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 및 지원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보고서•통계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디자인 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HOME
>
보고서
>
디자인 연구
디자인 연구
디자인DB가 추천하는 키워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TOP20
서비스디자인 사례
안전디자인
디자인정책
정책디자인
총 1533건
현재페이지 122/154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제품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디자인일반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산업공예디자인
융합디자인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12. 수장문화와 목가구 - 홍은옥 한국 전통 문화 연구소 소장
제품디자인
2011.02.10.
oliviami
12. 수장문화와 목가구 홍은옥 한국 전통 문화 연구소 소장 조선시대의 수장 목(木) 가구에 대한 이해를 하려면 우선 조선시대 공예의 특성을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정도이다. 그리고 공예에는 마땅히 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와 삶의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조선시대의 목(木) 가구의 특징이다. 그래서 조선의 전통 사회생활과 가구공예는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관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생활방식에 따른 계통적 이해와 사상적 배경에서 그...
11. 규방문화와 안방가구 - 박영규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학과 교수
제품디자인
2011.02.10.
oliviami
11. 규방문화와 안방가구 박영규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학과 교수 규방閨房은 여성들이 거처하는 공간을 일컫는다. 조선시대 각별한 남녀유별의 규제 속에서 규방은 여성들의 생활공간인 안방만이 아니라 사랑채와 대조하여 안채 전부를 지칭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의 건물 배치를 보면, 남향집으로서 대지가 동서보다 남북이 긴 장방 형인 경우, 사랑채는 동남쪽에 사당은 동북쪽에, 안채는 서북쪽에 배치하였 다. 반면 대지의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으면 사랑채와 행랑채는 전면 ...
10. 선비문화와 사랑방가구 - 박영규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학과 교수)
제품디자인
2011.02.10.
oliviami
10. 선비문화와 사랑방가구 박영규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학과 교수 성리학性理學은 우주의 이치와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선은 성리학을 국가의 기본이념으로 삼고 개국부터 교육을 위하여 다방면으로 노력하 였다. 고려의 국자감國子監을 계승하여 가장 높은 교육기관인 성균관成均館을 설치 하고 하급 관학으로 서울에는 사학四學을, 지방에는 향교鄕校를 설치하여 학교를 통한 교육에 힘썼다.『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세종1432』『이륜행실도二 倫行實圖』『오륜행실도...
09. 현대주거공간 - 김태현 명지전문대학 교수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9. 현대주거공간 김태현 명지전문대학교 교수 우리나라의 전통마을은 풍수지리의 원리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풍수지리는 원래 중국에서 개발되었으나, 고려시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 그이론이 꽃피고 실천적으로 행해졌다. 그 주요한 이유로는 산이 국토의 75%로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마을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문제 해결로 산과 강 등의 요소와 어떻게 질서를 유지해야 하는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풍수지리사상은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우리나...
08. 전통건축의 미의식과 현대 공간 -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교수 외 1명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8. 전통건축의 미의식과 현대 공간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교수 김지은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박사과정 연구의 목적 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국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사상에 대한 이해를 우선 필요로 한다. 사상은 시대의 해석인 동시에 문화적 배경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 다. 또한 전통 사상의 이해가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맥락으로 이어질 수 있을때 시대의 문화적 진보에 이바지 하는 전통의 계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문화의 한 부분인 전통 건축...
07. 온돌과 마루 - 김상태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7. 온돌과 마루 김상태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전통건축에서 온돌과 마루의 분야로, 온돌과 마루의 역사, 전개와 발전, 그리고 현대의 응용에 이르는 연구를 통해 우리 주거문화 구성요소의 중심요 소인 온돌과 마루의 디자인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돌과 마루에 담겨진 사상과 의식을 통하여 우리의 미적 가치와 디자인적 요소를 찾고자 한다. 2. 우리나라의 풍토적 배경이 온돌과 ...
06. 정자문화 - 남호현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6. 정자문화 남호현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연구내용 및 결론 정자는 세속을 벗어난 한적한 곳에 은거하면서 자기 수양을 하는 것을 삶의 중요한 과정으로 삼았다. 선비들은 산과 물이 어우러진 이상적인 장소를 찾았으며 거기에 작은 집을 짓고 성리학을 통한 삶의 바른 태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정자공간은 불필요한 군더더기가 사라지고 가장 절제되고 축소된 공간이 남아 있고 그 공간은 주변의 자연경관과 일체가 된다. 소박한 것이 좋고농염한 것은 좋지 않으며, 정갈한 것이 좋...
05. 전통조경 - 심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교수 외 2명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5. 전통조경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교수 장일영 우석대학교 외래교수, 박사 고여빈 우석대학교 대학원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문화는 역사성을 갖고 전승되어온 국가와 사회적 집단의 정체성이며, 그시대의 문화와 조영양식을 지배하는 규범적 의의를 지니는데, 이러한 규범 내지는 가치관이 조경 영역에서도 커다란 영향을 끼쳐 전통조경 또는 작정(作庭) 기법이라는 정체성으로 실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선조들이 경영한 외부환경조건 그리고 조경공간의 경관적 ...
04. 전통건축의 공간구성 - 최효식 한양여대 인테리어디자인과 겸임교수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4. 전통건축의 공간구성 최효식(한양여대 인테리어디자인과 겸임교수) 한양여대 인테리어디자인과 겸임교수 연구배경 한국의 전통문화는 흔히 동양, 즉 the Orient라는 단어로 보통 한정 지어 진다. 그런데 보통 Asia와 동의어처럼 쓰이는 이 명사는 실제로 많은 편견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원래 이 개념은 유럽문명의 기원인 그리스와 이집트의 경쟁자였던 페르시아를 지칭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인도까지 그 영역이 확대된 것은 알렉산더의 동방원정이 계기가 되었으며, 로마제국...
03. 전통건축의 형태미 - 김왕직 명지대학교 교수
공간/환경디자인
2011.02.10.
oliviami
03. 전통건축의 형태미 김왕직 명지대학교 교수 건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연요인과 인문요인이 있다. 건축물을 만드는 기본적인 목적은 외부의 맹수와 비바람, 더위와 추위와 같은 자연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 원시인들은 맹수를 피해 나무위에 올라가 새처럼 생활하기도 했는데 이를 소거(巢居)라고 한다. 추운 지역에서는 난방과 채광이 우선이어서 구들을 발명하였고 더운 지역에서는 통풍과 그늘이 우선이기 때문에 처마가 깊고 원두막처럼 지면으로부터 높이 뜬 고상식(高床...
<<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