례이다.

브랜드 가치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가브랜드 (Nation Brand)도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대한민국의 국가브랜드 가치가 상승하면 우리나라 국민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우리나라 기업과 상품이 높은 평가를 받아 부가가치와 판매량을 늘릴 수 있다. 2009년 <국가브랜드위원회>의 설치는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국가의위상과 품격을 높이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대한민국이 다른 나라와 차별화되는 국가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오랜 역사와 풍부한 전통문화유산을 활용해야 한다. 이미 2005년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글․한식․한복․한옥․한지․한국음악의 6대 분야에 대한 전략적 지원을 통해 전통문화를 브랜드화하고자 중장기전략인 <한(韓)스타일> 사업을 출범시켰다. 또 2010년에는 패션문화 지원 중기계획인 <패션코리아 2015>를 발표했다. 한국 패션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전통가치와 문화적 정체성을 발굴하고현대적 기술과 트렌드를 활용하여 현재 감성에 맞게 새로운 가치로 재창조하는 패션창작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패션상품에 국가이미지나 문화이미지를 더하여‘패션문화상품’으로 만드는 작업, 세계적으로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글로벌 명품 브랜드’를 만드는 작업이 절실하다.

이상의 목표를 실현하려면 한국복식, 나아가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예리한관찰력과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의 DNA 속에 내재되어 있는 디자인 감각을, 오래도록 선호하고 추구해왔던 조형적 아름다움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전통문화를 콘텐츠화하고 스토리텔링기법으로 포장하며 디자인 DNA를 검색 하여 현대적으로 활용한다면, 보다 쉽고 자연스럽게 대한민국의 국가브랜드를만들고 키우고 홍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특수복식이라고 하면 일반복식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상생활에서 착용되지 않는 복식이므로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복식을 뜻할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 다루는 특수복식은 무관복식(武官服飾)과 정재복식(呈才服飾)으로 한정 한다.

대표적인 무관복식으로는 갑옷과 투구를 의미하는 갑주(甲冑)를 비롯하여 군복(軍服)과 융복(戎服)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융복은 무관 뿐 아니라 왕, 문관까지도 전쟁이나 군사(軍事)에 관련된 일에 착용했던 복식이었고, 융복으로착용된 철릭[帖裏]은 임진왜란 이전 남자들의 평상복이자 단령의 밑받침옷이었기에 일반복식으로 보아야 한다. 융복을 연구대상에서 제외하는 대신 갑옷이나 군복의 디자인과 연관이 있고 무관복식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방령 (方領;네모난 깃), 전장후단(前長後短;앞이 길고 뒤가 짧음)의 옷들을 포함시키고자 한다.

정재복식은 궁중 잔치에서 왕께 정재(呈才)를 올릴 때 착용했던 복식으로착용대상과 역할에 의해 전악(典樂)․악공(樂工)․여령(女伶)․무동(舞童)복식으로 구분된다. 정재는 악(樂)․가(歌)․무(舞)가 결합된 개념으로, 전악과 악공은 악기 연주[樂]를 담당하고 여령과 무동은 노래[歌]와 춤[舞]을 담당했다. 이들이 함께 어우러져 궁중 잔치의 시각적, 청각적 여흥을 자아내었고, 이때 정재복식의 색과 형태와 장식은 막중한 역할을 하였다.

시대적으로는 유물․회화․조각․사진 등 시각적 사료(史料)가 남아있는 조선시대를 주된 연구범위로 정하였다. 기록과 회화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복식 유물이 유기질로 구성되어 시간이 흐르면서 부식되고 소실되었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금속이나 뼈로 만든 갑주는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 고대(古代)의 유물이 출토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갑주에 있어서는 시대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  

보고서 도입부에서 발췌

 

 

목차

 

제1부 연구개요

1장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2장 연구방법

3장 연구내용

제2부 디자인DNA 기초연구

1장 무관복식의 디자인 DNA

1절 갑주(甲冑)

2절 군복(軍服)

3절 기타 무관복식

4절 참고문헌

2장 정재복식의 디자인 DNA

1절 전악(典樂)복식과 악공(樂工)복식

2절 춘앵전(春鶯囀)복식과 여령(女伶)복식

3절 처용(處容)복식

4절 동기(童妓)복식

5절 무동(舞童)복식

6절 참고문헌

제3부 대표디자인

1장 대표디자인 선정 기준

2장 대표디자인 선정 결과

 

 

----------

이 보고서는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2010,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결과물 중 일부입니다.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은 한국의 정신적, 문화적 가치가 담긴 디자인과 기술 요소를 발굴해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와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지식경제부 주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추진되었습니다. 건축, 가구, 의복, 도자, 인문, 예술 각 분야에서 한국의 고유한 조형 의식의 원형과 정체성이 잘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대표 사례 141개를 찾아 정리하였고, 연구과정 중 50개 주제로 한국디자인DNA를 소개하는 심화연구 보고서가 작성되었는데, 본 보고서는 그중 하나입니다. 



designdb logo

 

designdb logo
Tag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DNA #K디자인 #정체성 #특수복식 #박가영 #패션
"23. 특수복식 - 박가영 숭의여자대학 교수"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