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수출 유망 상품의 미래디자인 방향설정연구 -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990

수출유망상품의 미래디자인 방향설정연구 1990

- 신소재 적용 제품디자인 연구

- 뉴미디어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990.12.

 

 

신소재 적용 제품디자인 연구

연구자 박희면 (한국디자인포장센터 주임연구원) 

이현주(한국디자인포장센터 연구원)

이순종 (국민대학교 교수)

 

뉴미디어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연구자 유상욱 (한국디자인포장센터 연구원) 

이대우(한국디자인포장센터 연구원)

한석우 (국립서울산업대학교 교수) 

강병길 (건국대학교 교수) 

정도성 (울산대학교 교수)

 

신소재 적용 제품디자인 연구의 목차

 

001. 머리글

002. 신소재와 디자인

021. 물질과 물체

022. 신소재와 디자인 환경

003. 신소재 개론

031. 신소재의 정의 및 범위

032. 신소재의 분류

033. 신소재의 발전

034. 신소재의 특성

035. 신소재 산업의 특성, 구조변화 및 전망

004. 신소재 각론

041. 신금속

042. 파인세라믹스

043. 고분자 신소재

005. 신소재 적용 제품개발 현황

051. 파인세라믹스

052. 고분자 신소재

053. 기타 소재

006. 신소재 적용 제품분석

061. 신소재 분류

062. 적용제품의 영역별 분석

063. 적용제품의 특성별 분석

007. 신소재 적용 디자인 대상 선정

071. 대상 선정의 방향

072. 대상의 추출

073. 대상 평가 및 결정

008. 신소재 적용 디자인

081. 사례 1 : 헬멧

082. 사례 2 : 토스터

083. 사례 3 : 도어핸들

009. 맺는말

※ 참고문헌

※ 부록 1. 신소재적용 아이디어 개발사례

※ 부록 2. 설문 샘플 및 조사결과

 

신소재 적용 제품디자인 연구 머리글

 

20세기의 과학과 기술은 과거 어느 때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혁신을 거듭하여 왔다. 그리고 이러한 혁신의 근원을 냉정하게 살펴보면 재료의 발명에서부터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기능을 갖는 어떤 신제품이 개발되어 세상에 나올 경우, 대부분의 경우들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소재들이 우선적으로 개발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반도체 재료, 특수한 전자재료 그리고 여러가지 기능 소자들의 개발은 오늘날 전자산업의 번영을 가져왔다. TV내부는 수많은 전자재료로 이루어져 있어 TV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TV 뿐만 아니라 VTR이나 음향기기같은 가전제품, 자동차, 비행기도 마찬가지이며 우주 개발 역시 소재의 개발이 선행되지 않았더라면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대기권에 진입시 공기마찰로 인한 고온으로부터 동체를 보호할 수 있는 고온 내열 세라믹 재료의 개발은 몇 십번이고 회수해서 쓸 수 있는 우주왕복선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신제품이 탄생은 새로운 특성이나 기능을 갖는 소재가 개발됨으로써 가능하다. 어떤 새로운 재료가 탄생하게 되면 그것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 개발을 유발하여 계속적인 기술혁신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반면 적절한 재료가 없기 때문에 그럴듯한 구상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어떤 측면에서 재료는 “발명의 어머니”이며, “신제품 개발의 열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물을 종합하고 도구를 창조하는 입장에서 디자이너는 이러한 기술과 과학분야의 급변하는 상황과 그 내용에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품환경과 인간환경의 개선과 재료의 함수 관계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문제에 적용시킬 때 창의적 발상과 함께 현존 문제의 적극적이고도 새로운 해결을 기대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신소재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이들 결과에 대한 적용으로 수많은 제품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아직은 저급한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만 여러 산학관기관에서 이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상공부에서는 “기계류 부품 및 신소재 국산화 5개년 계획”, 경제기획원의 “기계류 및 부품, 소재의 국산화 추진 방향”에서 볼 수 있듯이 신소재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지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신소재의 이론적 배경, 제품개발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크게 아래의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재료와 창조와의 상관성과 디자인에 있어서 신소재 중요성을 검토하는 소재와 디자인 연구 단계

둘째, 신소재의 정의, 발전, 분류 및 특성, 그리고 신소재의 전망을 조사하는 신소재 개론 단계

세째, 파인 세라믹스, 폴리머 및 기타 신소재 적용 제품의 조사 및 적용재료의 영역, 특성별 분석 단계

네째, 신소재 적용 디자인 대상의 모색, 선정 및 디자인 종합 단계

신소재는 일반적으로 신금속재료, 파인 세라믹스, 고기능 고분자재료, 복합재료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이론과 적용 제품 사례 부분을 통하여 이들과 관련된 폭넓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신소재 적용 아이디어의 제시 부분에서는 일상 사용환경에서 재료적 측면의 개선으로 새로운 해결이 가능한 대상을 선택하여 전개시켰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전문 연구기관을 통한 신소재관련 기본 이론 및 국내외 현황에 대한 조사, 관련전문가 초청 세미나, 각종 관련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하여 신소재의 특성 및 동향을 파악하고, 관찰, 브레인 스토밍을 통하여 신소재 적용 아이디어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아이디어의 검증방법으로는 설문조사 및 전문가의 견해를 토대로 하였다.

 

 

뉴미디어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의 목차

 

1. 뉴미디어 디자인 방향설정의 연구목적과 배경

1-1. 연구목적

1-2. 연구배경

2. 뉴미디어의 등장

2-1. 정보화 사회의 출현

2-2. 정보화 사회와 뉴미디어

3. 뉴미디어의 정의와 분류

3-1. 뉴미디어의 정의

3-2. 뉴미디어의 분류

4. 뉴미디어의 구성과 계획

4-1. 종합 정보통신망(ISDN) 특성

4-1-1. ISDN의 구성과 관련 분야

4-1-2. ISDN의 개발 계획

4-1-3. ISDN의 전망

4-2. 컴퓨터

4-3. 팩스

4-4. 전화기

5. 뉴미디어와 생활 문화

6. 뉴미디어와 시장 변화

7. 뉴미디어와 시대의 문제점

8. 뉴미디어 연구 개발을 위한 전략

8-1. 신기술의 개발 방안

8-2. R & D의 규모와 현상 분석

8-3. 퍼지(FUZZY) 이론

9. 뉴미디어 디자인 방향설정을 위한 개발계획과 제품실제

9-1. 디자인 개요 및 계획(Design schedule & milestones)

9-2. 문제 인식과 전략(Definition & recognition)

9-3. 디자인 분석과 진단(Analysis & diagnosis)

9-4. 기본 전략 결정 (Sequence spec)

9-5. 개발 SYSTEM(Out line proposal)

9-6. 디자인 계획안 제시 (Idea formulation)

9–6–1. 디자인 배경

9-6-2. 디자인 제안의 개념

9–6–3. MOTIVATION

9-6-4. CAD SIMULATION

9-6-5. MOCK-UP

 

뉴미디어 디자인 방향설정의 연구목적과 배경

 

서기 2000년을 직면하면서 인간에게는 예측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것(Something new)이 탄생하였으며, 이미 생활의 일부에 정보화, 탈산업화, 여성화, 고령화, 국제화, 개성화, 가치 혁신 등의 신세대 매체(New Generation Media)를 접하게 되었다.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필요불가결한 4FSfe(Innovation, Invention, Information, Intelligence)는 내재된 인간의 가치요소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그에 따른 형태(形態) 변화는 소비자 계층의 다변화, 레저스포츠의 대중화, 복고풍의 유행, 자연주의, 감각주의, 건강에 대한 관심, 개발주의 인간관계의 희박화, 수평구조 등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신매체(New Media)와 관련된 첨단과학기술은 인간본위의 정보기술과 기반기술로서 IC, 광(光), 뉴미디어, 신소재, 생명공학 등을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인간환경의 세계적인 변화는 신도구의 탄생을 예고하였고 사용에 대한 필연성을 가져다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개발의 목적은 미래의 우리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른 신시장을 위한 신상품개발과 국가적으로 중점 육성하고 있는 첨단산업을 배경으로 생활자(生活者) 중심의 도구와 사용에 관련 상호 유기직 관련성 (Man-Machine Interface Interaction)에 주안점을 두었고, 그에 따른 현대적 개념의 인본주의적 디자인 컨셉트에 표적(Target Design)을 부여하였다. 이것은 인간적 측면에서 도구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위상 정립이며, 디자인에 대한 커다란 변혁을 가져다 줄 것이다.

 

 

 

 

  

 

 

 

 

 

 

 

 

 

 

 

"수출 유망 상품의 미래디자인 방향설정연구 -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990"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