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독창적 신모델 개발 연구 - 고령화 사회 도래에 대비한 전략적 상품 개발 연구 - 한국디자인포장센터 디자인개발부, 조벽호, 이광호, 1990

독창적신모델 개발 연구

고령화사회 도래에 대비한 전략적 상품 개발

獨創的新모델 開發 研究

高齢化社會 到來에 對備한 戰略的 商品 開發

한국디자인포장센터 디자인개발부, 조벽호 홍익대 교수, 이광호 서울시립대 강사 

 

 

목차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연구의 방법

1. 고령화 사회와 인구연령 분포

1-1 고령사회의 정의

1-2 인구의 고령화 추세 및 향후 전망

1-3 고령화 사회의 문제(과제)

1-4 한국 노인의 생활 및 욕구·

1-5 고령화 사회의 부차적 결언

2. 고령자와 加齡프로세스

2-1 고령자의 정의

2-2 가령 프로세스

2-3 부차적 결언(가령프로세스와 디자인과의 관련)

3. 실버산업의 현황(일본)

3-1 실버산업의 배경

3-2 실버산업의 정의와 배경

3-3 실버산업의 분류

3-4 노인홈의 현황

4. 국내

실버산업의 현황과 전망

4-1 국내 실버산업의 종류

4-2 국내 실버산업의 전망

4-3 실버마켓의 개발

5. 고령화와 제품환경

5-1 잠재시장으로서의 고령자층

5-2 제품환경의 분류

5-3 인간공학적인 배려

5-4 고령자용 제품개발을 위한 조사

6. 사례 연구

6-1 고령화 사회의 전략화 상품개발 예측 모형(종합스트럭쳐)

6-2 배경(BACKGROUND)

6-3 RESEARCH

6-4 개념설정(CONCEPTION)

6-5 ALTERNATIVE

7. 결언

 

 

연구의 목적

 

1982년 열린 UN의『고령자문제 세계대회』에서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7%를 넘는 사회를「高齡化社會」로, 14%를 넘으면「高齡社會」로 규정하고 사회전체에 대책을 강구하도록 호소하고 있다.

UN의 규정에 따른 통계치수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2005年에「고령화사회」에 진입하며 2030年에는「고령사회」에 다다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굳이 통계치수에 의한 고령화사회의 규정이 아니더라도 우리나라는 70년대에 시작한 고 도 경제성장기와 함께 우리들의 생활내용이 현저하게 변모하기 시작하면서 노인문제가 서 서히 사회문제로서 대두하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공업사회의 진전과 함께 노동자세대의 증가에 따라 전 국민의 샐러리맨화는 농업중심의 생산활동에 의해서 지지되어 온 가족부양이라는 체계를 붕괴시키며 핵가족화 를 가속화하기 시작했으며, 가정이 戸主 중심에서 부부중심으로 바뀌는 가운데 유교적 전통 에 의한 가족내의 가치관이 균열되기 시작하면서 가정내에서 고령자의 지위하락이 시작되 었기 때문이다. 또 실적 위주의 경쟁사회에서 어쩔 수 없는 빠른 은퇴는 경제력의 저하를 가져왔으며, 아파트의 둥장에 의한 생활의 서양화와 삶의 질에 대한 욕구는 많은 내구소비 재의 구입을 강요하고 증가하는 교육비는 노인을 부양해야 할 중년세대의 생계비에서 많 은 부분을 차지하여 고령자 부양비의 염출이 용이하지 않아 노인들은 더욱 궁핍하게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들은 다음과 세가지의 의존성을 강화시켜 나가게 되며 이는 곧 사회문제로서 대두되는 고령자 문제이기도 하다.

① 고령자의 생활을 경제적으로 보장하는 경제적문제

② 쇠퇴해 가는 신체적기능을 보전하고 건강, 의료를 보장하는 신체적문제

③ 노인을 고독으로 부터 지키고 정신적인 면을 보장하는 정서적문제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는 디자인 레벨을 포함하여 크게는 국가정책의 레벨에서 작게는 介護技術레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고 하는 차원의 의식적 문제는 경제적, 신체적 문제에 비해서 사회적 관심으로서의 顯在化가 늦어지고 있는데, 삶의 의욕이라든가, 인생을 즐긴다거나, Silver Life의 Identity를 모색한다거나 하는 형태의 거시적이며 소프트한 문제에도 디자인이 대응해 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를 예견, 분석하며, 이를 근거로 미래사회에 변화에 대처하고 고령층에게 사회참여 및 자아발견의 기회를 통해 새로운 생활의 의미를 창출해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

 

한마디로 500萬인의 고령자라고 해도 거기에는 500萬가지의 일상생활이 전개되고 있음에 틀림 없다. 그런 다양한 삶 가운데서 어떠한 측면을 절단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문 제점을 제품디자인과의 관계에 두고 해결을 꾀할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문제의 발견이 아니더라도 노인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다른 분야에도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문제로, 우선 해결하려고 하는 측의 고령자상(像)이 문제가 된다. 이는 고령자의 현실을 어떠한 관점으로부터 바라볼 것인가 라고 하는 것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500萬인의 고령자들이 현실은 다양하나 그 현실로부터 파생되는 일상의 현상이 고령자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바람직한가 아닌가 흑은 기대되어질 만한 것인가 아닌가를 우선 판단해야 한다. 즉,

① 일상의 현상의 부정적인 면을 사실 그대로 볼 것인가?

② 일상의 현상의 부정적인 면을 비판적으로 볼 것인가?

③ 일상의 현상의 긍정적인 면을 사실 그대로 볼 것인가?

④ 일상의 현상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한 형으로 볼 것인가?

라고 하는 관점을 정해야 한다. 

물론 현실의 총체는 이러한 측면이 복잡하게 뒤얽힌 형으 로 존재하고 있으며 따라서 문제의 발견도 이 네가지 관점에 서서 여러가지 형으로 섞어 서 전개하지 않으면 안되나, 범위가 넓고 복잡한 만큼 문제의 중심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잠정적으로 ④의 관점에서 현상을 인식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서 고령자의 경제력은 자산 전체로서 생각하면 실물자산 과 금융자산이 있으나 자료화된 것이 없고, 단지 소비생활의 수준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어 가고 있는 현재의 우리 실정에서 전체적으로는 고령자 세대의 생활도 향상되어 가고 있는 것은 틀림없으나 그 향상의 정도가 다른 Life Stage에 비해 전체적으로 느리고 내용도 열 둥할 것이라는 현상인식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 인식을 지지하는 통계지수의 제시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령화사회의 전망이나 대응에 필요한 새로운 시점을 Macro(거시적)一Micro (미시적), Hard —Soft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풍부한 사회로 변모되어 가고 있는 현실에서 고령자문제는 궁극적으로는 생활방식이 문 제로, 주체적인 삶 그리고 Community의 질과 같은 거시적이고 소프트한 문제도 해결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늙는다고 하는 누구라도 면할 수 없는 현실을 빈곤과 병이라고 하 는 부정적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젊은세대도 포함해서 전체상을 정면에서 직시하는 새로운 Life System을 만들어 내지 않으면 안된다. 여유있는 중류 이상의 건강한 Silver Life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경제적 • 신체적문제 등 미시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편 에서 중류 이상의 고령자들은 사적부양(私的扶養)의 세계에 놓여진 채 사회적 서비스의 눈밖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인 문제로서 현재화가 늦어지고 잇는 거시적인 면을 범위로 해서 디자인 문제를 고찰하려고 한다.

 

 

 

 

 

 

 

 

 

 

 

* 아래 이미지는 산업디자인 114호. 1991.02 중 본 연구가 소개된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독창적 신모델 개발 연구 - 고령화 사회 도래에 대비한 전략적 상품 개발 연구 - 한국디자인포장센터 디자인개발부, 조벽호, 이광호, 1990"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