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동북아 국가의 전략적 특화산업 창출을 위한 국제간 공동 디자인개발 연구 - 조선대학교(김명주), 2005

동북아 국가의 전략적 특화산업 창출을 위한 국제간 공동 디자인개발 연구
조선대학교(김명주), 2005

주관기관 : 조선대학교
총괄책임자 : 김명주
총사업기간 : 2003-08-01 ~ 2004-07-31

연구목표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지역의 전략적 특화산업 재창출을 위한 효율적인 디자인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담양군의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의 전략적 특화산업의 재창출은 새로운 디자인패러다임의 개념으로 접근하였는데 이러한 새로운 디자인패러다임을  풀디자인패러다임(pull design paradigm)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풀 디자인패러다임의 개념과 의미를 규명하고, 디자인비즈니스의 모델유형을 개발하며 결과적으로 개발된 디자인비즈니스모델유형을 실제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그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비즈니스를 통한 지역의 전략적 특화산업재창출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로서 담양군의 죽세산업분야중 대나무의류분야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기초자료조사에서도 밝혀진 바와 같이 대나무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아이템이 존재하며 따라서 향후 이러한 아이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디자인비즈니스모델이 개발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된 디자인비즈니스모델에 맞게 다양한 사업이 전개되어 전략적 특화산업의 활성화와 디자인비즈니스의 활성화 및 이를 통한 산업패러다임의 전환과 지역 및 국가경제활성화 및 국가 디자인경쟁력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새로운 품목개발, 생산, 디자인, 유통 및 마케팅 등 변화하는 사회적 욕구에 맞는 새로운 사업모델제시를 통한 수익창출이라는 도전없이 전통적인 생산 및 판매방식만을 고수하는 것은 지역특화산업의 육성책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지역특화산업의 위기라고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기존의 전통적인 생산 및 판매방식과는 다른, 지역특화산업 육성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로서 전통특화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 design business model)을 제시하고자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담양군의 죽세산업발전에 적용시켜 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이론적인 제안과 함께 현실적 진행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전략적 특화산업 재창출을 위한 효율적인 디자인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이너 및 디자인전문회사에 풀디자인패러다임으로의 사고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디자이너와 디자인전문회사에는 디자인개발관점이 아닌 디자인비즈니스관점의 디자인업무를 추진하도록 하는 마인드를 고취시킬 수 있다.
둘째, 새로운 산업패러다임제시로 지역 및 국가경제의 활성화와 아울러 국가디자인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사고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과거 산업체에의 경우 리스크가 큰 생산설비와 기술투자가 아닌 시장지향적인 디자인개발에 대한 투자로서 시장기반 및 디자인기반 사업전개접근법을 통해 적은 리스크와 높은 성공가능성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전개방향에 대한 마인드를 고취시키고 이에 따라 지역 및 국가경제의 활성화와 디자인에 대한 투자분위기의 향상으로 국가의 디자인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자치단체의 전략적 특화산업창출을 위한 전개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바탕이 될 수 있다. 이는 전략적 특화산업창출을 위한 새로운 사업패러다임과 사업전개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마인드와 어떠한 역할로 디자이너와 산업체와의 연계관계를 통해 전략적 특화산업창출방안을 모색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넷째, 사례연구가 이루어진 담양군의 경우 죽세산업활성화를 위한 사업모델이 제시됨으로써 사업추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사례연구에서 담양군의 전략적 특화사업인 죽세산업에 대한 자료조사와 사업추진방향 및 사업추진체제, 생산시스템, 자본조달및 운용, 판매 및 마케팅방안등 전반적인 전개방향이 제시됨으로써 향후 사업이 추진에 있어서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의 목적
제 3 절 연구의 범위

제 2 장 풀디자인패러다임의 개념과 절차
제 1 절 풀디자인 패러다임의 개념
제 2 절 풀디자인패러다임의 개념적 근거

가. 시장지향적 디자인사고
나. 과학적 디자인프로세스

제 3 장 디자인을 통한 수익창출 유형탐색
제 1 절 디자인을 통한 수익창출유형분류의 기준
가. 디자인 수익창출의 활동주체
(1) 디자이너
(2) 산업체
(3) 유통업체
(4) 지방자치단체
나. 디자인에 대한 소유권보유
(1) 디자인결과물의 비소유
(2) 디자인결과물의 단독소유
(3) 디자인결과물의 공동소유
제 2 절 디자인을 통한 수익창출의 유형분류
제 3 절 디자인을 통한 수익창출의 유형
가. DI(Designer-Industry)형 수익창출
(1) 수동형 정보제공
(2) 능동형 정보제공
(3) 수동형 디자인개발
(4) 능동형 디자인개발
(5) 디자인관리
(6) 디자인소유
(7) 디자인소유관리
(8) 디자이너-산업체 디자인공동소유
나. DID(Designer-Industry-Distributor)형 수익창출.
(1) 유통업체 사업주도
(2) 디자이너 사업주도
(3) 디자이너-유통업체 디자인공동소유
(4) 디자이너-산업체-유통업체 디자인공동소유
다. PGC(Provincial Government-Centered)형 수익창출
(1) 지방자치단체주도 디자인소유
(2) 지방자치단체주도 디자이너 디자인소유
(3) 지방자치단체주도 디자이너-산업체 디자인공동소유
(4) 지방자치단체-디자이너 디자인공동소유.
라. PO(Production Outsourcing)형 수익창출
(1) 디자이너주도 생산아웃소싱
(2) 지방자치단체주도 생산아웃소싱
(3) 디자인공동소유 생산아웃소싱
마. DDC(Designer Distribution-Centered)형 수익창출
제 4 절 디자인을 통한 수익창출유형의 선택
가. 수익창출유형선택의 고려요소
(1) 디자인개발요소
(2) 디자인소유 및 관리요소
(3) 생산 및 판매요소.
(4) 사업주도 및 수익창출요소
나. 수익창출유형의 선택

제4장 디자인비즈니스의 개념성립
제 1 절 디자인의 개념과 목표
제 2 절 비즈니스의 개념과 목표
제 3 절 디자인비즈니스의 개념정의와 전제조건

가. 디자인비즈니스의 개념정의
나. 디자인비즈니스의 전제조건
(1) 시장지향적 정보탐색
1. 소비자분야
2. 경쟁자분야
3. 환경분야
4. 트렌드분야
(2) 과학적 디자인개발
1. 아이템선택
2. 컨셉테스팅
3. 디자인평가
(3) 효율적 디자인관리
(4) 디자인에 대한 지적재산권
(5) 아웃소싱전략

제 5 장 전략적 특화산업과 디자인비즈니스와의 관계
제 1 절 전략적 특화산업의 현황

가. 산업자원부, '지역특화기술개발사업'
나. 중소기업청, '지역특화산업'
(1) 지역특화품목개요
(2) 선정현황
1. 선정대상
2. 선정절차
3. 선정기준
4. 선정현황
다. 지방자치단체, '지역특화사업'
(1) 전남의 「1시군 1품목」사업
1. 1시군 1품목」사업의 발굴
2. 1시군 1품목」사업의 지정 및 육성현황
(2) 경기도의 지역특화농정사업
1. 농산분야
2. 축산분야
3. 산림분야
라. 전략적 특화산업의 유형분류
제 2 절 전략적 특화산업의 위기
가. 지역 차별성의 부재
나. 민자(民資) 지역특화사업성과 부실
다. 전략적 특화산업의 추진기반 취약성과 관심저조
라. 상품개발을 위한 기술적 한계 및 권리화 확보 미흡
마. 개발완료상품의 판로개척 부진
바. 디자인기반패러다임의 부재
제 3 절 전략적 특화산업유형과 디자인비즈니스의 수익창출

제 6 장 전략적 특화산업유형별 디자인비즈니스모델구축방안
제 1 절 농수산물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 추진방향
제 2 절 농수산물 가공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추진방향
제 3 절 생활용품형 농수산물 가공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추진방향
제 4 절 기술지향적 중공업 제조상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 추진방향.
제 5 절 디자인지향적 중공업 제조상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 추진방향
제 6 절 기술+디자인지향적 중공업 제조상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 모델추진방향
제 7 절 2차 산업형 문화상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추진방향
제 8 절 3차 산업형 문화상품산업의 디자인비즈니스모델추진방향
제 9 절 지식/정보 컨텐츠 상품산업의 자인비즈니스모델추진방향

제 7 장 디자인비즈니스모델개발 사례연구
제 1 절 담양의 죽세산업 현황분석

가. 죽세공예의 역사와 변천사
(1) 담양 죽세공예의 변천사
(2) 연대별 죽세공예
(3) 담양의 죽물시장
나. 담양의 죽세산업현황
(1) 담양의 죽림분포 현황
(2) 생산업체현황
(3) 담양의 주요 무형문화재
(4) 죽제품전시관(한국대나무박물관)
(5) 담양군의 육성의지
(6) 소비자의 인지도
다. 담양 죽세산업의 문제점
제 2 절 담양 죽세산업을 위한 디자인비즈니스모델 추진방향
가. 담양군 죽세산업을 위한 디자인비즈니스의 영역
나. 담양군 죽세산업의 9가지 유형에 따른 디자인비즈니스모델 추진방향
(1) 농수산물산업분야
(2) 식용 농수산물 가공산업분야
(3) 생활용품형 농수산물 가공산업분야
(4) 기술지향적 중공업 제조상품산업분야
(5) 디자인지향적 중공업 제조상품산업분야
(6) 기술+디자인지향적 중공업 제조상품산업분야.
(7) 2차 산업형 문화상품산업의 산업분야
(8) 3차 산업형 문화상품 산업분야
(9) 지식/정보 컨텐츠상품 산업분야
제 3 절 담양군의 대나무의류산업을 위한 디자인비즈니스모델
가. 디자인비즈니스의 수익창출방식
나. 디자인비즈니스 모델
(1) 비즈니스아이템선정
(2) 사업추진체제구축
(3) 생산시스템구축
(4) 자본조달 및 운용
(5) 판매 및 마케팅 방안
제 4 절 디자인개발사례
가. 브랜드 및 패키지 개발.
(1) 담양군 품질인증마크 디자인개발·
(2) 의류 브랜드 디자인개발
(3) 의류 패키지개발
나. 대나무의류 디자인개발.
(1) 1차 디자인시안
(2) 디자인개발안
(3) 의류 디자인 개발

제 8 장 결론
제 1 절 연구의 결과
제 2 절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참고문헌>
<부록 1> 담양군의 생산업체정보
<부록 2> 전국 지방특산품 및 특화산업리스트
<부록 3> 품질인증마크 및 의류브랜드 참고자료








"동북아 국가의 전략적 특화산업 창출을 위한 국제간 공동 디자인개발 연구 - 조선대학교(김명주), 2005"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