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기술로드맵 개발사업 결과보고서
8대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2005
주관기관명 : 한국디자인진흥원
총괄책임자 : 전준헌
연구원 : 김태완, 송정만
위탁개발책임자 : 허민구
위탁개발연구원 : 이제호
1. 최종(당해) 개발목표
☐ 본 사업은 장기적 관점에서 산업별로 요구되는 디자인기술에 대한 로드맵을 작성하며, 차세대성장동력 및 주력기간산업 중 디자인기여도가 높은 8개 산업을 중심으로 디자인핵심기술과 요소기술의 도출 및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함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 디자인이 예술 및 감성적 영역의 발전과 함께 산업 및 기술발전에 보다 직접적
인 기여를 하기 위해서는 한층 체계적인 전략과 실행방안의 수립이 필요함
○ 이와 같은 전략과 실행방안에는 디자인을 기술로 인식하고 각 핵심 산업별 디자인기술 자체의 발전은 물론 타 기술영역과의 융합 발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이 핵심내용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 산업별 기술발전과 병행한 디자인기술발전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영역에 있어서도 산업 및 기술발전과 함께 접목될 수 있는 디자인기술부문의 중장기 발전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디자인기술로드맵은 향후 10년을 목표시점으로 하여 주요산업별 핵심디자인기술의 도출과 이들 기술의 발전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함
○ 디자인기술로드맵 사업의 개발범위
- 해당산업부문의 비전, 목표, 기본전략 설정
- 산업별 동향 및 디자인기술개발동향 분석
- 산업별 핵심디자인요구사항 및 디자인기술 성능목표 설정
- 산업별 주요 디자인기술영역 및 요소기술 도출
- 산업별 디자인기술로드맵 전개도 작성
- 산업별 디자인기술 개발전략 수립
- 산·학·연·관의 역할분담방안 및 실행계획을 위한 제안 작성
☐ 본 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중점연구대상산업을 선정함
○ 디지털가전, 차세대 이동통신, 지능형 홈 네트워크, 디지털미디어디자인(디지털 콘텐츠/SW 솔루션 명칭변경), 지능형 로봇, 차세대 자동차 등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과 조선, 기계 등 주력기간산업 중에서 디자인 기여도가 높은 8개 산업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개발을 추진함
4. 연구개발 결과
□ 본 사업은 산업과 기술발전을 위한 국가적 육성정책이 미래 핵심 산업인 차세대성장동력과 주력기간사업을 중심으로 구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별 기술과 접목될 수 있는 디자인기술의 발전방향 구도 마련 및 기술개발 중점영역 도출에 의의가 있음
○ 국가전략산업인 차세대성장동력과 주력기간산업 중에서 8개 산업을 선정, 산업적 맥락과 연계된 디자인기술의 발전전략 및 핵심적 디자인기술영역을 도출하여 효과적 디자인산업발전 및 디자인기술개발의 기반을 마련함
○ 디자인산업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에 대한 지원사업, 디자인기술분류체계 수립 등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산업별 기술과 접목될 수 있는 디자인기술의 구조화 및 지식체계 마련을 위한 초석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요 약 목 차
I.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범위
3. 사업의 추진전략 및 방법
(1) 사업추진전략
(2) 단계별 사업추진절차
(3) 사업추진체계
(4) 사업추진일정
4. 사업의 의의 및 향후 과제
(1) 사업의 의의 및 향후 방향
(2) 디자인기술로드맵의 활용을 위한 향후 과제
II. 산업별 디자인기술로드맵
1. 디지털 가전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 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 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2. 차세대 이동통신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 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3. 지능형 홈 네트워크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 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4.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 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 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5. 지능형 로봇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6. 차세대 자동차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7. 조선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8. 기계 부문
(1) 핵심디자인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미래시나리오 및 비전
(3) 주요 디자인기술영역의 핵심요구사항 및 발전전망
(4) 디자인기술개발전략
9. 산업공통적용디자인기술 부문
(1) 작성관점 및 도출방법
(2) 산업공통적용디자인기술 도출 결과
주제 |
발표자 |
파일보기 |
로드맵 개발 추진경과보고 |
김태완 팀장 |
보기 |
디지털 가전 및 차세대이동통신 부분 발표 |
이건표 교수 |
보기 |
지능형 홈 네트워크 부문 발표 |
김용성 교수 |
보기 |
디지털미디어 디자인 부문 발표 |
홍석기 교수 |
보기 |
지능형 로봇 부분 발표 |
김명석 교수 |
보기 |
차세대 자동차 부문 발표 |
조경실 대표 |
보기 |
조선 부문 발표 |
이재원 교수 |
보기 |
기계부문 발표 |
문무경 교수 |
보기 |
산업공통적용기술 부문 발표 |
이재호 부장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