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울산광역시 건축물 안전디자인 기본지침 - 울산광역시, 2025

울산광역시 건축물 안전디자인 기본지침 

울산광역시, 2025


울산시, 건축물 설계에 ‘안전’ 기준 명문화… 5월부터 본격 적용
– 공공 및 민간건축물 모두 대상… 실증 기반 ‘안전디자인 기본지침’ 마련 –

울산광역시는 재난·사고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건축물 안전디자인 기본지침」을 수립하고, 2025년 5월부터 공공 및 민간건축물 설계에 본격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침은 기존 공공건축물 안전디자인 개선사업의 성과를 제도화한 첫 사례로, 시각 정보의 인지성, 유도 간판의 가독성, 소방시설의 시인성 등 핵심 요소를 통합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글꼴, 색채, 그림문자 등 시각언어는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에 따라 표준화하여 고령자, 색약자, 외국인 등 다양한 사용자들의 접근성과 이해도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침 수립에는 건축, 디자인, 법률, 경찰 등 20여 명의 외부 전문가와 공공디자인진흥위원이 참여했으며, 울산시가 지난 2년간 진행한 실증 사업 성과도 반영됐다.

대표 사례인 울산종합운동장에서는 출입구 색상 구분, 바닥 대피 유도선, 시각 안내체계 개선 등을 통해 실제 시선추적조사 결과,

  • 정보 전달 명확성 63% 향상

  • 출입구·좌석표지 시인성 39.5% 향상

  • 대피 이동시간 12.2% 단축
    등의 개선 효과가 입증됐다.

해당 지침은 동천실내체육관, 제2시립노인복지관, 울산문화예술회관 등 다른 주요 공공시설에도 순차 적용 중이며, 2030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하위 지침으로도 통합된다.

울산시는 향후 건축심의·경관심의 등 주요 설계 검토 단계에 본 지침을 반영하고, 울산건축사협회 등 관련 단체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민간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도시 디자인은 단순한 미관을 넘어 생존과 직결된 안전의 수단이어야 한다”며, “이번 지침은 선언이 아니라 현장 검증을 거친 기준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목차

 

01 누구나 읽기 쉬운 지정보기 쉬운 지정글꼴 사용
1.1 글꼴
1.2 굵기
1.3 간격
1.4 크기
1.5 외국어 표기

02 색채를 이용한 인지성 증대
2.1 명도차
2.2 명도·채도 대비
2.3 윤곽선 및 패턴화

03 이용자를 고려한 설치 높이
3.1 안내판 설치 높이
3.2 안내판 거리애 따른 설치 높이

04 소방시설의 시인성 및 영역성 강화
4.1 소방시설 기본 구성
4.2 야간 및 비상 정전 시

05 주시방향에 따른 올바른 비상대피도 표시
5. 지도 방위 표시 예시

06 모든 사용자가 보기쉬운 피난대피도
6. 디자인 기준

07 표준규격 활용으로 통일성 강화
7.1 픽토그램(그래픽 심볼) 규격 안내
7.2 소방 및 안전색 국가표준
7.3 지하주차장 및 비상대피도 안내사인물

08 건축물 안전디자인 체크리스트

 

부록 공공건축물 안전디자인 개선 사업 사례


발행기관 : 울산광역시청

발행부서 : 건설주택국 도시경관과 공공디자인팀

발행일자 : 2025. 2.

참여연구진
울산광역시

  • 이재업 건설주택국장

  • 최영만 도시경관과장

  • 하정석 공공디자인팀 팀장

  • 박진섭 공공디자인팀 주무관

  • 김진우 공공디자인팀 주무관

  • 정필성 공공디자인팀 주무관

자문위원

  • 장훈익 울산과학대학교 교수

  • 김법관 울산대학교 교수

  • 이창수 유시에스 어반스페이스랩 대표

공공디자인 진흥위원 4기

  • 이규백 울산대학교 교수

  • 신선영 울산대학교 교수

  • 홍유준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 정지원 울산대학교 교수

  • 노지화 부경대학교 교수

  • 장훈익 울산과학대 교수

  • 최정윤 동의대학교 교수

  • 김종엽 동의대학교 교수

  • 이주현 부산디지털대학교 교수

  • 김지환 대한변리사회 지킴특허 법률사무소

  • 정홍가 (사)울산조경협회 회원

  • 정순오 울산경찰청 범죄예방계장

  • 이규욱 울산디자인협회 회장

  • 박한출 대구 디자인주도 제조혁신센터장

  • 임영내 울산공간디자인협회 이사

  • 이용렬 울산옥외광고협회 이사

  • 김지영 울산광역시 건축사회 회원

 


울산광역시 건축물 안전디자인 기본 가이드

발행일 2025년 2월

 

편집 및 발행 울산광역시 건설주택국 도시경관과
680-701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Tel. (052) 229 – 6551 Fax. (052) 229 – 6529

 

© 2025 THE PROVINCE ULSAN. ALL Rights Reserved.
본 기본 가이드의 저작권은 울산광역시에 있습니다.

 

출처 및 파일 내려받기 : 울산광역시 >  건설/주택/토지 > 도시경관 > 공공디자인 > 공공디자인 자료실

https://www.ulsan.go.kr/u/metro/bbs/view.do?bbsId=BBS_0000000000000194&mId=001003004004000000&dataId=171879#fileDownload

 

 




 

"울산광역시 건축물 안전디자인 기본지침 - 울산광역시, 2025"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