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케냐의 디지털서비스 세 도입과 그 영향 분석

케냐의 디지털서비스 세 도입과 그 영향 분석



전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케냐도 2020년  Finance Act를 통해 디지털서비스세(Digital Service Tax, 이하 DST로 표기)를 도입하였으며, 2021년 1월 2일부로 시행이 되었다. 이 법이 규정하는 세율과 적용범위, 그리고 우리기업의 현지 디지털 마켓팅 투자 진출에 대한 영향 등을 알아본다.

 

케냐의 디지털서비스세법 개요

 

이 법은 케냐 내에서 디지털 마켓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모든 수익에 대해 부과한다. 케냐에서는 디지털 마켓 플랫폼을 "모든 전자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 상품 및 서비스를 주고 받는 플랫폼" (“a platform that enables direct interaction between buyers and sellers of goods and services through electronic means.”)으로 정의한다.

 

DST 는 총 거래액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불한 금액)에 대해 1.5%를 부과하며 (면세가 적용되는 신고금액 상한선이 없음), 원천징수 방식으로 이용자가 서비스제공자에게 이용료를 지불하는 단계에서 부과된다.

 

DST 는 케냐 내의 디지털 마켓 플랫폼 (주로 온라인 상거래)을 통해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국민이나 외국인 사업자에게 부과하며 이 경우 연말 소득세에서 감면된다. 하지만, 케냐에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비거주 외국인 사업자는 현지 대표자를 선임하여야 하고, 그 대표자에게 세금을 부과한다.

 

DST 적용 범위 및 대상

 

DST를 부과하는 상세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 다운로드가 가능한 앱, 전자책, 영화 등의 디지털 컨텐츠

  - 스트리밍 TV쇼, 영화, 음악, 팟캐스트 등 OTT서비스

  - 수익창출을 위해 수집한 케냐 사용자들의 데이터의 판매, 라이선스 제공

  - 디지털 마켓 플랫폼 제공

  - 정기구독 형태로 제공하는 뉴스, 잡지, 정기간행물

  - 웹 호스팅, 온라인 데이터 저장소, 파일공유, 클라우드 서비스 등

  - 온라인을 통한 예약, 티켓 판매 등

  - 주문자 방식의 검색엔진 제공

  - 온라인을 통한 원거리 교육 또는 훈련

  - 그 외 디지털 마켓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수익창출 서비스

 

케냐인들에게 디지털 마켓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계 회사들도 DST를 지불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 사용자가 케냐에 위치한 디지털 장비 (컴퓨터, 태블릿,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접근한 경우

  - 케냐에 소재한 금융기관이나 회사를 통해 직불, 신용카드로 결재를 한 경우

  - 케냐에 등록된 인터넷 주소 또는 케냐에 배당된 인터넷 국제 휴대폰 코드를 사용하여 디지털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 사용자에 대한 청구서가 케냐에 소재한 주소지인 경우

 

반면에 온라인을 통한 납입, 대출, 주식거래, 환전 등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서는 DST가 면제되며,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들은 개인소득세법에서 규정한 기관들이거나 케냐 중앙은행으로부터 인가를 득한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기관도 DST가 면제된다. 외국인이 유선, 라디오, 광케이블, TV, VSAT, 인터넷, 위성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케냐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DST는 면제된다.

 

DST부과에 대한 현지 분위기

 

케냐가 DST를 도입한 가장 큰 동기는 코로나 사태 이후 악화된 국가 세입 확대라는 현실적인 필요 때문이다. 하지만, 현지에서는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특히, 유럽이나 다른 나라들과 달리 디지털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에 대해 DST를 부과한다는 점에 대해서 크게 두가지 저항을 받고 있다.

 

첫째는, DST를 부과하기 위한 최저 수익 기준이 없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소규모의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을 안겨 준다는 것이다. 현지 세무 전문가들은 DST세금 부과를 위한 매출액 기준치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세금 처리를 하는 행정비용이 세금 수익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Taxwise Africa Consulting의 관리자는 인터뷰에서, “세금을 도입 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고수익을 올리고 있는 주요 디지털 컨텐츠 기업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추세이다. 결국 케냐도 이런 방식을 따라야 한다고 본다. 특히, 케냐는 이제서야 온라인 시장이 자리잡으려는 단계이며 디지털 컨텐츠 사용을 적극 장려해야 하는 상황인데, DST 를 획일적으로 부과한다면 케냐의 디지털 시장이 퇴보할 수도 있다."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나이로비의 소프트웨어개발 스타트 업을 운영 중인 Bernard 역시, 유선 인터뷰에서, "온라인 스타트 업들 중 많은 수가 세금 때문에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도중에 사업을 철수할 수도 있어 이 분야의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 염려된다. 특히, 1.5%의 세금을 부과하면, 디지털 사업자들은 이 요금을 택배 비도 내야 하는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며, 결국 온라인 거래 상품을 비싸게 만들 것이다. 뿐만 아니라, DST의 도입은 케냐를 유리한 투자처로 여기던 신생 스타트 업과 이 분야 투자자들의 발걸음을 되돌리게 할 수 도 있다."고 하였다.

 

둘째는, 외국 기업들에 대한 이중과세 문제이다. 4차 산업의 대두로 인한 디지털 서비스 사업이 주류를 이루면서 소득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여 국가 세수를 확대하는 필요는 있으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 한 국가 내에서 일방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경우, 이중 과세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현지 전문가들은 케냐가 현재 유럽연합과 동아프리카공동체간의 무역협정, 브렉시트를 단행한 영국과의 무역협정, 케냐-미국과의 FTA체결 등 다양한 무역협상을 진행중 인 점을 지적한다.  이런 상황에서 DST부과는 민감한 쟁점으로 떠오를 것이며 이 때문에 현재 추진 중인 무역협상들이 난항을 겪거나 상당히 지연될 우려도 있는 걸로 보고 있다.

 

케냐의 정보통신분야 해외직접 투자 유치 증가 속 우리의 기회는?

 

2020년 9월까지 케냐투자진흥청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2020년 한해 동안 건설업 (6억 1770만 달러, 6건), 제조업 (2838만 달러, 12건), 정보통신 (2348만 달러, 15건), 에너지분야 (1998만 달러, 8건), 교육 (663만 달러, 2건) 순으로 투자를 유치하였다. 이 중에 정보통신 분야 투자 유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2019년에 537만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진 반면, 2020년에는 2348만 달러로 무려 4배 이상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현지 인터넷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케냐 주요 10개 분야 직접투자 유치 동향 (2017-2020.9월말)

(단위: 백만 달러, 건)

순위

분야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9월말

투자건수

투자금액

투자건수

투자금액

투자건수

투자금액

투자건수

투자금액

1

건설업

25

164.23

18

135.62

30

657.32

6

617.70

2

제조업

40

256.93

31

37.55

43

344.24

12

28.38

3

정보통신

18

3.95

13

17.82

19

5.37

15

23.48

4

에너지

12

430.97

6

69.88

8

27.19

8

19.98

5

교육

-

-

1

0.10

2

10.40

2

6.63

6

서비스업

35

66.57

32

36.54

56

39.78

19

2.67

7

도소매업

42

28.99

28

34.38

54

39.95

15

2.14

8

운수업

-

-

2

1.00

1

2.21

1

1.84

9

관광산업

20

9.92

12

22.75

11

2.88

5

1.08

10

금융

13

41.22

3

0.52

8

40.55

5

0.51

-

기타

 16

 61.48

 11

 3.23

 29

 48.11

 5

 0.51

-

총계

221

1,064.26

157

359.39

261

1,218

93

704.92

자료: 케냐투자진흥청

 

이런 가운데, 2020년 한국의 대 케냐 직접 투자는 케냐 투자진흥청 등록 기준으로 엔지니어링 현지 법인 등록 1건이며, 디지털 서비스 분야로는 그동안 전무했다가 최근에 쥬미아, 킬리몰 등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해서 우리 화장품, 전자제품 등의 현지 온라인 판매가 이뤄지는 정도이다.

 

향후 디지털 서비스 진출 가능한 분야로는 웹 디자인 서비스, 디지털 마케팅 디자인, 어플리케이션 개발, 광고용 영상제작, 온라인 게임, 아프리카 컨텐츠를 활용한 영화 제작 분야 들에 우리 기업들은 현지 기업들과 합작으로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DST가 투자진출 장벽이 될 것

 

국고 수익 관점에서보면, 디지털 서비스 세금(DST)은 케냐 국세청에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정부는 코로나 사태 및 국가 부채에 대한 부담을 충당하기 위해 국고 수익을 확대할 방편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며, 코로나로 인해 수많은 기업들이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세수를 확대할 좋은 기회이긴 하다. 게다가 케냐에서 소득을 확보하고 있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DST를 부과해도 큰 타격을 입지 않으면서, 오히려 케냐의 디지털 시장 및 전체적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현지 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모든 디지털 서비스 거래에 DST를 적용하는 것은 현지 중소규모의 디지털 서비스 기업이나 외국의 중소규모 투자진출 기업에게는 상당히 타격이 될 수 있다. 결국, 우리 한국 기업들이 현지 디지털 서비스 시장 진출을 시도할 경우에도 새로 도입된 DST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현지 투자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

 

 

자료원 : 케냐 재정법 (Finance Act 2020), 케냐 관세청  DST관련 배포 자료, KPMG 디지털서비스세 관련 분석자료, 현지 일간지 관련기사 종합, 무역관 입수 자료 및 자체 분석 등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designdb logo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