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 및 지원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트렌드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 리포트
해외 디자인 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HOME
>
트렌드
>
기술 트렌드
기술 트렌드
디자인DB가 추천하는 키워드
인공지능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총 1400건
현재페이지 36/140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제품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디자인일반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산업공예디자인
융합디자인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버추얼디자이너 안토니 오띠, “가상세계가 실제세계를 잠식해 가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4.05.
giotto
이 가상의 작품은 NFT로 판매될 예정이다. 최근 암호화폐와 NFT(대체불가능 토큰)가 등장하면서 이 같은 버추얼 작품들을 위한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오띠는 디진과의 인터뷰에서 디지털 기술이 “일종의 건축적 해방”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디지털덕분에 새로운 형태의 건축이 등장했고, 중력과 예산, 행정적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건축의 경계를 확장하는 일이 가능해졌다”고 그는 말했다. “따라서 우리의 상상력은 무한한 자유를 얻어 ...
버추얼디자이너 안토니 오띠, 몽환적 건축콘셉 담은 아키토이 캡슐 NFT 경매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4.05.
giotto
지바 스튜디오(Zyva Studio)의 디지털 디자이너 안토니 오띠(Anthony Authié)와 시각화 아티스트 샬롯 테일러(Charlotte Taylor)가 몽환적 건축콘셉을 담은 캡슐인 아키토이(Architoys)를 공동 작업해 NFT 경매에서 내놓는다. 에어팟 케이스와 크기가 같은 이 알루미늄 캡슐들은 시계와 같은 원리를 통해 가상의 건축환경을 그린 디지털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또 다른 공상 프로젝트와 관련된 디지털 이미지와 데이터 파일들도 캡슐에 저장할 수...
이머징 오브젝츠, Covid-19동안 커플이 지낼 3D 프린팅 흙집 제작
공간/환경디자인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라이프스타일
,
트렌드전망
2021.04.02.
giotto
카사 코비다(Casa Covida)는 미국의 스튜디오 이머징 오브젝츠(Emerging Objects)가 어도비를 3D로 출력해 지은 오두막이다. 콜로라도에 위치한 이 집은 코로나 팬데믹이 계속되는 동안 두 사람이 호젓하게 지낼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머징 오브젝츠는 카사 코비다를 하나의 사례 연구로 삼아 현대기술과 전통기법의 접목을 통해 두 사람이 함께 살만한 집을 만드는 방법을 탐구했다. 샌 루이스 밸리 사막에 위치한 이 실험적인 오두막...
첫 우주호텔 2027년에 문연다
공간/환경디자인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4.01.
giotto
게이트웨이 재단(Gateway Foundation)이 인류의 첫 우주 호텔이 될 보이저 스테이션(Voyager Station)을 2027년에 개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보이저 스테이션의 건설은 자칭 “세계 최초의 대형 우주건설 기업”을 표방하는 오비탈 어셈블리 코퍼레이션(Orbital Assembly Corporation)이 맡는다. 재단에 따르면, 2027년에 첫 방문객을 받는 것을 목표로 5만 제곱미터 규모에 달하는 시설 건설이 2026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호텔에는 최대 440명이 투...
1960-80년대 이탈리아 디자인오브제를 디지털배경으로 소환한 가상전시, ‘다양한 경향성들’③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3.26.
giotto
디자이너 가에타노 페세의 업 2 영화와 앨범 커버 외에도 한은 유명한 예술작품과 과거의 디자인전시 장면들도 그의 렌더링에 빌려왔다. 업 2(UP 2)는 가에타노 페세(Gaetano Pesce)가 1969년에 디자인한 안락의자로, 페미니스트 예술가 주디 시카고의Judy Chicago) 1979년 설치작품 ‘디너 파티(The Dinner Party)’를 차용한 무대에서 다양하게 변주된 형태로 배열된다. 프란세스코 부치(Francesco Buzzi)의 1969년 플로어 램프 ‘쿠피아(Cuffia)’...
1960-80년대 이탈리아 디자인오브제를 디지털배경으로 소환한 가상전시, ‘다양한 경향성들’②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3.26.
giotto
아르키촘 아소차티의 1968년 산레모 플로어램프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의 2001년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A Space Odyssey)’를 인용 부분에서 처럼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아르키촘 아소차티(Archizoom Associati)의 1968년 산레모(Sanremo) 플로어램프의 렌더링은 노란색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는데, 이는 당시로부터 10년 후에 나온 영국의 록밴드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의 테크니컬 엑스터시(Technical Ecstasy) 앨범 커버에서 ...
1960-80년대 이탈리아 디자인오브제를 디지털배경으로 소환한 가상전시, ‘다양한 경향성들’ ①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3.26.
giotto
두이 한의 렌더링을 모아놓은 영상 예술가이자 디자이너인 두이 한(Duyi Han)이 후대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이탈리아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대중문화에서 차용한 3D 환경을 배경삼아 보여주는 렌더링을 제작했다. 에토레 소트사스(Ettore Sottsass)와 엔조 마리(Enzo Mari)를 포함해 41명의 디자인오브제들이 디지털버전으로 재현되었다. 그의 작품은 브룩클린의 수퍼하우스(Superhouse) 갤러리에서 ‘다양한 경향성들: 1960- 1980 이탈리아 디자인 (Dif...
전자책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전자종이
제품디자인
,
테크트렌드
,
라이프스타일
2021.03.24.
rus5519
※이미지 출처 : https://youtu.be/O5XhzmjUVnk 스마트폰 등장 이후 사람들은 다양한 정보를 한 손 안에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뉴스, 메신저, 인터넷 검색 등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책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무겁고 부피를 차지하는 종이책 대신 전자책으로 수백 권의 책을 하나의 기기에서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전자책을 읽을 때 사용되는 전자책 단말기에는 ‘전자종이’, 또는 ‘이페이퍼(e-paper)’라고도 불리는 다소 특수한 디스플레이가 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AI기술 ‘GAN’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2021.03.24.
rus5519
이미지 출처 : https://www.nvidia.com/en-us/research/ai-playground/ 인공지능은 이제 사람을 도와 일을 수행하는 비서의 역할을 넘어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는 예술가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어떠한 면에서는 사람보다 더욱 뛰어난 면모를 보인다. 이번 Design close up에서는 AI예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생성적 적대 신경망)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 기술은 딥러닝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조합, 변형하는 알고리즘이다. GAN기술을...
폐기물 관리를 돕는 제품과 서비스
제품디자인
,
공간/환경디자인
,
테크트렌드
,
라이프스타일
2021.03.24.
rus5519
※ 이미지 출처 : https://www.ecubelabs.com/ko/solar-powered-trash-compactor/ 지난 해 코로나의 여파로 ‘쓰레기 산’에 대한 뉴스가 화제가 된 바 있다. 안전과 위생을 이유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하면서 생활폐기물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생활 쓰레기 감량을 위한 정책이 활발하게 제안되는 한편 쓰레기 처리에 대한 관심도 집중되었다. 폐기물 처리는 최근에만 제기된 문제가 아니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는 가정에서 배출하는 쓰레기가 ...
<<
<
32
33
34
35
36
37
38
39
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