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s
2010's
2000's
1990's
1980's
1970's
1960's
1950's
1940's
1930's
1920's
1910's
1900's
1890's
>
한국디자인사
한국디자인진흥원사
대표 디자인 (GD)
2020's
  • 2022
    • 디자인주도 제조혁신센터(대구) 개소
    • [대통령상] 엑스 호이스터 / 학생
  • 2021
    • 홀로그램, 상표·화상디자인 등 디자인보호법 보호대상 확대(특허청)
    • 디자인주도 제조혁신센터(경남창원, 경기시흥, 경북구미, 광주) 개소
    • [Grand Prize] K5 유니트체어 / 오스템임플란트(주)
  • 2020
    • 강원디자인진흥원 개원(원장 최인숙)
    • 대전디자인진흥원 개원(원장 윤병문)
    • 정부 및 지자체 공공서비스디자이너 채용 시작(전문임기제공무원)
    • 월간 디자인 500호 발간(창간 44년, 2020년 2월)
    • 국내최초,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시행
    • 디자인코리아뮤지엄 유치 개관(코리아디자인센터)
    • 산업디자인 표준 품셈 제정
    • 디자인DB(designdb.com) 개편
    • 디자인진흥 50년 기념 전시 "디자인코리아 아카이브전"
    • "디자인 코리아 -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사" 출간
    • 30년 후 디자인산업의 미래 구상, "디자인비전2050" 선포
    • 우수디자인상품선정 심볼마크 디자인 개편
    • [Grand Prize] 퓨리케어 듀얼 정수기 / LG전자(주)
2010's
  • 2019
    • 삼성전자 갤럭시폴드 공개
    • 5G 이동통신, 세계 최초 상용화
    • 산돌 정체 발표
    • 바우하우스 100주년 기념 <바우하우스> 앤솔로지 출간
    • 배달의 민족, 딜리버리히어로(독일)에 매각(약 4조7천억 원)
    •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 기념전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
    • 배달의 민족, 딜리버리히어로(독일)에 매각(약 4조7천억 원)
    • 바이러스디자인(박관우) "삼백만 불 수출의 탑" 수상
    • 디자인주도 제품개발지원센터 DKWorks 개소
    • 스타일테크 사업 추진
    • 대한민국 디자인공공기관 협의회 발대식
    • 디자인혁신국민단 공식 출범
    • 디자인권리보호 웹드라마 제작
    • 한국디자인순더비즈센터 개소
    • DK웍스 개소(가산)
    • IIDC 국제융합디자인캠프 개최
    • 한-스웨덴 디자인포럼《포용적디지털전환디자인》개최
    • 한-스웨덴 수교60주년 기념 최초 공동 디자인어워드
      <모두를 위한 디자인> 개최
    • 산업디자인 개발의 대가 기준 제정·고시(산업통상자원부 12. 20)
    • [Grand Prize] 올레드 TV / LG전자(주)
  • 2018
    • 융복합 가전 브랜드 LG오브제 출시
    • 경기도 국내 첫 자율주행 버스 시범운행
    • 한베 디자인센터 개소식(하노이)
    • 세대융합창업캠퍼스 개소식
    • KIDP-디자인계 원로교수 간담회
    • 디자인 통합민원센터 개소
    • K-DESIGN POWER! 전시
    • [대통령상] 스마트 오디오 VL 시리즈 / 삼성전자(주)
  • 2017
    • KT 인공지능 TV 기가지니 출시
    • 삼성 QLED TV 발표
    • 전시회 개최
    • 사이즈코리아센터 개소식
    • 세대융합창업캠퍼스 사업 운영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토론회 개최
    • 디자인혁신유망기업 간담회 및 설명회 개최
    • 꼬레코너 런칭 기념 디자인 플리마켓 개최
    • [대통령상] LG 공항 청소 로봇 / LG전자(주)
  • 2016
    • LG전자 가전 통합브랜드 LG시그니처 공개
    • 정부 상징체계 통합
    • SK텔레콤 인공지능 스피커 NUGU 출시
    • 애플워치 국내 출시
    • 디자인 혁신포럼 개최“정부 디자인혁신전략 발표”
    • K-디자인샵 잠실점 오픈(유통지원사업)
    • 영국 DESIGN-DRIVEN STAR UP 초청 세미나 개최
    • 디자인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 미래환경 예측 및 사용자 기반의 신상품 기획 세미나
    • [대통령상] LG SIGNATURE OLED TV / LG전자(주)
  • 2015
    •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전 <교, 향> 개최
    • 미래융합디자인센터 완공 및 개관기념 세미나 개최
    • 중부창업보육센터 개소식
    • 정부 3.0 비전 선포
    • 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사업 추진
    • 중국 이우 한국생활디자인센터 개소
    • [대통령상] 21:9 커브드 SUHD TV / 삼성전자(주)
  • 2014
    • 환경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 ‘자연마당’조성 확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개관
    • 국민디자인단 출범
    • 한국디자인상품 미국,독일 팝업스토어
    • 디자인 융합의 가치 세미나 개최
    • ISC(디자인문화콘텐츠 산업 인적자원 개발위원회) 사업 시작
    • K-DESIGN 3.0 혁신과제 발굴 워크숍
    • [대통령상] 105" 곡면 Ultra HD TV / LG전자(주)
  • 2013
    • 홍익대학교 실기고사 폐지
    •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개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중국사무소 개소
    • 대한민국 국제 포스터전 개최
    • 디자인표준계약서 개발 및 디자인공지 증명제도 운영
    • 디자이너 서비아벌 제작발표회
    • 한국디자인 DNA 아카이브 제작
    • [대통령상] LG G2 / LG전자(주)
  • 2012
    • <타이포그래피 사전> 발간
    • 산돌고딕네오 아이폰 운영체제 기본 글꼴 채택
    • 카카오 프렌즈 발표
    • 제1회 과자전 개최
    • 디스트릭트, 세계최초 디지털 테마파크 LIVE PARK 런칭
    • 한국-스위스 디자인 세미나 개최
    •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
    • 디자인분쟁조정위원회 출범
    • K-DESIGN 비전 선포식
    • 2012 ADA(Asia Design Assembly) Workshop
    • [대통령상] OLED TV / LG전자(주)
  • 2011
    • 삼성-애플 디자인특허 소송
    • LG 트롬스타일러 출시
    • 우아한 형제들 설립
    • 제2회 타이포잔치 개최
    • 한국디자인DNA 세미나 개최
    • 디자인 어울림 한마당 개최
    • 2011 국제서비스디자인 세미나 개최
    • 21C 디자인경영 컨퍼런스 <미래디자인 전략을 말하다.>
    • 2011 필리핀 디자인나눔 세미나 개최
    • [대통령상] Global Door-in-Door 냉장고 / LG전자(주)
  • 2010
    • 조관현, 천지인 자판 특허권 기부
    • 서울시, 세계디자인수도로 선정
    • 디자인모올‘100만불 수출의 탑’수상
    • <글짜씨> 창간
    • 디지로그 사물놀이 4D 공연
    • 해외디자인나눔사업 시행(베트남, 말레이시아)
    • 한국디자인DNA 발굴 및 정립사업 시행
    • 대전충청지역 코리아디자인멤버십 사업 추진
    • 5대 디자인트렌드 발표
    • [대통령상] 55인치 3D-LED TV / 삼성전자(주)
2000's
  • 2009
    • 서울디자인재단 출범
    • 삼성 첫 갤럭시 시리즈 출시
    • <디플러스> 창간
    • 디자인 직류제 시행
    • 제1회 언리미티드 에디션 개최
    • 한국디자인DNA 발굴사업 추진
    • 융합형 디자인대학 육성사업 시작
    • 디자인 R&D 평가관리 기능 KEIT 이관
    • 코리아디자인위크
    • 한국일류상품전 GD홍보관 운영(폴란드 바르샤바)
    • [대통령상] 쏘울 / 기아자동차
  • 2008
    • 근현대 디자인박물관 개관
    •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 발표
    • 한국디자인문화재단 설립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창립
    • 제1회 서울디자인 올림픽 개최
    • 디자인코리아 광저우 개최
    • 한국디자인진흥원 비전 선포
    • 제4차 산업디자인진흥 종합계획 수립
    • 이탈리아 지니어스 나우전 개최
    • 코리아디자인포럼 2008 개최
    • [대통령상] 래미안 한국형 욕실디자인 /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 2007
    • LG 프라다폰 출시
    • 제1회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 개최
    • 서울시 디자인서울 총괄 본부 설치
    • <GRAPHIC> 창간
    • 디자인대토론회 개최
    • 디자인나눔(사회공헌활동) 시작
    • 디자인전문회사 중국시장개척단 파견
    • 대한민국을 바꾸는 공공디자인 제작 방영(MBN)
    • 디자인경영 10포인트 발간
    • [대통령상] 서교동 자이 갤러리 / GS건설
  • 2006
    • 삼성전자 보르도 TV 출시
    • 한샘 키친바흐 론칭
    • 한국공공디자인학회 설립
    • LG전자 꽃무늬 아트디오스 출시
    • 이상봉, 한글 패션쇼(프랑스 파리)
    • 디자인코리아 상하이 개최
    • 부산 및 대구 디자인센터 설립
    • 디자인 정책 연구파트 신설
    • 공공디자인개선사업 확대
    • GD, 호주 굿디자인(ADA)와 상호 인증
    • [대통령상] 아트 디오스 프렌치 냉장고 / LG전자(주)
  • 2005
    • 디자인보호법 시행
    • LG 초콜릿폰 출시
    • 삼성 이건희 회장 밀라노선언
    • 아모레퍼시픽‘아리따 돋움’개발
    • 제1회 국회 공공디자인 전시회 및 세미나 개최
    • 광주디자인센터 설립
    • 제1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개최
    • 특허청에서 의장법을 디자인보호법으로 개정
    • [대통령상] CYON 초슬림 슬라이드폰 / LG전자(주)
  • 2004
    • 현대카드 전용 글꼴 발표
    • 리움미술관 개관
    • 쌈지길 완경
    • 삼성, 미국 IDEA상 최다수상 기업 선정
    • 어도비 인디자인 한글판 발표
    • 차세대디자인리더 시행
    • 대전충청지역 디자인 지원센터 개소식
    • 정부조달 우수제품 및 디자인전 개최
    • ICSID 세계디자인센터장 회의 개최
    • 한국디자인산업 연구센터 개소식
    • [대통령상] 애니콜 / 삼성전자(주)
  • 2003
    • 현대카드 M 출시
    • 뽀롱뽀롱 뽀로로 방영
    • 제1회 디자인코리아 개최
    • Design Korea 2003 디자인산업 발전전략 발표
    • Korea Design Week(한불 디자인 협력) 개최
    • KIDP 고객가치경영 선포식
    • 제3차 산업디자인진흥 종합계획 수립
    • [대통령상] 스페셜 5002 화이트- H / (주)에넥스
  • 2002
    • 아이리버 MP3 플레이어 IFP-100 출시
    • 서울디자인페스티벌 2002 개최
    • 삼성 SGH-T100 출시
    • 선유도공원 준공
    • 제1회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개최
    • 디자인대학박람회 개최
    • 2002한일 공동패션쇼 개최
    • 국제디자인트렌드(IDTC) 개소
    • 전자도서관 개관식
    • [대통령상] LG CYON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 LG전자(주)
  • 2001
    • MBC 디자인 특집 방영
    • 2001 서울 산업디자이너 선언문 발표
    • 성남시 디자인 도시 선포
    • 제1회 타이포 잔치 개최
    •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상상전 개최
    • 한국디자인진흥원 출범 및 코리아디자인센터 완공
    • 세계산업디자인총회(ICSID) 개최
    • 국가 이미지 혁신사업 추진
    • e-디자인 아카데미 홈페이지 개통
    • 한국디자인진흥원 호남지원 개원
    • [대통령상] 쎈스큐 760 / 삼성전자(주)
  • 2000
    • 디자인전문인력 병역 특례 허용
    • 산업자원부 디자인브랜드과 신설
    • 밀레니엄 디자인어워드 2000 개최
    • SBS 디자인 특집 방영
    • LG전자 디자이너 출신 부사장(김철호) 선임
    • 세계그래픽디자인대회(ICOGRADA) 개최
    • 제4회 서울-아시아 그래픽 포스터 비엔날레 개최
    • DESIGNDB.COM 신설
    • 제1회 플래시 디자인전 개최
    • 디자인혁신센터 설립(부산, 경기, 광주, 대전)
    • [대통령상] 싼타페 / 현대자동차
1990's
  • 1999
    • 예술의전당 한가람 디자인미술관 개관
    • <디자인문화비평>, <디자인텍스트> 창간
    • <TTL> 창간
    • <조선일보> 가로쓰기 채택
    • 제1회 대한민국 컴퓨터그래픽스대전
    • 제1회 산업디자인 진흥대회 개최
    • 산업디자인 경쟁력 강화방안 세미나 개최
    • 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법률 제5773호) 공포
    • 개발지원사업 우수디자이너 TOP 10 시상식
    • 디자인 경영포럼 개최(동아일보 공동)
    • [대통령상] 디오스 / LG전자(주)
  • 1998
    • 디지털캐스트 세계 최초 상용 MP3 플레이어 개발
    • 대우자동차 마티즈 출시
    • 제1회 한국캐릭터디자인 공모전 개최
    • 진로 참이슬 브랜드 디자인
    • 웹디자인 에이전시 FID 설립
    • 98 한국디자이너대회 어울림 개최
    •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 1회 졸업생 배출
    • ASEM에서 Designit 김대중 대통령, 토니 블레이어 영국총리 공동서명
    • 수출 상품디자인 지원 캠페인 1차 지원단 발대식 및 설명회
    • 코리아디자인센터 기공식
    • [대통령상] 휴대용 소형 녹음/재생기 / LG전자(주)
  • 1997
    • 통상산업부, 산업디자인 병역혜택 추진
    • 세계디자인총회(ICSID) 서울유치 확정
    • 제1회 산업디자인상 제정(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 <디자인네트> 창간
    • 디자인전략지원센터 출범식 및 우수산업디자인성공 상품발표회
    • 한국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에서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으로 개칭
    •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 제1기 정규과정 수료식
    • 산업디자인 정규교육과정 전시회
    • ICOGRADA Congress 2000 Korea 유치 확정
    • [대통령상] 스포츠카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1996
    • 초중고 교과서에 산업디자인 내용 수록
    • 타이포그래피 전문잡지 <정글> 창간
    • 세계화추진위원회‘디자인산업 세계화’방안 마련
    • 서울시 휘장 시민 공모
    • 현대차 스포츠카 티뷰론 출시
    •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IDAS) 개원
    • 안토니오 가우디 특별전시회
    • 통상산업부 산업디자인학과 신설
    • 국제수송산업디자인 심포지움 개최
    • 96 세계 산업디자인 심포지움 개최
    • [대통령상] 분리-결합형 8mm 캠코더 / LG전자(주)
  • 1995
    • 현대자동차 디자인실, 디자인연구소로 확대
    • 정경원 교수, ICSID 이사 피선
    •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창립
    • 삼성 디자인교육원(SADI) 개원
    • LG CI 변경
    • 제1회 세계 5개국 디자인교류전 개최
    • 제2회 세계산업디자인 심포지움 개최
    • 대구경북 산업디자인협의회 구성
    • 제2회 산업디자인의 날 개최
    •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 건물 신축
    • [대통령상] 벽걸이 하이파이 오디오 / LG전자(주)
  • 1994
    • 삼성전자 디자인연구소 설립
    • 한국디자인학회 재발족
    • 학국시작정보디자인협회(VIDAK) 창설
    • 삼성 애니콜 브랜드 사용 시작
    • 안그라픽스 <디자인사전> 발간
    • 산업디자인의 날 선포(매년 05.02)
    • 제1회 전국 국민학생 산업디자인공모전 개최
    • 제1회 전국 중고생 산업디자인공모전 개최
    • 우수포장(GP)마크제 도입 및 전시회 개최
    • 서울국제산업디자인교류전
    • [대통령상] 칼라 텔레비전 / 금성사(주)
  • 1993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KAID) 창립
    • 디자인관련 단체 5개 사단법인으로 통합
    • 삼성 신경영 선언 및 CI 변경
    • 기아자동차 스포티지 출시
    • 위니아 김치냉장고 딤채 출시
    • 디자인 발전 원년의 해 선포
    • 산업디자인 주간 행사
    • 제30회 무역의 날, 수출유공기관 대통령 표창
    • 디자인 주간 선포 (93.09.01 - 09.07)
    • 한일 산업디자인 공동 세미나 개최
    • [대통령상] 냉장고 / 금성사(주)
  • 1992
    • 기아자동차 첫 고유모델 세피아 출시
    • 산업디자인 포장진흥 민간협의회 발족
    • 212디자인 디자인수출(모토로라)
    • 92 우수포장상품 전시회 개최
    • 산업디자인 전문회사 신고제도 도입
    • 일본 우수포장디자인상품전 개최
    • 첨단 디자인프로세스와 렌더링 제작기법 세미나 개최
    • [선정] 텔레비전 / 대우전자(주)
  • 1991
    • 디자인포장진흥법, 산업디자인포장진흥법으로 전면 개정 공포
    • 대전세계박람회 마스코트 꿈돌이, 엠블럼 제정
    • 부천시 CIP 도입
    • KBS, <한국표준색표집> 발행
    • 한국산업디자인전문회사협회(KIDCA) 창립
    • 한국디자인포장센터에서 한국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으로 개칭
    • 산업디자인 포장진흥법 개정(법률 제 4321호) 공포
    • 해외우수디자인상품전 개최
    • 9
    • 서울국제포장기자재전 개최
    • 제품 및 포장디자인 세미나 개최
    • [선정] 청소기 / 금성사(주)
  • 1990
    • <의장법> 개정
    • <아름다운 한글 글자체 600년전> 개최
    • 공산품 품질평가 항목에 디자인포함
    • 이노디자인 골프백, 비즈니스위크 최우수 제품 선정
    • 국제디자인대회 개최
    • 기업 디자이너 전문교육 실시
    • 해외우수디자인상품전 개최
    • 한국산업디자인대회 개최
    • 창립 20주년 기념식 개최
    • [선정] 퍼스널 컴퓨터 / 삼성전자(주)
1980's
  • 1989
    • 롯데월드 캐릭터 표절 시비
    • <디자인비즈니스> 창간
    • <독일 바우하우스전> 개최
    • 한국대학생디자인협회 창립
    • 윤디자인연구소 설립
    • 디자인 비즈니스코스마
    • 세계 일류화 상품 디자인 비교 전시회 개최
    • 90 SEOUL PACK 개최
    • 제16회 아시아 포장대회 개최
    • 중고교 미술교사 디자인 교육 실시
    • 89 포장 표준화 세미나 개최
    • [선정] 뮤직센터 / 롯데파이오니아(주)
  • 1988
    • <한겨레> 창간, 가로쓰기 채택
    • <월간 공예> 창간
    • <월간 디자인 저널> 창간
    • <보고서/보고서> 발간
    • 한국출판미술가협회 창립
    • 한불 디자인 심포지움 개최
    • 프랑스 산업디자인전 개최
    • 산업디자인 100호지 발간
    • 국제 산업디자인대회 개최
    • 대일 무역개선 세미나 개최
    • [선정] 전기믹서 / 금성사(주)
  • 1987
    • 금성사 디자인연구소 김철호 소장 취임
    • <시각디자인> 창간
    • 서울올림픽 문화포스터 발표
    • 국내 최초 애플전용 게임 <신검의 전설> 발표
    • 한국프라즘, 텐덤디자인 설립
    • 시각디자인조형사
    • 제1회 한국우수포장대전 개최
    • 디자인 정보화 사업 실시
    • 한일 디자인세미나 개최(전통문화와 디자인)
    • 중소기업 산업디자인과 마케팅 세미나 개최
    • 87 디자인워크숍 실시
    • [선정] 카세트 / 삼성전자(주)
  • 1986
    • 기아 베스타 시판
    • 대우 르망 시판
    • <월간 디자인> 100호 발간
    • 제1회 대한민국공예대전
    • 헥사컴 설립
    • 산업디자인전 개최
    • GD마크 등록(특허청, 업무포장등록 제 26호)
    • 위탁지도기관 지정(중소기업진흥법 시행령 제25조, 55조)
    • GD상품 전시장 준공
    • 86 아시안게임 참여
    • [선정] 냉장고 / 대우전자(주)
  • 1985
    • 현대자동차 쏘나타 출시
    • 86아시안게임 공식포스터 5종 제작
    • 안상수체 완성
    • 안그라픽스 설립
    • 김형윤 편집회사 설립
    • (주)안그라픽스
      한국일러스트레이터협의회
    • 한일 디자인세미나 개최
    • 우수디자인(GD) 상품선정제 실시
    • 중소기업 특별자금지원 추천기관 지정
    • 유망 중소기업 지원기관 지정(상공부)
    • KORPACK 85 개최
    • [선정] 텔레비전 / 삼성전자(주)
  • 1984
    • 체신부, 정부기관 최초 CI 도입
    • LG 애드 설립
    • 조영제 88서울올림픽 포스터 제작
    • 정병규 출판디자인 설립
    • 한국 여류시각디자이너협회 창립
    • 한국그래픽디자이너협회한국일보 광고대상
    • 제1회 포장관리사 대회 개최
    • 디자이너 등록제 시행
    • 중소기업 디자인?포장 상담실 설치 운영
    • 해외 전문가 초청 포장디자인 세미나 개최
    • 산업디자인 진흥과 발전을 위한 강연회 개최
    • 1983
      • KBS 1TV‘세계는 디자인 혁명시대’방영
      • 금성사 디자인종합연구소 설치
      • 서울올림픽 엠블럼, 마스코트 발표
      • 금성 제1회 산업디자인공모전 개최
      • 삼성 제1회 굿디자인전 개최
      • 대우전자
        LG국제디자인공모전
      • 한국산업대학 포장디자인 세미나 개최
      • 금성 제 1회 <산업디자인 공모전> 개최
      • <디자인포장지>를 <산업디자인>,<포장기술> 분리 발간
      • 전두환 대통령“디자인 산업 육성”지시
      • 외국인 전문가 초청 유연포장 세미나 개최
      • 1982
        • 현대자동차 포니2 생산
        •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디자인전문위원회 설치(위원장 조영제)
        • 한미수교 100주년 심벌마크 발표
        • 민철홍산업디자인연구소, 서울지하철 3·4호선 전동차 전면디자인
        • 우수 생활용품전 개최
        •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 서울올림픽을 위한 산업디자인전람회 개최
        • 서울 올림픽 마스코트 발표
        • 해외 우수 문구류전 개최
        • 1981
          • <한국의 미 포스터전> 개최
          • 월간 <광고정보> 창간
          • 삼성 마이마이 출시
          • 기아자동차 봉고 생산
          • ICSID“국제산업디자인대회”개최
          • ICSID 아시아 지역회의 개최(5개국 참가)
          • 아시아 디자인 교류전 개최
          • 제 8차 아시아 포장대회 개최
          • 제22차 APF 이사회 개최(13개국 참가)
          • 1980
            • 브르노 국제그래픽디자인 비엔날레 초청작가 지명(김교만, 김현)
            • <포름> 창간
            • 삼성전자 CIP 도입
            • 한국디자인포장센터 창립 10주년 기념식
            • ICSID 회장 초청 산업디자인 세미나 개최
            • 일본디자이너 에꾸앙 겐지 초청 산업디자인 세미나 개최
            • 80 한국 포장대전 개최
            • 전두환 대통령“포장 기술향상”지시
            1970's
            • 1979
              • <월간 디자인> 제1회 BIM트리엔날레 개최
              • 한국인테리어디자이너협회(KOSID) 창립
              • 오리콤 설립
              • 월간디자인 출판
                한국실내건축가협회
              • 수출포장 세미나 개최
              • 센터 심볼마크 및 사색 제정
              • 영국 산업디자인전 개최
              • 농산물 포장규격 제정(포장실험실)
              • 한국인테리어디자이너협회(KOSID) 창립
              • 1978
                • <동아미술제> 개최
                • 서울패키지디자인협회(SPDA) 창립
                • 한국디자인학회 창립
                • 제1회 한국공업디자인상 공모전(KSID 주최)
                • 대우자동차시각문화사예경
                  한국디자인 학회한국패키지디자인협회
                • 경영자를 위한 포장 세미나 개최
                • 디자인포장진흥법 시행령 공포
                • 완구 부문에 관한 디자인 교육 실시
                • 포장기술 교육 강좌 개강식
                • 1977
                  • <꾸밈> 창간
                  • 미진사 <디자인 용어 사전> 발간(박대순)
                  • 꾸밈미진사
                  • 이태리 산업디자인전 개최
                  • 디자인 선진국을 향한 해외 교류 전시
                  • 제 4차 아시아 포장대회 개최
                  • ICSID 총회 참가
                  • 디자인포장진흥법 공포 (법률 제 3070호)
                  • 1976
                    • <뿌리깊은나무> 창간
                    • <로버트태권 V> 개봉
                    • <월간 디자인> 창간
                    • 김교만 첫 개인전 <김교만 작품전> 개최
                    • 대우 기업PR 광고 시작
                    • 디자인하우스월간 디자인윤씨농방
                      뿌리깊은나무
                    • 포장실험실 개관
                    • 레저용품 전시회 개최
                    • 대한민국상공미술전람회 규정 개정(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개칭)
                    • 일본디자인전문가 초청 디자인진흥 세미나 개최
                    • 월간 <디자인> 창간
                    • 1975
                      • 서울시 자동차용 도로표지판 정비
                      • 금성 공업의장실, 디자인연구실로 개칭
                      • 광복30주년 <한국현대공예대전> 개최
                      • 현대자동차 포니 생산시작
                      • 조영제 디자이너 제일제당, 신세계백화점 등 CI 개발
                      • 개발도상국들을 위한 국제포장세미나 개최
                      • 대기업 디자인 연구실 설립
                      • 한국포장대전 개최
                      • UNIDO 국제포장세미나 개최
                      • 광복 30주년 <한국현대공예대전> 개최
                      • 1974
                        • 기아자동차 브리사 출시
                        • 현대자동차 포니, 토리노 국제자동차박람회 참가
                        • 빙그레 바나나맛 우유 패키지 생산
                        • CDR의 전신 조영제디자인연구소 설립
                        • 국내최초 컬러 TV생산 (아남 CT-201)
                        • 완구제품 굿디자인 전시회 개최
                        • 넥타이 굿디자인 전시회 개최
                        • 정기 이사회에서 연구기금(현 진흥기금) 조성 의결, 기금적립 개시
                        • 해외 포장자료전 개최
                        • ICGRADA 총회 참가
                        • 1973
                          • 제일기획 설립
                          • 디자인포장과 중소기업국으로 이관
                          • 한국공예가회(KCC) 창설
                          • 성신여자사범대학교 공예교육과 신설
                          • 이가솜씨 설립
                          • 제일기획
                            한국공예가협회
                          • 수출의 날 한국디자인포장센터 대통령 표창 수상
                          • 국제산업자인협의회(ICSID) 정회원가입
                          • KIDP 공작실 설치 및 연구
                          • 부산지사 가공공장 준공(대지 2,000평, 건물 400평)
                          • 대한상공미술전람회 규정 제정(대통령령 6486호)
                          • 1972
                            •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를 상업·공업·공예 미술전공으로 개편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이너협회(KSID) 창립
                            • 한국디자이너협의회(KDC) 창립
                            • 한국그래픽디자인협회(KSGD) 창립
                            • 한국디자이너협의회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시각디자인협회
                            • 디자인학과 개설(상업미술·공업미술·공예미술 전공)
                            • KIDP 부산지소 설치
                            • 국제그래픽디자이너협회(ICOGRADA) 가맹
                            • 스위스포스터전 개최
                            • 1971
                              • 한국광고연구협의회(KARA) 창립
                              • 삼성전자, 영업부 소속 디자인조직 신설
                              • 삼성전자 첫 TV 수출(파나마)
                              • 홍익대학교 공예학부에 응용미술과, 공업도안과 개설
                              • 태평양화학 국내최초 메이크업 캠페인‘오마이 러브’실시
                              • 열화당
                              • 제6회 대한민국상공미술전람회 주관
                              • 세계공예협회(WCC) 가맹
                              • 71 KoreaPack 개최
                              • 전국 디자이너대회 개최
                              • 제1회 전국관광민예품 경진대회 개최
                              • 1970
                                • <한국현대디자인실험작가 협회전> 개최
                                • 계간 <디자인> 폐간(한국공예디자인연구소, 총권 4호)
                                • 통상진흥국 디자인포장과 설치
                                • 트랜지스터식 흑백 TV 생산
                                • 한샘 설립
                                • 한샘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 한국포장디자인센터 설립
                                • 기술진흥단체 지정(상공부)
                                • 부산지소 개소(중앙동 4가 191번지)
                                • <디자인•포장> 창간
                                • 우수공예전 개최
                                1960's
                                • 1969
                                  • 제4회 상공미전 개최(대통령상:부수언)
                                  • 한국수출품포장센터 설립(1월 8일)
                                  • 한국공예디자인연구소, 2월에 한국디자인센터로, 3월에 한국수출디자인센터로 개칭
                                  • <계간 디자인> 창간(편집인:이순석, 편집지도:유근준, 편집담당:정시화)
                                  • 박정희 대통령, <계간 디자인>에 ‘美術輸出’이란 용어 사용
                                  • 제1회 한국포장콘테스트전 개최
                                  • 동아미술제 최초 공모전 개최
                                  • 한국인테리어디자이너협회 창립
                                  • 현대디자인실험작가협회 창립
                                  • 합동통신 광고기획실, 광고전문지 <합동광고> 창간
                                  • 만보사, 광고대행사로 발족
                                  • MBC-TV 개국, KBS-TV 상업방송 폐지
                                  • 일본 모리자와 사, 최정호 활자로 한글사진식자 글자판 제작
                                  • 국내 최초로 신세계 백화점 크레디트 카드제 도입
                                  • 한국일보사, 국내 최초의 스포츠 신문 <일간 스포츠> 창간
                                  • 펩시콜라, 국내 상륙
                                  • 삼성전자
                                    한국현대디자인실험작가협회
                                    • 1967
                                      • 제2회 상공미전 개최(대통령상:김길홍)
                                      • 신동헌·신동우 형제 만화영화 ‘홍길동’ 제작
                                      •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 설립
                                      • 동아공예대전 개최
                                      • 민철홍, 대한민국 국장 디자인
                                      • 하동환, 월남과 보루네오에 대형버스 첫 수출
                                      • 한국생산성본부, 국내 최초로 일제 ‘파콤222’ 도입
                                      • 삼화인쇄(주), 국내 최초의 롤랜드 4색 옵셋 인쇄기 도입
                                      • 고려서적 및 삼화인쇄, 국내 최초의 컬러 스캐너 전자색분해기 도입
                                      • ABC연구회 발족
                                      • 대우그룹오리콤합동통신사
                                        LSY원색제판연구소MBC TV 무대미술
                                        • 1966
                                          • 제1회 대한민국 상공미술전람회 개최(대통령상:강찬균)
                                          • 한국공예디자인연구소 설립(초대 이사장 박갑성, 소장 이순석)
                                          • 한국상업미술가협회 5회전을 끝으로 해체
                                          • 격월간 건축·문화잡지 <공간> 창간(발행인 김수근)
                                          • 한국포장기술협회 창립, <포장기술> 창간
                                          • <중앙일보>, 국내 최초로 향기나는 광고 게재
                                          • 전성우·전영우, 간송미술관 설립
                                          • 금성사, 최초로 공업의장실 설치
                                          • 금성사, 국내 최초의 흑백 TV 생산
                                          • 신진자동차, 코로나 승용차 생산
                                          • 두산제관, 캔 맥주(three piece) 생산
                                          • 대한민국상공미술전람회
                                            • 1965
                                              • 한국선전미술협회 발족
                                              • 한국공예가회(KCC) 결성(박대순외 11명)
                                              • 서울대 부설 한국공예디자인기술연구소 설립
                                              •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제15회 전시 및 최초의 전국공모전 개최
                                              • 국내 최초의 한·미·일 합동 스타일화전 개최
                                              • 김동선, 광고회사 S/K 어소시에이츠 공동 설립
                                              • 한국미술협회 창립전 개최
                                              • <중앙일보> 창간 및 중앙광고대상" 제정
                                              • 금성사, 최초의 국산 냉장고 생산
                                              • 한국포장기술협회 창립
                                              • 한·일협정 체결
                                              • 월남 파병
                                              • 아시아자동차 설립
                                              • 신진자동차, 새나라자동차 인수
                                              • 농심라면한국가구
                                                중앙일보
                                                • 1964
                                                  • 조선일보사, "조일광고상" 제정(대상:이효일)
                                                  • 한홍택 문하생 작품전 개최
                                                  • 홍익대학 공예학부에 도안과 신설
                                                  • 서울대, 상업미술과 공예미술로 분리
                                                  • 유붕로·상무달·김원수, 국내 최초의 광고개론서 저술
                                                  • 해태제과 포장디자인실 개설
                                                  • 국내 최초의 차밍 스쿨 설립 및 스타일화전 개최(국제복장학원)
                                                  • 인성산업, 드럼 캔(Drum Can) 생산
                                                  • 성안기계공업사, 그라비아 인쇄기(3도) 개발
                                                  • 동양방송(TBC) TV·라디오 개국
                                                  • 한국 영화 컬러 시네마스코프로 발전
                                                  • 조선일보 광고대상
                                                    • 1962
                                                      • 경성정공이 기아자동차로 상호변경
                                                      • 기아자동차, 오토바이 생산
                                                      • 새나라자동차 설립
                                                      • "새나라자동차" 조립생산
                                                      • 민철홍, "아리랑" 담배 포장 디자인
                                                      • 조선일보사 주최 제1회 광고사진 공모전 개최
                                                      • 금성사, 최초의 전자제품인 라디오 수출
                                                      • 마이클 오세먼(Michael O’Sammon), 광고회사 임팩트 설립
                                                      • 성안기계공업사, 그라비아 인쇄기(1도 인쇄) 개발
                                                      • 신문협회 설립
                                                      • 알파색채
                                                        • 1961
                                                          • 국내 최초의 컬러 시네마스코프 "춘향전" 개봉
                                                          • 국내 최초의 스타일화과 설립(국제복장학원)
                                                          • 한국응용미술가협회 결성(서울대 응용미술과 졸업생 중심)
                                                          • 금성사, 최초의 국산전화기 생산
                                                          • KBS-TV 및 MBC 문화 방송 개국
                                                          • 이시용, 서독서 사진제판법 연수
                                                          • 황창규, 국내 최초 광고관련 논문으로 석사학위 취득
                                                          • KBS TV 무대 미술
                                                            • 1960
                                                              • 미국인 노만 디 한(N. R. De Hann), 공업미술전 개최
                                                              • 한국공예시범연구소 폐소
                                                              • 유강렬 홍익미대 공예학과장으로 위촉(이후 16년간 재작)
                                                              • 금성사에서 최초로 선풍기 생산
                                                              • 조선일보사 국내 최초의 신문용 납작꼴 활자 개발
                                                              • 이해근, 개인부담으로 최초로 인쇄기술 해외 연수
                                                              • 동양맥주, 국내 최초의 사보 (OB뉴스) 창간
                                                              • 한국광고사, 국내 최초의 광고 전문지 <새 굉고> 창간
                                                              • 신흥제지, 크라프트지 생산
                                                              • 강창규
                                                                1950's
                                                                • 1958
                                                                  • 홍악대학교 미술학부내 공예과 신설(정원 80명)
                                                                  • 홍익대학교, 제1회 전국남녀중고등학교 미술실기대회 개최
                                                                  • 김교만, 권순형, NK디자인연구소 설립
                                                                  • 김용중, 한국 PR연구소 및 광고회사 AD 코리아 설립
                                                                  • 삼화인쇄, 원색분해 시작
                                                                  • 한국판화협회 창립
                                                                  • 한국만화가협회 창립
                                                                  • 태평양화학, 국내 최초 사외보 <화장계> 창간(표지모델 이빈화)
                                                                  • 학원사, 국내 최초의 <세계백과사전>(전6권) 간행
                                                                  • 금성사(LG전자 전신) 설립
                                                                  • 최초의 국산 필터담배인 "아리랑" 발매
                                                                  • 금성전자(LG)주식회사 제일광고
                                                                    • 1957
                                                                      • <우리말 큰사전> 출간
                                                                      • 한국공예시범연구소 개소
                                                                      • 백태원, 국내 최초의 공예 개인전 개최
                                                                      • 벨기에 만국박람회 출품 작품전(이순석, 김교만, 권순형 출품)
                                                                      • 한국미술품연구소와 한국조형문화연구소 설립
                                                                      • 동아출판사 국내 최초로 활자 개량 성공(최정호 서체)
                                                                      • 최경자, 제1회 개인 의상 발표회 개최(반도호텔)
                                                                      • 김영기(金永基), 국내 최초의 인쇄기술 해외연수
                                                                      • 한국신문편집인협회 창립
                                                                      • 저작권법 공포
                                                                      • 신진자동차홍원제지
                                                                        • 1955
                                                                          • 공예작가 동인회 창립
                                                                          • 삼화인쇄소, 국내 최초의 원색동판인쇄 시작
                                                                          • 이순석, 서울시문화상 공예부문 수상
                                                                          • 최경자, 대한복식연우회 창립
                                                                          • 제4회 국전 응용미술부를 공예부로 환원
                                                                          • 광복 10주년 기념 산업박람회 개최
                                                                          • 김성환, <동아일보>에 ‘고바우영감’ 게재
                                                                          • 국내 최초의 조립자동차 "시발자동차" 생산
                                                                          • 국내 최초의 치약 "럭키치약" 생산
                                                                          • 하동환자동차제작소 설립
                                                                          • 시발자동차
                                                                            • 1954
                                                                              • 제3회 국전 공예를 응용미술로 개칭
                                                                              • 국내 최초의 TV수상기 수입
                                                                              • 국내 최초의 민간 라디오 방송국 CBS 개국
                                                                              • 사진식자체 국정교과서에 최초 사용
                                                                              • 문교서적(주), 한글·한문 혼용 사진식자기 국내 최초 도입
                                                                              • 정비석, 서울신문에 <자유부인> 연재(삽화 김영주)
                                                                              • <한국일보> 창간 및 해외만화 블론디 연재
                                                                              • 한국일보
                                                                                • 1952
                                                                                  • 홍익대 문학부 안에 미술과 개설
                                                                                  • 장봉선, 사진식자기 자판 고안
                                                                                  • 한국사진작가협회 창립 및 회원전 개최
                                                                                  • 학원사, 학생교양지 <학원> 창간
                                                                                  • 기아자전거, "삼천리"호 생산
                                                                                  • 락희화학, 최초의 프라스틱 제품 생산
                                                                                  • 안상수
                                                                                    OB맥주
                                                                                    • 1950
                                                                                      • 한국전쟁 발발
                                                                                      • 홍익대 초급대학 병설하여 미술과 개설
                                                                                      • 산업미술가 이병현 작고
                                                                                      • 한홍택 대한민국 대통령 휘장 디자인
                                                                                      • 농지개혁
                                                                                      • 홍익대학교 미술과
                                                                                        1940's
                                                                                        • 1949
                                                                                          •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개최(4부 공예부 설치)
                                                                                          •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제7회 "산업건설포스터"전
                                                                                          • 이순석, 도안 개인전 개최(주최 생활미술연구회)
                                                                                          • 이순석, 대통령무궁화대훈장 디자인
                                                                                          • 이화여대 예림원 제1회 졸업생 배출
                                                                                          •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도안과가 응용미술과로 개칭
                                                                                          • 공병우 박사, 고성능 한글타자기 개발
                                                                                          • 20본들이 담배포장 생산
                                                                                          • 김진평김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공예부
                                                                                            • 1948
                                                                                              • 조선산업미술가협회 대한산업미술가협회로 개칭
                                                                                              • 임석재, 광복 후 최초의 개인사진전 개최
                                                                                              • 안익태의 "애국가"를 국가로 채택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김경영신성완
                                                                                                • 1947
                                                                                                  • 이순석, 장식도안 개인전 개최(현 신세계백화점)
                                                                                                  • 조선산업미술가협회 제3, 4회전 개최
                                                                                                  • 한글 가로쓰기 채택
                                                                                                  • 김철호이복식
                                                                                                    럭키화학
                                                                                                    • 1946
                                                                                                      • 조선산업미술가협회 창립전 조국광복전 개최(5월20일∼25일, 동화화랑)
                                                                                                      • 조선산업미술가협회 제2회 "산업포스터 및 팜프렛"전 개최
                                                                                                      • 조선공예가협회 창립(회장 김재석)
                                                                                                      • 조선공예가협회 주최 제1회 조선공예미술전 개최
                                                                                                      • 조선상업미술가협회 창립(회장 김중현)
                                                                                                      • 조선미술동맹 창립(선전미술부 한홍택, 공예부 김봉룡)
                                                                                                      • 조선나전칠기공예조합 창립전(이사장 김우공)
                                                                                                      • 이화여대 예림원에서 도안전공 설치
                                                                                                      • 서울대, 예술대학 미술학부 설치
                                                                                                      • 현대자동차공업사 설립
                                                                                                      • 선정근정병규
                                                                                                        서울대예술대학
                                                                                                        • 1945
                                                                                                          • 8.15 광복
                                                                                                          • 조선산업미술가협회 창립
                                                                                                          • 조선미술건설본부 공예부 설치(위원 이순석)
                                                                                                          • <조선일보> <동아일보> 복간 및 <서울신문> 창간
                                                                                                          • 동아출판사 전신인 동아프린트사, 출판부 설립
                                                                                                          • 조선사진예술연구회 창립
                                                                                                          • 대한제지공업협회 창립(구 조선제지공업협회)
                                                                                                          • 광복 후 최초의 담배 "승리" 발매
                                                                                                          • 장봉선, 첫 벤톤활자 만듬
                                                                                                          • 미군불하 트럭, 지프 등 재생조립
                                                                                                          • 김익달, 학원사 창립
                                                                                                          • 태평양해태제과
                                                                                                            대한산업미술가협회이화여대 예림원 미술학과
                                                                                                            • 1944
                                                                                                              • 공예가 유강열, 일본미술학교 공예도안과 졸업
                                                                                                              • 조선미술전람회 종회
                                                                                                              • 북선화학제지 군산공장 제1호 초지기 가동
                                                                                                              • 경성기공(기아산업 전신) 설립
                                                                                                              • 이상철
                                                                                                                • 1943
                                                                                                                  • 한홍택, 서양화 단체인 녹과회에 작품 출품
                                                                                                                  • 조선단식인쇄(주), 국내 최초로 사진식자기 1대 도입
                                                                                                                  • 이창근장윤호
                                                                                                                    • 1942
                                                                                                                      • 공예가 유강열, 일본 제등(齊藤)공예연구소 입소
                                                                                                                      • 조선어학회 사건
                                                                                                                      • 행남자기
                                                                                                                        • 1941
                                                                                                                          • 잡지 <춘추> 창간
                                                                                                                          • 공출제도 실시
                                                                                                                          • 권명광이신우
                                                                                                                            • 1940
                                                                                                                              • 한홍택, 유한양행 아트디렉터로 근무
                                                                                                                              • 엘리자베스 키츠, ‘때때옷 입은 어린이’ 씰 삽화 제작
                                                                                                                              • 동아일보사, 제3회 상업미술전시회 개최
                                                                                                                              •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 고희동, 첫 개인전 개최
                                                                                                                              • 박재진손석진
                                                                                                                                1930's
                                                                                                                                • 1939
                                                                                                                                  • 한홍택, 도쿄제국미술학교 회화연구과에서 회화전공
                                                                                                                                  • 강창원, 선전 20년 공로상 수상
                                                                                                                                  • 유영완(柳永完). ‘그네 뛰는 처녀’ 크리스마스 씰 삽화 도안
                                                                                                                                  • 동아일보사, 제2회 상업미술전시회 개최
                                                                                                                                  • 총독부 미술관 신축 완성
                                                                                                                                  • 장충섭
                                                                                                                                    쌍용그룹
                                                                                                                                    • 1938
                                                                                                                                      • 동아일보사, 제1회 상업미술전시회 개최 및 광고도안 모집
                                                                                                                                      • 강창원, 일본천황접견실 실내장식으로 공로상 수상
                                                                                                                                      • 김기창, ‘제기차기’ 크리스마스 씰 삽화 도안
                                                                                                                                      • 배운성, 목판화로 파리 르 살롱 입선
                                                                                                                                      • 덕수궁 미술관 개관
                                                                                                                                      • 전형필, 국내 최초의 사설박물관 "보화각" 설립
                                                                                                                                      • 조선일보사, 부민관에서 제1회 영화제 개최
                                                                                                                                      • 문신규부수언윤석태
                                                                                                                                        삼성그룹
                                                                                                                                        상업미술전람회
                                                                                                                                        • 1937
                                                                                                                                          • 한홍택, 일본 도쿄도안전문학교 졸업
                                                                                                                                          • 강창원, 일본 천황접견실 실내장식
                                                                                                                                          • 최경자, 함흥 "銀座屋" 양장점 개설
                                                                                                                                          • 최경자, 함흥양재학원 국내 최초로 설립
                                                                                                                                          • 김기창(金基昶), ‘팽이치는 소년’ 크리스마스 씰 삽화 도안
                                                                                                                                          • 조선일보사, 일본인 강사의 "광고강좌" 개설
                                                                                                                                          • 조선상업미술협회 창립
                                                                                                                                          • 배운성, 방소비 만국목판화전에서 명예상 수상
                                                                                                                                          • 최현배, <우리말 사전> 간행
                                                                                                                                          • 박흥식(朴興植), 화신백화점 건립
                                                                                                                                          • 신능파
                                                                                                                                            • 1936
                                                                                                                                              • 강창원, 선전 조선총독상 및 이왕가상 수상
                                                                                                                                              • 최경자, 동경 오차노미즈(御茶之水) 양장전문학교 졸업
                                                                                                                                              • 배운성, 베를린 만국목판화전 명예상 수상
                                                                                                                                              • 조선서적(주) 국내 최초로 2색 옵셋인쇄기 도입 설치
                                                                                                                                              • 엘리자베스 키츠, ‘연 날리는 어린이’ 씰 삽화 제작
                                                                                                                                              • 안익태, 애국가 작곡
                                                                                                                                              •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
                                                                                                                                              • 신동우조성렬
                                                                                                                                                • 1935
                                                                                                                                                  • 강창원, 동경미술학교 칠공과 및 연구과 졸업
                                                                                                                                                  • 강창원, 일본제국미술전람회 일본 총리대신상 수상
                                                                                                                                                  • 최신영(崔信榮), ‘널뛰는 소녀’ 크리스마스 씰 도안
                                                                                                                                                  • 심 훈, 동아일보에 <상록수> 연재(삽화 이상범)
                                                                                                                                                  • 김성수조영제
                                                                                                                                                    • 1934
                                                                                                                                                      • 이병현, 일본미술학교 도안과 졸업 및 선전 13회 입선
                                                                                                                                                      • 김정환과 이병현, 최초의 목판화 소품전 개최
                                                                                                                                                      • 엘리자베스 키츠, ‘아기업은 여인’ 씰 삽화 제작
                                                                                                                                                      • 진태옥
                                                                                                                                                        • 1933
                                                                                                                                                          • 배운성(裵雲成), 폴란드 바르샤바 국제목판화전 1등상 수상
                                                                                                                                                          • 고유섭, 개성부립박물관 관장으로 부임
                                                                                                                                                          • 동아일보사, 이원모 자본을 일본에 보내 최초의 한글 명조체 활자 완성
                                                                                                                                                          • 한글맞춤법 통일안 발표
                                                                                                                                                          • 조선일보사, 한국 최초로 100만부 발행
                                                                                                                                                          • 김광배민철홍박용귀이관구한도룡한영수
                                                                                                                                                            • 1932
                                                                                                                                                              • 조선미술전람회 11회전부터 공예부 신설
                                                                                                                                                              • 조선일보, 광고에 대한 일반 상식 해설 기사 연재(14회)
                                                                                                                                                              • 이태식, 선만사진제판소(鮮滿寫眞製版所) 설립
                                                                                                                                                              • 원색분해법 도입
                                                                                                                                                              • 셔우드 헐(Sherwood Hall), 국내 최로 씰 제작
                                                                                                                                                              • 영화잡지 <신흥영화> 창간
                                                                                                                                                              • 나운규 주연의 "임자없는 나룻배" 완성
                                                                                                                                                                • 1931
                                                                                                                                                                  • 이병현, 일본미술학교 도안과 입학
                                                                                                                                                                  • 이순석, 도쿄미술학교 도안과 한국인으로 두번째 졸업
                                                                                                                                                                  • 이순석, 국내 최초 개인공예전 제1회 공예도안전 개최(동아일보사 강당)
                                                                                                                                                                  • 이순석, 화신백화점 광고 및 선전미술담당 과장으로 취업
                                                                                                                                                                  • 이상, 난해시 "烏瞰圖" 발표(8월, 조선일보)
                                                                                                                                                                  •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 전개(34년까지 계속)
                                                                                                                                                                  • 김인정, 최초의 민간 도서관 "인정도서관" 설립
                                                                                                                                                                  • 김수근
                                                                                                                                                                    • 1930
                                                                                                                                                                      • 고유섭, 경성제국대 철학과 졸업(미학과 미술사 전공)
                                                                                                                                                                      • 신문제목에 고딕활자 쓰임
                                                                                                                                                                      • 국내 최초의 백화점 미쓰코시 경성지점 개점
                                                                                                                                                                      • 신세계
                                                                                                                                                                        1920's
                                                                                                                                                                        • 1929
                                                                                                                                                                          • 최승희(崔承喜), 제1회 무용발표회(경성공회당)
                                                                                                                                                                          • 광주학생운동
                                                                                                                                                                          • 동아일보 자체공모
                                                                                                                                                                          • 권순형박대순신입섭이용정최연호홍성찬
                                                                                                                                                                            • 1928
                                                                                                                                                                              • 임숙재, 도쿄미술학교 도안과 졸업
                                                                                                                                                                              • <동아일보>, 본문활자 공모(당선:이원모)
                                                                                                                                                                              • 조선박람회 개최(경복궁)
                                                                                                                                                                              • 정해창, 최초의 예술사진전람회 개최
                                                                                                                                                                              • 한글날 제정(10월 9일)
                                                                                                                                                                              • <조선일보>, 최초의 신춘현상 문예작품 입선작품 발표
                                                                                                                                                                              • 임경재(任璟宰), 동아일보에 공예와 도안 게재(8.16~17)
                                                                                                                                                                              • 홍명희, 조선일보에 ‘임꺽정’ 연재(삽화 안석주)
                                                                                                                                                                              • 김교만이근배
                                                                                                                                                                                • 1927
                                                                                                                                                                                  • 동아일보사 광고도안현상선발대회 개최
                                                                                                                                                                                  • 배운성, 목판화 ‘자화상’ 파리 살롱 도톤느 입선
                                                                                                                                                                                  • 경성인쇄직공조합 결성
                                                                                                                                                                                  • 문달부신동헌전성보황종례
                                                                                                                                                                                    • 1926
                                                                                                                                                                                      • 최남선(崔南善), 신문학 최초의 창작시조집 <백팔번뇌> 발행
                                                                                                                                                                                      • 동아일보, 국내 최초로 현상도안광고상 제정
                                                                                                                                                                                      • 한용운(韓龍雲)의 <님의 침묵> 회동서관에서 발행
                                                                                                                                                                                      • 나운규(羅雲奎) 각본·주연·감독의 "아리랑" 상영
                                                                                                                                                                                      • 경성사진사협회 창립
                                                                                                                                                                                      • 광고도안현상선발대회
                                                                                                                                                                                        • 1925
                                                                                                                                                                                          • 조선일보, 국내 최초로 채색윤전인쇄기 도입 및 인쇄
                                                                                                                                                                                          • 조선일보, 국내 최초로 신문강연회 개최
                                                                                                                                                                                          • 김복진·안석주, 조선만화가구락부 결성
                                                                                                                                                                                          • 김봉룡·전성규, 파리만국박람회에서 나전칠기로 은상과 동상 수상
                                                                                                                                                                                          • 김복진, 제4회 선전에서 3등 입상(조각부)
                                                                                                                                                                                          • 보진재, 최초로 석판인쇄기로 <유년찬송가> 인쇄
                                                                                                                                                                                          • 종로 기독교 청년학관에 미술과 설치
                                                                                                                                                                                          • 백태호임홍순
                                                                                                                                                                                            • 1924
                                                                                                                                                                                              • 조선일보, 최초로 신문 조석간제 실시
                                                                                                                                                                                              • 경복궁 내 집경당 조선민족미술관 설립
                                                                                                                                                                                              • 경성제대(京城帝大) 개강
                                                                                                                                                                                              • 김한용
                                                                                                                                                                                                • 1923
                                                                                                                                                                                                  • 조선서적주식회사 창립(총독부의 각종 출판 제조 판매권 독점)
                                                                                                                                                                                                  • 민립대학(民立大學)운동 전개
                                                                                                                                                                                                  • 연희전문학교 설립
                                                                                                                                                                                                  • 고려미술회 창립
                                                                                                                                                                                                  • 최초의 창작시집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 간행
                                                                                                                                                                                                  • 국내 최초의 다방 "후다미(二見)" 개점
                                                                                                                                                                                                  • 문선호배만실백태원
                                                                                                                                                                                                    • 1920
                                                                                                                                                                                                      • 야나기 무네요시의 글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 소개
                                                                                                                                                                                                      • 조만식(曹晩植) 등 70여명, 평양에서 조선물산장려회 개최
                                                                                                                                                                                                      • <조선일보> 창간(3월 6일), <동아일보> 창간(4월 1일)
                                                                                                                                                                                                      • 한국인 경영 인쇄소로는 최초의 주식회사 대동인쇄주식회사 창립
                                                                                                                                                                                                      • 국내 최초 사진제판 시설이 도입됨
                                                                                                                                                                                                      • 일본의 문화정책표방
                                                                                                                                                                                                      • 원대정유강열이순재
                                                                                                                                                                                                        동아일보조선일보사
                                                                                                                                                                                                        1910's
                                                                                                                                                                                                        • 1919
                                                                                                                                                                                                          • 국내 최초의 제지공장 일본 오지(王子)제지 신의주 공장 설립
                                                                                                                                                                                                          • 보성사 인쇄소에서 3.1 독립선언문 인쇄
                                                                                                                                                                                                          • 고스기(小杉謹八), 조선인쇄주식회사 설립
                                                                                                                                                                                                          • 최초의 현대소설 이광수의 <무정> 발간
                                                                                                                                                                                                          • 한국인 최초의 영화 ‘의리적 구투(仇鬪)’ 상영(10월 27일, 단성사)
                                                                                                                                                                                                          • 조선미술회 창립
                                                                                                                                                                                                          •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 김영주이경성황종구
                                                                                                                                                                                                            • 1917
                                                                                                                                                                                                              • 평양의 김영선, 서울 인사동의 오경선 씨 사진관 운영
                                                                                                                                                                                                              • 신문학 최초의 단편문학집 <共進會短篇小說> 발행
                                                                                                                                                                                                              • 이광수, <무정>을 <매일신보>에 연재(1.1∼6.14)
                                                                                                                                                                                                              • 최정순
                                                                                                                                                                                                                기독교청년회관 부설 공예학원
                                                                                                                                                                                                                • 1916
                                                                                                                                                                                                                  • 공업전습소 경성공업전문학교로 개편
                                                                                                                                                                                                                  • 김관호 작 "夕暮" 동경미술학교 최우수 졸업작품으로 선정
                                                                                                                                                                                                                  • 세브란스 의학 전문학교 정식 개교
                                                                                                                                                                                                                  • 이두용(李斗鎔), 남대문로 1가에 "종로양복점" 개점
                                                                                                                                                                                                                  • 여의도에 간이 비행장 건설
                                                                                                                                                                                                                  • 김근수김재석조병덕최정호한홍택
                                                                                                                                                                                                                    • 1913
                                                                                                                                                                                                                      • 최남선, 월간 <새별> 및 <아이들보이> 창간
                                                                                                                                                                                                                      • 김규진, 상업화랑인 고금서화관 설립
                                                                                                                                                                                                                      • 경성유치원 설립
                                                                                                                                                                                                                      • 김환기
                                                                                                                                                                                                                        • 1911
                                                                                                                                                                                                                          • 총독부, 인쇄국을 폐지하고 총독 관방 총무국에 인쇄소 설치
                                                                                                                                                                                                                          • 매일신보사에 국내 최초의 신문윤전기인 마리노니 윤전기 1대 설치
                                                                                                                                                                                                                          • 김진환(金晉桓), 석판인쇄 전문 보진재인쇄소 창립
                                                                                                                                                                                                                          • 대한제국 최초의 박물관 건립(창경궁내 구 장서각)
                                                                                                                                                                                                                          • 황실용과 조선총독부용 영국제 리무진 각 1대씩 구입
                                                                                                                                                                                                                          • 경주 우편국원 석굴암 발견
                                                                                                                                                                                                                          • 석주선이병현최경자
                                                                                                                                                                                                                            • 1910
                                                                                                                                                                                                                              • 국내 최초의 상설 영화관 "경성고등연예관" 개설
                                                                                                                                                                                                                              • 국내 최초의 광고대행사 "한성광고사" 탄생
                                                                                                                                                                                                                              • 동화약품의 부채표 국내 최초로 특허국에 상표등록
                                                                                                                                                                                                                              • 주시경, <국어문법> 지음
                                                                                                                                                                                                                              • 탁지부 인쇄국, 조선총독부 인쇄국으로 바뀜
                                                                                                                                                                                                                              • 한·일합방조약
                                                                                                                                                                                                                              • 조선 총독부 설치
                                                                                                                                                                                                                              • 국호 "朝鮮"으로 개칭
                                                                                                                                                                                                                              • 정형웅
                                                                                                                                                                                                                                1900's
                                                                                                                                                                                                                                • 1907
                                                                                                                                                                                                                                  • 최남선, 신문관 설립
                                                                                                                                                                                                                                  • 주시경, 국어학 운동 전개
                                                                                                                                                                                                                                  • 이인직, 신소설 <혈의 누> 간행
                                                                                                                                                                                                                                  • 관립공업전습소(官立工業傳習所) 설립
                                                                                                                                                                                                                                  • 김규진, 소공동에 상업사진관 ‘天然堂寫眞館’ 개설
                                                                                                                                                                                                                                  • 한국 주재 일본인 인쇄업자들 경성인쇄업조합 설립
                                                                                                                                                                                                                                  • 국내 최초 상설 영화관 단성사 설립(실제 영화상영 1918년부터)
                                                                                                                                                                                                                                  • 헤이그 밀사(이준, 이상설)파견 사건 발생
                                                                                                                                                                                                                                  • 고종황제 퇴위
                                                                                                                                                                                                                                  •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 연호 "隆熙"로 고침
                                                                                                                                                                                                                                  • 정미 7조약으로 차관정치 시작 및 군대 해산
                                                                                                                                                                                                                                  • 관립공업전습소
                                                                                                                                                                                                                                    • 1903
                                                                                                                                                                                                                                      • 합자회사 한성공립은행 설립(전신 한성은행, 43년 조흥은행으로 개칭)
                                                                                                                                                                                                                                      • 고종황제, 미국제 승용차 1대 구입
                                                                                                                                                                                                                                      • 김봉룡
                                                                                                                                                                                                                                        • 1900
                                                                                                                                                                                                                                          • 목공예가 김진갑 출생(1900∼1972)
                                                                                                                                                                                                                                          • 하난사, 최초의 여성 학사 학위 취득
                                                                                                                                                                                                                                          • 국내 최초의 엽서 발행(1전 엽서)
                                                                                                                                                                                                                                          • 농상공부내 인쇄국 설치
                                                                                                                                                                                                                                          • 일본인에 의해 도산인쇄소, 강천활판소, 대화상회 인쇄부 등 설립
                                                                                                                                                                                                                                          • 영국 기사의 설계, 감독으로 덕수궁 석조전 기공
                                                                                                                                                                                                                                          • 최초로 파리 만국박람회 공식 참가
                                                                                                                                                                                                                                          • 최초로 가로등 가설(종로)
                                                                                                                                                                                                                                          • 최초로 경인간 시외전화 개통
                                                                                                                                                                                                                                          • 김진갑이학응
                                                                                                                                                                                                                                            1890's
                                                                                                                                                                                                                                            • 1899
                                                                                                                                                                                                                                              • 동경예대 최초의 졸업생 임숙재(任璹宰:1899∼1937) 출생
                                                                                                                                                                                                                                              • 농상공부 인쇄소에서 국내 최초의 이화(李花)우표 시제품 인쇄
                                                                                                                                                                                                                                              • 농상공부 인쇄소, 일본 조각공 우신(宇進盛)과 제판공 마쓰자키(松岐米藏) 초빙
                                                                                                                                                                                                                                              • <독립신문>·<매일신문> 폐간
                                                                                                                                                                                                                                              • 해인사, 팔만대장경 4부 인쇄(해인사, 통도사, 송광사, 각 도 사찰 보관)
                                                                                                                                                                                                                                              • <황성신문>, 국내 최초의 전명광고 게재
                                                                                                                                                                                                                                              • 국내 최초로 인천-노량진 사이 경인철도 개통
                                                                                                                                                                                                                                              • 서대문- 청량리간 전차 궤도 완공
                                                                                                                                                                                                                                              • 조신(朝臣)의 복장을 서양식으로 개정 명함
                                                                                                                                                                                                                                              • 윤고려(尹高麗:윤치호의 부인), 국내 최초로 양장 착용
                                                                                                                                                                                                                                              • 대한민국, "국제(國制)" 반포
                                                                                                                                                                                                                                              • 김정섭임숙재
                                                                                                                                                                                                                                                • 1898
                                                                                                                                                                                                                                                  • 석판인쇄기 도입
                                                                                                                                                                                                                                                  • 주간 <협성회회보> 창간
                                                                                                                                                                                                                                                  • 최초의 일간지 <매일신문> 창간
                                                                                                                                                                                                                                                  • 휴버트 보스(Hubert Vos), 고종 황제 초상화 그림
                                                                                                                                                                                                                                                  • <경성신문> <대한신보> <황성신문> 창간
                                                                                                                                                                                                                                                  • 독립협회, 종로에서 만민공동회 개최
                                                                                                                                                                                                                                                  • 서대문-청량리 사이 전차 부설 공사 착공
                                                                                                                                                                                                                                                  • 서울 전화교환시설 개통
                                                                                                                                                                                                                                                    • 1896
                                                                                                                                                                                                                                                      • 8. 1 서울 종로 4가에 박승직상점 개점
                                                                                                                                                                                                                                                      • 두산그룹
                                                                                                                                                                                                                                                        * 본 자료는 산업디자인기술기반사업 연구보고서 <한국디자인사료(史料)의 DB화에 관한 연구 2 : 1850년-2000년을 중심으로 - 동서울대학 산업기술연구소(박암종), 2002><디자인 코리아,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향후 designdb.com에서 디자인사 정립을 위해 내용을 점차 보완해 나갈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