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 및 지원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보고서•통계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디자인 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HOME
>
보고서
>
디자인 연구
디자인 연구
디자인DB가 추천하는 키워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TOP20
서비스디자인 사례
안전디자인
디자인정책
정책디자인
총 54건
현재페이지 2/6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제품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디자인일반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산업공예디자인
융합디자인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44. 생활가전 - 홍사윤 LG전자 상무
제품디자인
,
기타
2011.02.12.
oliviami
44. 생활가전 홍사윤 LG전자 상무 소비자의 의식주 생활을 근간으로 진화하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 발전사는 어떤 제품분야 보다도 전통적인 것으로부터 현대적인 것으 로의 Lifestyle 변화를 잘 담아낸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문화적 발전 과정을 반영하는 가전제품의 변천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 역할을 수행하며 우리 생활과 문화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 가전제품이 처음 소개 되었던 5,60년대 경제개발의 시기에 냉장 고, 세탁기, 에어컨은 ...
43. 삼성전자 디자인 DNA - 김영준 삼성정자 상무
기타
2011.02.12.
oliviami
43. 삼성전자 디자인 DNA 김영준 삼성정자 상무 자기답게 산 사람을 우리는‘자기 세계가 있는 사람, 혹은 그만의 스타일이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기업 앞에 ‘답다’라는 수식어가 붙는다면 그 기업은 이미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지닌 것이다. 시장지향적인 유사한 제품들로 홍수를 이루고 있는 제품 판매환경에서 기업의 로고를 가리고도 그 기업의 제품임을 인식할 수 있는 브랜드는 많지 않다. 단순히 차별화를 위한 유니크한 스타일링은 쉽게 유행을 타고 질리기 마련이다. 대부분의 리딩 ...
42. Contemporary Arts(한국현대미술의‘보편적 개별성) - 강수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기타
2011.02.12.
oliviami
42. Contemporary Arts(한국현대미술의‘보편적 개별성) 강수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Korean Contemporary Art)을 대상으로, 동시대 우리의 삶/생활세계에서 조직된 특수한 미술의 지형과 예술적․조형적 의식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는 반대로, 지금 여기 한국 사회에서 산출된 현대미술, 구체적으로 한국현대미술의 경향과 개별 작가들의 작품이 문화예술의 층위에서 어떠한 지역적 정체성이나 공동체적 의식 및 감각의 변별점을 함유...
41. Modern Arts(한국근대미술에 있어 전일주의와 그 특성 연구) - 조경진
기타
2011.02.12.
oliviami
41. Modern Arts(한국근대미술에 있어 전일주의와 그 특성 연구) 조경진 근대라는 시기는 무엇보다 문화의 각 영역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는 곧 분화(differentiation)의 논리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분화는 인간과 문화의 세 영역 간의 분화를 말하는 것인데, 예컨대, 이성과 합리성이 주도하는 과학의 영역, 선의지와 도덕 감정에 의한 도덕의 영역, 감성이 주도하는 미적인 영역 간의 분화가 그것이다. 이러한 분화의 논리는 각 영역의 자율...
40. 민화 - 정효심 한국전통문화연구소 연구원
기타
2011.02.12.
oliviami
40. 민화 정효심 한국전통문화연구소 연구원 민화는 디자인으로 응용될 수 있는 DNA를 지닌 매우 독창적인 회화이다. 정통회화에 근거를 둔 민화는 '수복강령부귀다남壽福康寧富貴多男'의 상징을 표현한 그림으로 장식적 요소가 강한 생활화나 실용화로 근간을 이루고 있다. 민화는 회화적 요소와 더불어 디자인의 기본 조건인 합목적성과 심미성, 경제 성과 독창성을 지니고 있어 수요자들의 필요에 의해 변형 될 수 있다. 또한 민화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지만 현시대의 재현된 민화는...
39. 고분벽화(고구려 고분벽화) - 박아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공간/환경디자인
,
기타
2011.02.12.
oliviami
39. 고분벽화(고구려 고분벽화) 박아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20세기 초 발굴이 시작된 고구려(BC37-AD668) 고분벽화는 1990년대 한중 국교 수립으로 고구려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4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에 그 가치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된다. 또한 고구려 벽화는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같은 현존하는 부족한 문헌자료를 보충하는 시각자료로서 강대한 군사대국이자 뛰어난 문화 선진국으로서의 고구려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고대...
38. 예악 / 민속악 심화연구자 - 고병오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
기타
2011.02.12.
oliviami
38. 예악 / 민속악 고병오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 1장.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전통음악을 대상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의 요소를 찾고자 하는 심화연구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디자인 DNA”를 화두로 그것을 "발굴, 정립, 전파"하고자 하는 <한국디자인DNA 발굴사업>(지식경제부, 한국 디자인진흥원)의 일환으로, 한국디자인DNA추진단의 기초연구를 토대로 전통 디자인 및 현대 디자인 사례 수집에 의한 귀납적 연구방법에 따라 한국전통음 악에서도‘예악/민속악’...
37. 단원의 풍속화(문화재생산을 위한 디자인DNA - ‘단원다움’) - 변청자 미술학 박사 / 한국조형디자인...
기타
2011.02.12.
oliviami
37. 단원의 풍속화(문화재생산을 위한 디자인DNA - ‘단원다움’) 변청자 미술학 박사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사무국장 문화예술에 있어서 모더니즘(modernism)과 모더니즘 이후(post-modernism )를 구별하는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 태도의 문제일 것이다. 모더니즘이 문화를‘창조적 활동’으로 보려는 관점이라면 모더니즘 이후는 그것을 ‘생산과 소비’라는 입장에서 접근한다. 물론 이 두 가지 입장 모두에 ‘창조(creation)’라는 개념이 전제되어 있지만, 그것이 적용되는 범위는 사...
36. 겸재와 진경문화(우주의 구조와 원리를 조선의 산수로 풀어내다) - 이현경
기타
2011.02.12.
oliviami
36. 겸재와 진경문화(우주의 구조와 원리를 조선의 산수로 풀어내다) 이현경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은 조선후기 이전까지 당시 화단에서 중국적인 화풍을 고답적으로 모방하던 풍토에서 벗어나 조선의 실경 산수에 주목하여, 금강산을 비롯한 관동팔경과 서울의 명승명소(名勝名所)를 실제 답사하면서 체득한 경험을 토대로 조선적인 진경산수화풍을 이룬 화가로 높이 평가되어 왔다. 정선이 살았던 당시에도 정선의 화풍은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 하여 정선 이후 많은 화가들에게 반복적...
35. 추사와 실사구시(추사체에 나타난 파격(破格)과 고졸(古拙)의 조형성 연구) - 김정희 구립전북대 겸임...
기타
2011.02.12.
oliviami
35. 추사와 실사구시(추사체에 나타난 파격(破格)과 고졸(古拙)의 조형성 연구) 김정희 구립전북대 겸임교수 1장 연구배경 조선후기 실학사상과 서양문화가 유입됨에 따라 성리학을 기반으로 했던 전통적 사회의 붕괴가 심화되기 시작 할 무렵 추사 김정희(金正喜,1786-1856) 는 태어났다. 김정희는 실재의 일에서 옳음을 구하려는 실사구시적 자세를 기조로 두루 장점을 수용하는 절충을 통한 겸전(兼全)의 학문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학문의 자세는 그의 예술론을 형성하고 추사체에서 결실을 맺는...
<<
<
1
2
3
4
5
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