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미국 영상 콘텐츠 제작 장비 짐벌 시장동향

미국 영상 콘텐츠 제작 장비 짐벌 시장동향

- 개인 영상 콘텐츠 제공자의 증가로 짐벌에 대한 관심 증대 -
- 고가의 장비 없이도 안정적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짐벌(HS Code 8525.80, 텔레비전 카메라ㆍ디지털 카메라ㆍ비디오카메라레코더 기타의 것, Parts And Accessories For Television cameras, digital cameras and video camera recorders)

 

□ 선정 사유

 

  ㅇ 유튜브(YouTube) 채널이나 트위치(Twitch), 비메오(Vimeo) 등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공유하며 볼 수 있는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이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들이 증가하는 추세

 

  ㅇ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 영상장비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촬영을 시작할 수 있지만,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흔들리지 않는 고품질의 영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짐벌 스태빌라이저(Gimbal Stabilize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인터넷 콘텐츠 생산 증가와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의 인기
   - 시장조사기관인 IBIS World에서는 최근 5년 동안 인터넷 콘텐츠 생산 및 방송 업계의 매출이 연간 15% 증가하는 등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였다고 분석
    - 또한 인터넷 방송 시장 성장의 주요 원동력은 사용자가 거의 모든 곳에서 인터넷에 접근 가능하게 한 모바일 인터넷 연결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고, 2022년까지 연평균 12.5%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215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들이 늘어나면서 유튜브 등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 또한 인기를 끌고 있고, 인터넷 콘텐츠 시장에서는 광고를 보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인터넷 콘텐츠 생산 및 방송 시장의 구성비율과 총수입 수준


자료원: IBIS World(2017)

 

  ㅇ 개인방송의 확산은 소비시장에 변화를 가져와
    - 개인방송 플랫폼에서는 전자제품 신제품이나 최신 영화 리뷰, 온라인게임 시연, 운동방법 설명, 화장품 메이크업 전문 유튜버 등이 유명해지면서 이를 마케팅에 이용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음.
    - 통계전문기관인 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의 비디오스트리밍(SVod) 시장의 사용자 수는 2022년에 약 9936만명에 육박할 것이라 예측
    - 또한 개인방송 플랫폼에서 얻는 광고 수익만으로도 중소기업 이상의 매출을 거두는 콘텐츠 제공자들이 늘어나면서 개인방송 관련 장비인 짐벌의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

 

미국 비디오스트리밍 사용자 수 추이


자료원: Statista

 

  ㅇ 주요 소비자들
    - Statista에 따르면, 비디오스트리밍의 시장의 소비자 구성에서 25세에서 34세에 이르는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비디오스트리밍 시장에서 소비자 연령 분포도


자료원: Statista

 

    - 짐벌의 주요 소비자들은 비디오스트리밍 시장의 전문 콘텐츠 제공자가 아니더라도 아기나 반려동물의 모습을 스마트폰으로 흔들림 없이 남기고 싶은 밀레니얼 세대들이 많음.

 

짐벌 vs. 짐벌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비교영상


자료원: 유튜브

 

□ 미국 짐벌 수입동향 및 경쟁동향, 주요 경쟁기업

 

  ㅇ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Global Trade Atlas의 수입통계(HS Code 8525.80 기준)에 의하면 2018년 미국의 짐벌 등 카메라 주변기기 수입은 9억2723만 달러에 달하며 전년 대비 12.97% 수입 증가함.
    - 국가별로는 2018년 중국에서의 수입이 4억1062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 대만,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제품의 수입 점유율이 비교적 높음.
    - 중국의 경우 드론으로 유명한 DJI 등의 성능 대비 합리적 가격에 기반한 제품 출시로 미국 시장의 2018년 점유율이 약 44%에 이름.

 

미국의 짐벌 등 카메라 주변기기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525.80 기준)
(단위: US 천달러,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한국은 8위 수입대상국으로 2018년 기준 약 2462만 달러 규모의 주변기기를 미국으로 수출해 전년대비 7.56%의 수출 증가를 보임.
    - 스마트폰 주변기기 가운데 유행을 탔던 셀카봉 이후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내부에 부착하여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본체를 기울여 결과물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키는 장치인 짐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미국 시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 짐벌의 경우 드론에 필수적으로 달리는 장치에 해당하여 중국의 드론 기업들이 짐벌 시장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중국 외에도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들의 점유율이 높다는 점에서 한국 또한 잠재력을 보일 수 있는 분야로 보임.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기업들이 미국 짐벌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DJI, Feiyu, Zhiyun Tech 등이 있음.
    - 스마트폰용 짐벌, 고프로 등 액션캠용 짐벌, DSLR용 짐벌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대부분 호환이 가능한 것으로 스마트폰용 짐벌 위주임.
    - 고프로에서 출시된 미니드론 카르마나 DJI에서 출시 예정인 매빅2 드론에서는 본체와 분리하여 사용 가능한 핸드 짐벌이 등장할 것으로 보임.
    -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3D Robotics에서 드론을 연구하는 R씨는 “짐벌은 드론이 공중에서 아무리 흔들려도 카메라는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장치로, 안정적인 항공촬영을 위해서는 짐벌이 필요하다. 따라서 드론 제조업체가 짐벌 기술에서도 우위를 가질 수 있는 부분이 있다”라고 밝힘.

 

주요 경쟁기업의 제품군 비교 (단위: US 달러)


자료원: Amazon, BestBuy

 

□ 유통구조, 관세율, 수입규제(무역협정) 및 인증

 

  ㅇ 주요 유통채널
    - 짐벌이 판매되는 주요 채널로는 Amazon, Newegg과 같은 온라인 전문유통업체와 Walmart, Target, Costco 등과 같은 대형할인체인, BestBuy, Fry’s과 같은 전자제품 전문유통업체가 있음.
    - Amazon의 판매방식은 공식 벤더가 되는 방식과 셀러로 등록하여 Amazon이 운영하는 마켓 플레이스에서 판매하는 방식이 있는데, 제조업체가 벤더로 자사 브랜드를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 일반적

 

  ㅇ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여부
    - HS Code 8525.80에 해당하는 품목은 한미FTA 협정세율 대상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고, 기본세율에서도 무관세 제품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됨.
    - 블루투스 무선기술이 포함된 모든 제품은 Bluetooth SIG에서 승인한 공인시험소(BQTF)에서 시험하여 인증을 받아야 함. 또한 미국 특허청(USPTO)에서 특허를 받은 기술이 있거나 에너지절약 인증을 받았다면 라벨을 붙이는 것이 판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시사점 및 참고사항

 

  ㅇ 미국 소비자들의 성향
    - IBIS World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소형제품의 소비자들은 주요 브랜드가 아니더라도 가격경쟁력을 갖춘 기술이 좋은 회사의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이 강함.
    - 미국의 비디오스트리밍 시장이 커지고 개인 콘텐츠 제공자들이 늘어나면서 짐벌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
    - 그 외 일상적인 추억들을 동영상으로 남기고 싶어하는 일반 소비자들 또한 전문적 장치 없이도 흔들리지 않는 동영상이 가능케 하는 짐벌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

 

  ㅇ 드론, 액션캠 등 카메라 주변기기 시장 공략
    - 미국 비디오스트리밍 시장 확대에 따라 카메라 주변기기 관련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들의 적극적 대미수출이 요구되는 시점
    - 한국 제품은 현지에서 인지도가 낮은 편이므로 대기업 OEM 방식으로 진출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 있음.
    - 중국 기업들이 제품 성능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미국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고 있는 점을 눈여겨보아야 함.
    -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어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 부분과 하드웨어의 디자인·성능 부분을 고려하여 접근한다면 미국 시장에서도 충분히 경쟁 가능

 

  ㅇ 관련 콘퍼런스 참가
    - 미국 비디오스트리밍 시장 확대로 카메라 주변기기의 인기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에서 유행이 시작된 셀카봉을 바탕으로 자이로스코프 등 관련 기술을 접목시킨 제품을 미국 시장에 소개한다면 차별성을 도모할 수 있음.
    - DJI가 국제가전박람회(CES)2018에서 신제품인 Osmo Mobile 2를 소개하는 등 콘퍼런스를 마케팅 장소로 이용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관련 전시회를 활용하는 방법 또한 효과적으로 보임.

 


자료원: Statista, Web DB (IBIS World, Global Trade Atlas), YouTube, Amazon, BestBuy, Venturebeat 및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