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없는 도시 서울. 서울시 제2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2024~2028) - 서울특별시
'약자도 함께하는 도시' 서울의 청사진
제2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2024~2028)
서울특별시, 2023.12.30.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 발표…포용적 도시환경 비전 제시
서울시는 작년 제2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2024~2028)을 발표하며,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급속한 고령화, 외국인 주민 증가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포용적이고 보편적인 생활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16년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 도시조성 기본 조례」를 제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2018년에는 제1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며, 이번 제2차 계획에서는 서울형 유니버설디자인 2.0을 기반으로 한 비전과 구체적 실행 과제를 설정했다. 특히 공공공간 유형별 가이드북 발간을 통해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며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제2차 기본계획은 더 넓은 사용 범위와 깊이 있는 사용자 이해를 기반으로 도시 환경을 재구성하며, 2028년까지 실행 가능한 과제를 발굴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계획을 통해 서울시는 보편적이고 차별 없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며, 모든 시민이 유니버설디자인의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포용적 도시로의 도약을 이어갈 전망이다.
서울시는 시정 핵심 기조인 '약자 동행' 철학을 도시디자인에 접목하며,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한 공공공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 ‘모두를 위한 공중화장실 적용지침’과 같은 시설별 세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며 공공디자인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022 IAUD 국제 디자인어워드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도 받았다.
기획·총괄
디자인정책관
최인규 디자인정책관
노수임, 이창현(전) 디자인정책담당관
이은주 유니버설디자인팀장
이한솔, 정선아(전) 주무관
서수민 주무관
연구·수행
(주)투엔티플러스
채완석 책임연구원
이영진 연구원
임형진 연구원
이선주 연구원
김지유 연구원
문혜지 연구원
(사)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변혜령 연구원
이수진 연구원
박수연 연구원
이수영 연구원
자문위원
김현중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선영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오성훈 건축공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영호 홍익대학교 교수
신재령 홍익대학교 교수
권성은 홍익대학교 교수
2023년 12월 30일 초판 인쇄
2023년 12월 30일 초판 발행
발행처: 서울특별시
발행인: 오세훈
펴낸곳: 서울특별시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www.seoul.go.kr
비매품
ISBN 979-11-7177-071-7
출처 : 서울시 문화포털 https://culture.seoul.go.kr/culture/bbs/B0000009/view.do?nttId=12898&menuNo=200035&pageIndex=1

관련자료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 https://www.sudc.or.kr/cop/bbs/selectBoardList.do?bbssetupSn=6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 : https://culture.seoul.go.kr/culture/bbs/B0000009/view.do?nttId=12898&menuNo=200035&pageIndex=1
#초고령사회 #고령사회'약자도 함께하는 도시' 서울의 청사진
제2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2024~2028)
서울특별시, 2023.12.30.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 발표…포용적 도시환경 비전 제시
서울시는 작년 제2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2024~2028)을 발표하며,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급속한 고령화, 외국인 주민 증가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포용적이고 보편적인 생활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16년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 도시조성 기본 조례」를 제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2018년에는 제1차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며, 이번 제2차 계획에서는 서울형 유니버설디자인 2.0을 기반으로 한 비전과 구체적 실행 과제를 설정했다. 특히 공공공간 유형별 가이드북 발간을 통해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며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제2차 기본계획은 더 넓은 사용 범위와 깊이 있는 사용자 이해를 기반으로 도시 환경을 재구성하며, 2028년까지 실행 가능한 과제를 발굴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계획을 통해 서울시는 보편적이고 차별 없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며, 모든 시민이 유니버설디자인의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포용적 도시로의 도약을 이어갈 전망이다.
서울시는 시정 핵심 기조인 '약자 동행' 철학을 도시디자인에 접목하며,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한 공공공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 ‘모두를 위한 공중화장실 적용지침’과 같은 시설별 세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며 공공디자인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022 IAUD 국제 디자인어워드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도 받았다.
기획·총괄
디자인정책관
최인규 디자인정책관
노수임, 이창현(전) 디자인정책담당관
이은주 유니버설디자인팀장
이한솔, 정선아(전) 주무관
서수민 주무관
연구·수행
(주)투엔티플러스
채완석 책임연구원
이영진 연구원
임형진 연구원
이선주 연구원
김지유 연구원
문혜지 연구원
(사)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변혜령 연구원
이수진 연구원
박수연 연구원
이수영 연구원
자문위원
김현중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선영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오성훈 건축공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영호 홍익대학교 교수
신재령 홍익대학교 교수
권성은 홍익대학교 교수
2023년 12월 30일 초판 인쇄
2023년 12월 30일 초판 발행
발행처: 서울특별시
발행인: 오세훈
펴낸곳: 서울특별시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www.seoul.go.kr
비매품
ISBN 979-11-7177-071-7
출처 : 서울시 문화포털 https://culture.seoul.go.kr/culture/bbs/B0000009/view.do?nttId=12898&menuNo=200035&pageIndex=1

관련자료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 https://www.sudc.or.kr/cop/bbs/selectBoardList.do?bbssetupSn=6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 : https://culture.seoul.go.kr/culture/bbs/B0000009/view.do?nttId=12898&menuNo=200035&pageIndex=1
#유니버설디자인 #공공디자인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