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논문) 1920–1930년대 중국 ‘현대미술자 (現代美術字)’가 서체디자인에 남긴 영향: ‘변체미술자 (變體美術字)’를 중심으로 - 김홍성(한국디자인사학회 논문집, 디자인사연구 통권3호, 2021.8.)

(논문) 1920–1930년대 중국 ‘현대미술자 (現代美術字)’가 서체디자인에  남긴 영향:

‘변체미술자 (變體美術字)’를 중심으로

김홍성(한국디자인사학회 논문집, 디자인사연구 통권3호, 2021.8.)

 

 

출처: 한국디자인사학회 designhistory.kr/kr

원문: designhistory.kr/kr/search/the-influence-of-chinese-xiandaimeishuzi-from-the-1920s-and-1930s-on-today-s-type-design-focusing-on-biantimeishuzi

 

 

요약

이 연구는 1920년대 전후 지금의 중국 서체디자인에 큰 공헌을 했던 현대미술자 중 변체미술자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현대미술자의 글꼴 구조와 조형 분석을 통해 지금의 한자 서체디자인에 미친 영향을 밝혔다. 한자는 중국의 역사이자 중국문화의 핵심이다. 현대미술자는 1915년부터 1923년까지 지속한 신문화운동, 5·4애국운동 등 문화부흥의 분위기 속에 도입된 도안 교육의 환경에서 일본, 프랑스 등의 서구 근대 디자인의 유입과 서구와 일본 도안 출판물을 통해 영감 받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탄생한 새로운 한자 서체 디자인 실험이다. 유학파는 유학을 통해 경험한 ‘장식예술’을 반영한 디자인을, 중국 본토에서 활동한 디자이너는 전통을 재해석한 디자인을 추구했다. 또한 다양한 미술전문학교 창설을 통한 활발한 디자인교육은 1930년대에 이르러 현대미술자가 절정에 이르는 데 기여했다. 이 과정에서 다듬어진 현대미술자는 문화 정체성을 만들며 유연한 포용력으로 새로운 문화적 전통을 만들어냈다. 현대미술자는 조형적으로 한자를 해석한 서체디자인의 선구적 모색으로 오늘날 레터링(Lettering)과 디지털 서체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엄격하게 한자를 쓰는 방법과 규율을 제공했던 전통 서법(書法)에서 벗어나 글자를 ‘그리고 설계하는’ 방향으로 조형적 접근을 시도한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그 조형적 특징은 먼저 간가결구(間架結構)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하단 면적을 크게, 상단 면적을 작게 처리한 상하결구, 좌측 면적을 작게, 그리고 우측 면적을 크게 처리한 좌우결구, 그리고 상대적으로 비슷한 두께의 획과 네모꼴 자형일 경우 포위 면적이 포위당한 면적보다 작게 처리된 포위결구, 그뿐만 아니라 일부 떨어져 있는 획을 제외하고는 겹치는 면적이 있는 단체자의 상리(相離), 상교(相交), 상접(相接) 세 결구, 끝으로, 영문 X자의 시각보정 흡사한 처리를 보이는 상교결구으로 글자꼴의 심미적 기준을 마련한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현재 가장 대표적인 혼합체인 흑체의 굵고 기하학적인 필획에 송체의 자각을 붙여 디자인한 굵은흑송체와 비교할 때, 간가결구의 비율과 획의 자각 모양 측면에서 매우 큰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로획에서 오른쪽 끝에 위를 향한 자각, 가로획과 세로획을 잇는 모서리의 자각, 획 끝단에 곡선으로 처리한 나팔구을 통해 변체미술자와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대미술자는 서예와 서체디자인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며 전통적으로 한자를 바라보는 인식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했다. 오늘날 다수의 서체에서 발견되는 혼합체의 특성을 여러 가지 서체의 특성을 하나로 묶는 창작 발상으로 처음으로 시도한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1920–30년대 전후 중국의 서체디자인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현대미술자(現代美術字)’ 글꼴 조형의 특성을 분석하여 오늘날 한자 서체디자인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배경

현대미술자는 서예와 달리 장식성이 두드러지는 꾸민 용도의 도안문자(圖案文字)를 뜻한다. 1920– 1930년대 중국 계몽운동(啟蒙運動)배경에서 나타났으며 이 시기는 그래픽 디자인의 백은시대(白银时代)라고 불릴 만큼 다양하고 많은 양의 글꼴디자인이 출현했고, 예술성(藝術性)과 기능성(功能性)을 겸비한 현대미술자는 현대 디지털 서체디자인에 많은 영감을 주는 선구적 모색을 이론과 실천의 바탕 위에서 시도하면서, 중국 서체디자인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또한, 현대미술자는 서예(쓰는 글씨)가 아닌 서체(그리는 글씨)로의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며, 서예와 서체디자인 사이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 당시 디자인된 다양한 현대미술자 관련 교과서는 이론적 자료로 지금까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한의(漢儀字庫, Hanyi), 방정(方正字庫, Founder type)과 같은 서체디자인 회사에서 현대미술자를 모티브 삼은 다수의 디지털 한자 서체를 출시하는 점을 미루어볼 때, 최근 현대미술자의 조형적 특징이 디지털 서체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서체디자이너들 사이에서 큰 관심의 대상임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현대미술자 관련 선행 연구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 글꼴의 형식적 분석 없이 글꼴을 나열하고 소개하는 데 그치며 그 가치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미술자의 조형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토대로 오늘날 디지털 한자 서체와의 비교를 통해 1920–1930년대 현대미술자 글꼴 조형의 특징을 제시하고, 현재 서체디자인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이 연구는 선행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민족성의 경계가 흐릿해진 지금, 자신의 것을 지키며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는 문제는 꾸준히 고민해야 하는 과제이다. 문자가 문화의 핵심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측면에서 현대미술자는 ‘문화 정체성’을 이으며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려는 유연함을 보여준다. 1920– 1930년대 현대미술자 글꼴 형식적 분석을 통해 중국 서체디자인이 어떻게 과거를 수용하고 새로운 시도를 지속할 수 있는지 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1.3. 용어 풀이

2. 1920-1930년대 현대미술자 출현 배경과 발전 과정

2.1. 1920년대 현대미술자의 출현 배경

2.2. 1920-190년대 현대미술자의 발전과정

2.3. 현대미술자의 대표 디자이너와 사례

3. 현대미술자 글꼴 조형 분석 

3.1. 분석의 기준

3.2. 간가결구(間架結構)의 비율 분석

3.3. 획과 자각(字脚)의 형태 분석

4. 현대미술자가 한자 서체디자인에 남긴 영향

4.1. '쓰기'에서 '그리기'로의 변화

4.2. 혼합 유형 서체디자인의 시작

5. 결론

 

"(논문) 1920–1930년대 중국 ‘현대미술자 (現代美術字)’가 서체디자인에 남긴 영향: ‘변체미술자 (變體美術字)’를 중심으로 - 김홍성(한국디자인사학회 논문집, 디자인사연구 통권3호, 2021.8.)"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