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곳곳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석유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그로 인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석유를 연소하여 엔진을 가동하는 기존 내연기관에서 벗어나 전기 자동차에 눈을 돌리고 있다. 전기 모터와 전기 배터리를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작동 원리 덕분에 소음도 없고, 유해물질도 만들지 않아 자동차의 미래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전기 자동차. 미래적인 생김새에 첨단 기술을 적용한 터라 디지털 시대의 총아처럼 느껴지지만, 전기 자동차는 엄연히 자동차의 탄생 시절부터 끊임없이 연구되던 동력 방식의 하나였다. 전기 자동차에 대한 세간의 관심을 접하다 보면 ‘자동차의 오래된 미래’라는 표현이 떠오르는 까닭이다.
1885년 독일의 카를 프리드리히 벤츠(Karl Friedrich Benz)는 가솔린 엔진으로 삼륜차 모토바겐을 달리게 하며 오늘날 자동차라 불리는 운송기기의 아버지가 됐다. 이때 사용한 엔진은 엔진 내부의 연소실에서 가솔린을 태워 얻은 고온 고압의 기체로 피스톤을 움직여 엔진을 가동하는 내연기관에 속한다.
내연기관이 당시 자동차의 유일한 동력은 아니었다. 외부의 뜨거운 수증기에서 얻은 열에너지로 기계를 구동하는 외연기관인 증기 기관만 해도 19세기 초까지 교외용 버스에 적용되며 유럽에 널리 보급되었다. 비록 19세기 말에 이르러 보다 성능 좋고 간편한 가솔린 엔진의 득세로 자취를 감추게 되었지만 말이다. 하지만 증기 자동차를 밀어낸 가솔린 자동차조차 당시 자동차의 주류는 아니었으니, 그 주인공은 바로 전기차였다.
보고서 본문 보기 |[생활을 바꾸는 디자인] 전기자동차 (designdb.com)
https://www.designdb.com/?menuno=790&bbsno=30782&siteno=15&act=view&ztag=rO0ABXQAOT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TkxIiBza2luPSJwaG90b19iYnNfMjAxOSI%2BPC9jYWxsPg%3D%3D#gsc.tab=0
본 콘텐츠는 현대경제연구원과 한국디자인진흥원 간 콘텐츠 협약을 통해 제공됩니다.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및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