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 연구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논문) 2000년 이후 K-POP 뮤직비디오의 한국전통콘텐츠활용변화 - 황주원, 조혜영(한국디자인사학회 논문집, 디자인사연구 통권 7호, 2024.1. )

(논문) 1970년대 대중잡지 《선데이서울》 표지를 통해 본 여성 표상

손채영, 조혜영(한국디자인사학회 논문집, 디자인사연구 통권 7호, 2024.1. )


출처: 한국디자인사학회 designhistory.kr/kr

원문: designhistory.kr/kr/search/2000nyeon-ihu-k-pop-myujikbidioeui-hanguk-jeontong-kontencheu-hwalyong-byeonhwa

 

요약

한국의 대중음악은 현대에 들어서 K-POP(Korean pop music)이라 불리고 있다. K-POP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배경과 한국의 대중음악 및 K-POP의 흐름을 확인하면, K-POP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한류를 확인할 수 있다. 사회· 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음악 시장은 기술과 매체의 발전, 사회현상과 결합하여 발전해 왔다. K-POP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에서 중요한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게 되었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긍정적 반응을 얻으며, 한국의 문화를 즐기고 따라 하는 ‘한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K-POP을 표현하는 수단 중 하나인 뮤직비디오(Music Video)에서 보이는 패션, 문화, 퍼포먼스가 한류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아티스트와 문화적 콘텐츠 성공 여부에 없어서는 안 될 미디어 매체가 되었다. 한류라는 개념이 인식되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부터 2022년까지의 뮤직비디오에서 한국 전통 콘텐츠를 활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0년 이후부터, K-POP 뮤직비디오에서 한국 전통 요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히 전통 요소를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소재와 형태로 디자인되어 나타났기 때문에 국내와 해외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고, 단순히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융합되어 탄생한 한국 전통 요소라는 점이 주목을 받았다. 이렇게 한국 전통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가지며, 한국 전통에 대해 상기하고 문화콘텐츠로서의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뮤직비디오 내에서 등장하는 한국 전통 콘텐츠 활용 변화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미래의 K-POP 콘텐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 배경과 목적

현재 K-POP(Korean pop music)이라 불리는 한국의 가요는 과거와 달리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주목받는 장르가 되었다. K-POP은 한국 문화 콘텐츠 부문에서 우수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문화적 측면에서는 높은 파급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파급력을 보통 ‘한류’라고 칭하는데, 최근의 K-POP 한류는 아시아를 벗어나 미국, 유럽뿐만 아니라 비서구권, 중동이나 남미 등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는 부분에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K-POP을 표현하는 수단 중 하나인 ‘뮤직비디오’(Music video)는 시각과 청각이 혼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뮤직비디오 내에서 등장하는 아티스트의 홍보, 패션과 이미지,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청각만을 이용하는 테이프 또는 씨디(CD: Compact disc)와 같은 형태의 음반을 구매하여 음악을 청취했지만, 현대에는 세계적으로 온라인 소통이 활발하고 유튜브(Youtube), 틱톡(Tik tok)과 같은 SNS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뮤직비디오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대중들에게 노출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노래와 영상 이미지가 결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뮤직비디오는 K-POP 흥행에 없어서는 안 될 요인이 되었고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문화 콘텐츠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2012년도 싸이의 ‘강남스타일’ 신드롬과 2018년 방탄소년단(BTS)이 미국 빌보드 차트 진출 및 빌보드 뮤직 어워드(Billboard Music Awards)에서 ‘톱 소셜 아티스트상’을 2년 연속 수상하면서 K-POP과 한국, 한국에서 생성되는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가요라는 장르에서 ‘한류’라는 개념은 2002년, 가수 보아(Boa)가 데뷔 후 세계 3대 음악 차트라 말하는 일본의 오리콘 차트(Oricon chart)에서 1위를 하고 돌아오면서 대중에게 인식되었다. 한류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보통 음악 시장에서 해외의 문화를 수용하고 모티브 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다양한 세대의 아티스트와 아이돌이 해외에 진출하고 문화적 흐름을 주도하게 된 지금은 한국의 전통적 요소를 패션, 가사, 소품 등에서 적극적으로 접목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인기 아티스트인  블랙핑크(Black pink)의 ‘뚜두뚜두(DDUDU DDU-DU)’, ‘How you like that’, ‘Pink venom’ 뮤직비디오 내에서 단청의 형태와 무늬를 응용한 무대 세트와 새롭게 디자인된 개량 한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방탄소년단(BTS)의 ‘IDOL’, 방탄소년단의 멤버 슈가의 ‘대취타’에서도 3D 그래픽을 이용한 한옥의 모습과 창덕궁의 인정전을 재현한 세트장이 등장한다. 이렇게 뮤직비디오에서 등장하는 한국의 전통 요소는 국가 이미지와 홍보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그 어느 콘텐츠보다 뮤직비디오라는 효과적 매체로 한국의 전통문화와 경쟁력, 새로운 정체성과 시각적 결합을 창출하고 있다. 뮤직비디오에서 나타나는 한국 전통적 요소 활용에 대한 흐름과 현황 및 변화는 앞으로의 한국 대중문화와 파급력 높은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 콘텐츠는 한국의 전통과 국가 이미지 홍보에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새로운 경쟁력을 제시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라는 개념이 인식된 2000년대 이후의 뮤직비디오에서 나타난 한국 전통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흐름 및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한류 개념의 문화적 배경 

2.1. 한국의 대중음악과 K-POP 

2.2. 뮤직비디오의 역할과 효과 

3. 2000년대 이후 K-POP 뮤직비디오의 한국 전통 요소 활용의 사례 

3.1. 전통 문양 요소 활용 분석 

3.2. 건축적 상징 요소 활용 분석 

3.3. 의복과 패션 사례 활용 분석 

3.4. 공예적 기물과 예술 활용 분석 

4. 결론


"(논문) 2000년 이후 K-POP 뮤직비디오의 한국전통콘텐츠활용변화 - 황주원, 조혜영(한국디자인사학회 논문집, 디자인사연구 통권 7호, 2024.1. )"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