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디자이너 등급별 노임단가 실태조사 보고서(타 단가 미포함 버전) -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2022
2022 디자이너 등급별 노임단가 실태조사 보고서(타 단가 미포함 버전)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2022
주관기관 :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조사기관 : ㈜리서치랩
연구 기간 : 2022년 08월 ~ 2022년 10월
연구 대상
- 2019년 전국사업체 조사 중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서비스/경험 디자인에 해당하는 사업체
- 2022년 현재 한국디자인진흥원에 신고·등록한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업체(리스트를 보완적으로 사용)
통계작성방법
표본조사
자료수집방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조사(전화 및 팩스 조사)를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일부 기업의 요청에 따라 방문 면접조사 병행
연구 목적
산업디자인개발 용역 사업의 공공 발주 시, 대가산정에 필요한 직접인건비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
- 디자인 전문회사에 근무하는 디자이너의 등급별 실지급 임금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임금 수준을 진단하고, 유관기관 및 업계의 디자이너 임금단가 산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 <산업디자인 개발의 대가기준> 등 관련 정책 및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관련 통계 정보를 구축하여 연구 및 교육 등에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
이용자를 위하여
- 본 보고서는 2022년 7월 기준 디자인 전문업체를 대상으로 디자이너 등급별 실 지급 노임 단가를 조사한 결과임
- 본 보고서의 임금은 ‘22년 7월 만근한 디자이너에게 실지급한 임금을 1인 1일(8시간) 근무 기준으로 평균한 금액이며, 만근한 디자이너의 1개월 임금을 산출하고자 할 경우 “임금 × 평균근무일수”를 통해 산출함
- 유급휴일에 따른 급여는 포함되어 있음
- 시간외 수당, 휴일 수당, 야간 수당 등 근로기준법 상의 근무시간 이외 근무한 수당은 임금에서 제외되어 있음
- 전수조사한 층은 규모가 과소하여 이용시 유의가 필요함
- 통계 수치는 반올림을 원칙으로 하여 합계 및 본문 내용 등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통계표에 사용된 부호의 뜻은 다음과 같음
- [-] 조사 대상자가 없음
- [0] 조사 결과 값이 0이거나 0의 근삿값인 경우
목차
제1장. 조사 개요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표본 설계
제3절. 조사표 회수 현황
제4절. 조사 항목 해설
제5절. 조사 품질 관리
제2장. 조사 결과
제1절. 전반적 동향
제2절. 업종별 노임단가
제3절. 종사자 규모별 노임단가
제4절. 지역별 노임단가
제5절. 임금동향
제3장. 타 조사 결과 비교
제1절. 임금단가 비교
제2절. 비교 조사별 등급별 세부 기준 및 임금단가
부록
1. 통계표
2. 주요 변수(노임단가) 상대표준오차
3. 조사표
* 출처 : 디자인대가기준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dsninfo.or.kr/customer/detail.do?type=ARCHIVE&seq=10224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