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전시 · 행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일민미술관]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일민미술관]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주최일민미술관.사진아카이브연구소
대상 일반
분야 시각
웹페이지 http://www.ilmin.oorg

담당자명 김선영 전화  
이메일 ilmin@ilmin.org 팩스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전시기간 : 2007. 11. 9 (금) - 2008. 2. 3 (일)

전시장소 :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39번지 일민미술관 1,2 층 전시실

관람시간 : 화 - 일 / 오전 11시 - 오후 7시 / 월요일 휴관

관람료 : 일반 2,000원 / 청소년 1,000원

-

근대의 인문적 시각문화를 되짚어 현대를 알고자 노력해온 일민미술관은 무허 정해창선생 탄생 100년을 맞아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전을 열면서 한 개인이 당시에 일으킨 센세이션과 후대에 미친 역량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전시가 우리의 일상문화가 나아갈 길에 작은 지표를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

전시소개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이경민 (객원기획, 사진아카이브연구소 연구원)

1907년에 태어난 정해창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 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독일어를 전공하면서 그림과 사진을 배웠으며, 금석학 연구를 위해 중국유학을 다녀온 근대지식인의 한 전형이었다. 그는 해방 이전 사진가와 서도전각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금석학 연구 및 불교미술사 연구에 전념하면서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본 전시는 이처럼 다양한 예술 및 학문 연구 활동을 한 그의 삶의 궤적을 따라 근대지식인의 한 전형을 살펴보고, 딜레탕트의 한계를 넘어 취미를 벽의 수준으로까지 끌어올린 그의 문화예술 관련 작품들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 전시는 정해창의 예술활동 영역에 따라 크게 2부문으로 나누었다. 제1부 ‘사진인문학을 열다’는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사진가로서 활동한 시기의 사진작품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제2부 ‘서도전각의 길을 가다’는 1941년 <서도전각전>을 열면서 서예가와 전각가로 활동했던 정해창의 서예·전각 및 각석 작품들로 꾸몄다.

이번에 처음 공개되는 정해창의 빈티지프린트는 그의 사진 활동 시기인 1929년부터 1939년까지 10년간 작업한 사진들 중에서 선별한 것으로, 그 당시 실물사진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근대사진사연구에 있어 소중한 시각자료이다. 나아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촬영한 사진은 민속학분야에서 송석하가 촬영한 것이 유일할 정도인데, 500여점에 이르는 정해창의 사진자료는 근대기록문화유산으로도 손색이 없다.

또한 그가 남긴 5권의 불교미술사진첩에는 1953~1957년 사이에 전국을 답사하면서 촬영한 총 2,483점의 불교미술 관련 사진들이 내용별로 정리되어 있는데, 사진으로 읽는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라 할 정도로 귀중한 시각문화유산이다.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전통문화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한 정해창은 평생 ‘조선적인 것’을 쫓아 사진에서 서예와 전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 불교미술 연구의 길로 걸어갔다. 그 과정에서 그가 성취한 예술작품과 연구 성과들은 우리에게 문화적 자산으로 남겨졌다. 이번 전시가 그가 남긴 자료들을 발굴·정리·복원하여 정해창이라는 근대적 텍스트를 다시 읽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제1부 사진인문학을 열다, 무허舞虛 정해창

1929년 첫 번째 전시 이후 10여 년간 사진가로 활동한 정해창은 나라 잃은 식민지 지식인이라는 자의식 속에서 전통, 민족, 조선적인 것에 주목하였으며, 사진을 통해 근대 일상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의 이미지를 표출하는데 노력했다. 그는 주로 인물화, 풍속화, 산수화, 점경인물화, 화조영모화 등 전통회화의 화목과 양식에서 ‘조선적인 것’을 찾으려 했다. 따라서 제1부는 전통회화의 화목에 따라 정해창의 사진을 분류했으며 여기에 정물, 자화상, 문화재를 보태 총 8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이번에 처음 발굴, 공개된 5권의 불교미술사진첩은 그의 예술사진과 함께 우리나라 근대기의 중요한 역사기록물로서, 사진인문학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부 서도전각의 길을 가다, 수모인水母人·물아재物我齋 정해창


목록 버튼 다음 버튼 이전 버튼
본 정보는 DESIGNDB에서 제공되는 내용이 아니며, 관련 문의는 주최(사)에 문의해 주세요.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