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 및 지원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트렌드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 리포트
해외 디자인 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HOME
>
트렌드
>
디자인 리포트
국내 리포트
총 1,528건
현재페이지 1/153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국내 리포트
이슈 리포트
전체보기
제품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디자인일반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산업공예디자인
융합디자인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링을 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세계
제품디자인
,
융합디자인
,
테크트렌드
,
라이프스타일
,
트렌드전망
2025.07.11.
yoonsunkye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술이 인간의 몸에 가장 밀착하는 형태다. 단순히 입는 기기에서 출발했지만, 오늘날의 웨어러블은 개인의 일상과 감정, 생리적 리듬과 맞닿은 존재로 진화하고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은 더 이상 ‘기기’라기보다는 감각의 확장, 혹은 제2의 신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씽킹 관점에서 본다면, 웨어러블은 문제 해결의 도구라기보다 사용자의 삶 속에서 ‘어떻게 경험되는가’에 대한 질문을 품은 존재다. 기술적 스펙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어떻게 느껴지고, 어떻게 삶의 흐름...
로에베 재단 공예상이 보여주는 공예의 현재와 미래
제품디자인
,
시각/정보디자인
,
패션/텍스타일디자인
,
산업공예디자인
,
융합디자인
,
컬러/소재
2025.07.09.
ene0910
로에베 재단 공예상(Loewe Foundation Craft Prize)은 2016년 조나단 앤더슨의 주도로 현대 장인 기술의 탁월함, 예술적 가치, 그리고 혁신을 기념하기 위해 스페인 로에베 재단에서 제정한 상으로, 올해 10회째를 맞이하였다. 총 133개국에서 4,600여 점의 작품이 출품되었으며, 기술적인 완성도와 창의성, 그리고 예술적 비전을 기준으로 최종 후보 30인이 선정되었다. 로에베는 이 상을 통해 현대 문화 속 공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래의 새로운 기준을 세워 혁신을 이뤄낼 재능과 비전을 지닌 현대 ...
텍스트 힙의 시대
소셜트렌드
,
라이프스타일
,
트렌드전망
2025.07.09.
go222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이미지,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으며 1분 남짓한 숏폼 콘텐츠가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다시금 '독서'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시간을 들여 천천히 글을 읽는 것이 보다 멋있는 취미로 각광받게 된 것이다. 이런 현상을 반영하여 '텍스트 힙(Text Hip)'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다.
AI 가전, 어디까지 왔을까?
제품디자인
,
서비스/경험디자인
,
테크트렌드
2025.07.04.
go222
인공지능(AI)의 기술의 발전이 놀라울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는 중이다.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AI를 받아들이게 되면서, 이 새로운 기술은 가전제품에도 적용되며 시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코딩 교육에 디자인 사고가 있다
서비스/경험디자인
,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테크트렌드
,
인터페이스
2025.07.01.
yoonsunkye
코딩 교육이 본격화된 것은 2010년대 이후지만, 그 전부터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시도는 꾸준히 있었다. 대표적인 초기 사례로는 1967년 MIT에서 개발된 LOGO 언어가 있다. 이 언어는 '거북이 그래픽'이라는 방식으로 아이들이 단순한 명령어를 입력해 선을 그리고 도형을 완성하며, 기초적인 알고리즘 사고를 익히도록 했다. 이후 2000년대에 등장한 Scratch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의 시각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코딩의 문턱을 대폭 낮췄다. 우리나라에서도 2018년부터 초·중학...
[HOW TO UI·UX] AI 시대, UI·UX 디자이너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디자인일반
,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융합디자인
,
기타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
인터페이스
2025.06.30.
admin
디자이너, 이제 전략가 돼야 한다 AI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일들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디자인 툴에 “로그인 페이지 만들어줘”라고 명령하면, 순식간에 꽤나 쓸 만한 UI가 눈앞에 펼쳐지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혹시 AI가 디자이너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해 버리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을 느껴보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것을 체감하면서, 이러한 걱정은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오고 있죠. 하지만 AI가 인간 디자...
구미 2030 여성 포럼, 공공서비스디자인 워크숍 “지혜야 구미에 살래?”
서비스/경험디자인
,
소셜트렌드
2025.06.27.
kidpman
청년 여성 인구 유출 문제 해결 위한 100명의 지혜(수요자)가 만들어 가는 100개의 지혜(정책) 경상북도 구미시에서는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5년 3월부터 여러 차례의 공공서비스디자인 워크숍을 시행하고 있다. 2024년 기준, 구미시와 타 지역 간 순이동 인구 중 84%가 20~30대 여성으로 파악되며, 청년 인구 성비에서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와 연결되며 도시의 경쟁력을 약화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구미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의 핵심 ...
우리가 늘 믿고 쓰던 헬베티카, 정말 중립적인 폰트일까?
시각/정보디자인
,
디자인일반
2025.06.25.
admin
모노타입이 이야기하는 헬베티카의 장점과 중립적 폰트에 대한 고찰 여러분들은 요즘 어떤 폰트를 자주 보고 계시나요? ✍️ 우리 일상 속에선 무심코 스쳐 지나가는 많은 것들엔 폰트가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폰트들엔 더 나은 경험을 위해 디자이너들의 섬세한 고민이 담겨있는데요. 단순 보기에 예쁜 것을 넘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치밀하게 기획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모노타입이 소개합니다. 헬베티카(Helvetica)는 흔히 가장 중립적인 폰트라는 소개로 잘 알...
'빛'과 '몸'을 통한 감각의 재구성
시각/정보디자인
,
공간/환경디자인
,
서비스/경험디자인
,
융합디자인
,
트렌드전망
,
컬러/소재
2025.06.22.
ene0910
‘지각 예술’의 선구자로 꼽히는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의 개인전《더 리턴(The Return)》이 한남동 페이스갤러리 3개층 전관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17년 만에 열린 이번 개인전에서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활용한 장소 특정적 몰입형 설치 연작 ‘웨지워크(Wedgework)’의 신작인 ‘더 웨지(The Wedge)’를 비롯해 ‘글라스워크(Glasswork)’ 연작 4점 등 대형 설치 5점을 선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판화, 조각,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로든 크레이터(Roden Crater)’ 과정을...
도시의 쉼표, 공원의 재발견
시각/정보디자인
,
공간/환경디자인
,
서비스/경험디자인
,
라이프스타일
,
트렌드전망
,
컬러/소재
2025.06.12.
ene0910
긴 추위가 끝나고 따스한 봄날을 거쳐 여름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일상에도 변화가 찾아온다. 날이 풀리면서 자연스럽게 야외 활동의 비중이 높아지고, 실내에서는 누릴 수 없는 자연의 여유로움을 만끽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잘 조성된 공원이나 정원, 야외 공간을 찾는다. 단순한 산책이나 휴식을 넘어,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는 행위는 일상의 피로를 해소하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 중요한 여가로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일상 속에서의 회복과 전환의 필요성이 ...
<<
<
1
2
3
4
5
6
7
8
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