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국내 리포트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고령자 시설(노인병원, 요양원) 색채계획 사례 및 중요성

<국내 한 요양시설의 배색 사례 사진>

 시각적 특성 변화로 인한 고령자들이 주로 생활하는 노인병원, 요양원 등의 차별화된 색채계획은 고령자의 심리적 안정과 안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한 배색 시 오렌지색계열의 보색이나, 색 온도에 따른 배색을 이용하는 것이 노인에게 적절한 자극과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문은배, 색채의 이해와 활용).

 이와 같은 고령자 시설에서의 색채계획은 고령자의 심리적 안정감 뿐만 아니라 사용자인 고령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007, 송춘의의 ‘유료노인 주거시설 공용공간의 실내 색채 환경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면 세타가야 베네세-아리아 마츠하라, 요코하마 컨포트 가든 아자미노, 보나쥬 요코하마, 고베 시아와 세노무라 이상 4곳의 노인 주거시설의 공용공간의 측색결과를 바탕으로 색채환경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한 결과에서는 난색계열의 비중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자극적인 색상보다 유사색의 주조색에 난색계열의 보조색과 강조색으로 조화롭게 배색되어져 있었다. 또한 시설의 공간구성 색채를 살펴보면 천정과 바닥은 주로 난색계통의 저채도 색상이 선호되고 있었다. 각 공간에 사용된 색채는 대부분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조색이 로비, 복도 등에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복도의 끝이나 출입구 등 특정부위를 구분하는 강조색을 적용하여 인지하기 수월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에 사용된 색채는 난색을 적용하여 계획한 경우가 많으며 가구나 무늬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채도와 명도대비를 선택함으로서 아늑함과 편안한 공간을 조성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되어진다. 커뮤니티 공간이나 기타 지원시설은 한색과 난색으로 가구나 구조물과의 색을 대비시켜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 명도 분포를 보면 중명도가 기준이 되어 고명도와 저명도가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유사한 명도로 배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도를 보면 바닥, 벽, 천정 순으로 나타나며 공간의 특성에 의한 배분이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일본 노인 주거시설의 전반적인 환경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색채계획으로서 노인들에 대한 배려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분석된다. 또한 전반적인 대비가 강한 대비보다 유사조화를 택하고 있는데, 고령자의 시력저하에 따른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명도차를 이용해 사용자의 판단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일본의 유료 노인시설의 사례분석은 노인을 배려한 주거공간의 색채계획이 필요하고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노인의 시지각 및 색인지 특성을 고려한 색채계획은 고령자의 안전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급격한 고령화의 위기에 처해있는 우리나라 역시 한국의 전통문화 및 한국적인 주거문화의 특성을 고려한 고령자 공용시설 및 주거시설에 대한 색채계획의 규정 및 제도를 비롯한 색채배색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자료:  2007, 송춘의, 김문덕, 유료노인 주거시설 공용공간의 실내 색채 환경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Tag
#고령자시설 #고령자 색채
"고령자 시설(노인병원, 요양원) 색채계획 사례 및 중요성"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