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29. 수식과 장신구 - 장숙환 이화여자대학교 특임교수 외 1인

29. 수식과 장신구

장숙환 

이화여자대학교 특임교수 

곽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 연구원 

 

복식의 미(美)는 모든 사람이 추구하는 것이지만 그 미(美)는 의복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고 차려입음 을 통해서 형성된다. 옷차림 이란 것은 물질 개념인 의복에 착용자의 장식 하고자 하는 의사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 장식은 그 어의(語義)에서 복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裝 은 송대의 『六書故』에 옷이나 장신구를 장식하는 것이다.  라고 되어 있고, 飾 은 장식하다, 덮다, 나타내다, 장식, 차려입음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복식 은『漢書』에서 사용된 예가 있는 용어로 의복의 장식, 의복과 장식 의 의미인데 장식의 어원이 복식에 매우 근접한 용어임을 고려해 볼 때 복식과 장식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2) 장신구는 의복과 장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복식의 범위의 일부로 미를 추구한 목적으로  차려입는  옷차림 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수단이 되는 도구들이라 할수 있다. 조선시대에 차려입음 을 완성시켜 주는 여자 장신구에는 일부 관모류를 포함한 수식(首飾) 장식품과 의복에 걸거나 신체에 걸거나 부착하는 형인 패식(佩飾) 장식품, 그리고 남자의 장신구에 있어서는 망건의 장식품과 입자를 장식하는 정자(頂子), 입영(笠纓). 그리고 선추, 장도, 주머니 등이 있다.

본 논문은 현대 장신구 문화가 서구적 미학인 장식미술의 양식화에 젖어 우리 고유의 아름다운 전통과 독창성이 사라져 가는 안타까운 문화적 현실을 생각하여 새로운 장신구 문화를 정립하기 위하여 우리 장신구의 조형성과 상징성 등 보편적 가치가 잘 나타나 있는 조선 시대 장신구의 특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장신구의 유물과 사적 연구를 통해 특성과 그 의미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외래에 물들지 않고 정착된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장신구에 대한 연구는 선학들의 노력을 통해 역사적인 측면으로 선행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져 왔다. 그 대표적인 선행연구로는 『裝身具』, 3) 『朝鮮朝末期王室服飾』, 4) 『한국의 미-의상, 장신구, 보자기 』, 5) 『한국의 복식미』, 6) 『澹人服飾美術館』, 7) 『우리 옷과 장신구』, 8) 『한민족역사문화도감』, 9) 『치레의 멋, 쓰임의 아름다움 : 장신구』, 10) 『名選 下: 민속·복식』, 11)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동안 사적 고찰은 대부분 복식과 연계하여 고찰하고 있음이 두드러지고 있어 여성 장신구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특징이 여성문화 위에서 형성된 철학적 사고 바탕 위에 시대정신과 가치관의 미적 표현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적 고찰과 분석을 통해 조형성과 심미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함께 전통 장신구의 가치는 새롭게조명되어야 하며, 조선시대 여성장신구 문화에 표출된 특성인 복합적 기능성과 함께 길상적 의미 및 주술성에 대한 상징성을 추출해냄으로서 고유한 미의 식의 정립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보고서 도입부에서 발췌

 

 

목차

 

제1부 연구개요

1장 연구목적

2장 연구범위와 방법

제2부 조선시대 전통장신구

1장 조선시대 여인의 지위와 장신구

1절 수식

2절 패식품

3절 장식품

2장 조선시대 여성장신구에 내재된 상징성과 기능성

1절 의례적 성격과 장신구

2절 길상적 문양과 장신구

3절 실용적 기능성과 장신구

3장 조선시대 남성의 지위와 장식문화

1절 수식

2절 패식품

3절 장식품

4장 맺는 말

제3부 대표디자인

1장 대표디자인해설

1절 대삼작노리개

2절 파란매죽잠

3절 은정자

 

 

----------

이 보고서는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2010,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결과물 중 일부입니다.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은 한국의 정신적, 문화적 가치가 담긴 디자인과 기술 요소를 발굴해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와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지식경제부 주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추진되었습니다. 건축, 가구, 의복, 도자, 인문, 예술 각 분야에서 한국의 고유한 조형 의식의 원형과 정체성이 잘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대표 사례 141개를 찾아 정리하였고, 연구과정 중 50개 주제로 한국디자인DNA를 소개하는 심화연구 보고서가 작성되었는데, 본 보고서는 그중 하나입니다. 



designdb logo

 

designdb logo
Tag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DNA #K디자인 #정체성 #장숙환 #곽경희 #수식 #장신구 #패션
"29. 수식과 장신구 - 장숙환 이화여자대학교 특임교수 외 1인"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