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디자인·문화콘텐츠 산업인력현황 보고서
디자인・문화콘텐츠 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22
연구기관 : 디자인・문화콘텐츠 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
총괄책임자 : 심성보 사무국장
연구진 : 이성수 책임연구원, 김선주 선임연구원
조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인력 현황 조사·분석 및 현장 전문가 의견 수렴 등으로 핵심
이슈를 발굴하고 대응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산업 수요에 적합한 인력 양성에 기여하
고자 추진되었으며, 디자인·문화콘텐츠 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는 디자인과 콘텐츠 산업계 특성과 분류를 바탕으로 인적자원 관련 현황 및 인력 수급 실태 분석을 위해 2022년 산업인력 현황분석을 함. 조사를 통하여 디자인·문화콘텐츠 산업동향과 인력 수급 현황, 교육 훈련 현황을 바탕으로 향후 전략 직무 분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변화하는 디자인·문화콘텐츠 인적자원개발 관련 핵심이슈 발굴 및 정책 제언을 통해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함
조사 방법
분야의 산업 현황, 인력 현황의 각종 문헌자료(통계) 및 선행연구자료 조사·수집 및 정량적 데이터에 대해 분석을 하였음
- 디자인·문화콘텐츠 기관별 주요 통계자료 중, 디자인, 문화콘텐츠 산업현황 통계자료를 추출·취합하여 범위 및 변화 상황을 파악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함
디자인·문화콘텐츠 산·학계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정성적 분석 결과에 대한 검증과 신뢰성을 확보하였음
- 분야별 전문가 및 ISC 참여기관 및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함
한계 및 향후 개선방안
본 보고서는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및 인력 현황 관련 종합 정보로 의의가 있으며, 발표된 원시 데이터의 재구성 및 분석을 통해 구성함에 따라 산업계 특성 반영이 다소 부족할 수 있음
- 디자인·문화콘텐츠 기관별로 분류체계가 상이하여 통계 항목의 수치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조사 결과의 일반화에 유의가 필요함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은 특성상 각기 단일 분야로 보기 어렵고 협업으로 이뤄지는 융합적 특성을 지닌 산업인 점을 고려할 때, 타 분야와의 유사성 및 상호보완적 관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
- 디자인 산업 분류와 문화콘텐츠 산업 분류에서 공통된 직업 및 직무가 상당부분 있으므로 관련 인력 통계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한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
목차
Ⅰ. 서론
1. 조사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방법
3. 한계 및 향후 개선방안
Ⅱ.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범위 및 환경변화
1.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정의
2.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범위
3.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환경변화
4. 시사점
III.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고용현황 및 수요분석
1.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직업분류
2.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고용현황
3.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숙련 수요분석
IV.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의 인력공급 현황
1.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직무별 자격 및 교육훈련 현황
2.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자격을 통한 인력양성 현황
3.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교육훈련을 통한 인력양성 현황
4. 소결
V. 결론
1.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자격·교육훈련 개선방안
2.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인력 및 숙련 수요에 따른 자격·교육훈련 개선방안
3. 기타 제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