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4차산업혁명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트렌드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 리포트
해외 디자인 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4차산업혁명
HOME
>
트렌드
>
디자인 리포트
해외 리포트
총 277건
현재페이지 23/28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태국
호주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미국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싱가포르
영국
이탈리아
일본
중국
체코
프랑스
핀란드
홍콩
캐나다
전체보기
제품
시각
건축
인테리어
패션
공예
멀티/영상
종합
환경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Designer’s Days
2007.06.30
mari97
6월의 파리는 거리축제 천국이다. 6월 초에 거의 모든 학교들의 기말고사가 끝나고 고등학교 졸업시험인 바깔로레아도 끝이 나는데 어쩌면 관광객들만 남아 복작거리는 본격 바캉스 시즌이 시작되는7월보다도 더 풍성한 꺼리들이 빠리지엥들을 즐겁게 한다. 6월의 파리시내 대표축제라 한다면 단연 파리 디자이너의 날과 (Paris designer""s days 6월14일 부터 18일) 파리 음악축제 (La fete de la musique 6월 21 ) 라 하겠는데 그중에 이번달에는Paris designer""s days 를 소개해 보기로 하겠다...
크리스티앙 드 포잠박의 ‘도시를 꿈꾸다’ (REVER LA VILLE) 전
2007.04.30
mari97
┕ 전시회 포스터 그래픽 ┕ 전시회 포스터 이번 포잠박의 전시는 지난 3월21일(PALAIS DE CHAILLOT) 샤이오궁에 문을 연 CIT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의 오픈식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CIT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의 첫 번째 전시에 포잠박이 선택된 것은 그가 현재 프랑스 건축계에 어떠한 존재인지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크리스티앙 포잠박은 현재 프랑스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건축가 중 하나이다. 정치적인 목적이야 어찌했든 프랑소와 미테랑(Francois Mitterra...
2007 CIT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 건축과 문화유적관
2007.04.30
mari97
┕ 샤이오궁, 사진은 google 갤러리에서 이번 리포트에서는 2007년 3월 개관하여 건축인, 건축전공 학생을 넘어 일반인들에게 까지 많은 역할을 하게 될 CIT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에 대한 설명과 CIT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가 개관한 샤이오궁 (PALAIS DE CHAILLOT) 등의 주변 이야기를 해 보겠다. CIT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는 1878년 만국박람회를 위해 Davioud 와 Bourdais 에 의해 세워진 를 전신으로 1937년 만국박람회를 맞아 리폼된 샤이오궁의 한...
Patrick Blanc의 살아있는 식물벽화
2007.03.31
mari97
fondation de Cartier입구 열대식물 전문가, 식물학자인Patrick Blanc. 프랑스인들은 어떤 분야든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재능을 타고난걸까.. 그는 열대식물에 관한 열정은 식물 연구에 그치지 않고 살아있는 식물성 벽을 건축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중요한 요소로 끌어들여 적용한 아티스트로 인정받고 있다. 1988년 처음으로 살아있는 식물성 Vegetal wall을 라빌레뜨 과학공원 (la villette Parc de science) 에 최초로 설치함으로써 그의 작업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998년에 장누벨(...
프랭크 게리, 디디에 피우자 포스티노의Urban Art
2007.03.31
mari97
지난 리포트에서 도시 색을 바꾸는 공공교통, 트람웨이를 소개한 바 있다. 2006년 12월 개통된MARECHAUX트람웨이는Garigliano에서Porte d""Ivry까지 17개의 스테이션을 거치게 되는데 그 중간 중간에 9개의 도시예술 작품들이 함께 창작되었었다. 이 도시예술작품들의 중요한 역할이라 한다면 도시의 이미지를 바꾸고 나아가 어두울 수 있는 빠리 외각의 분위기를 재생시키는 데 있다고 하겠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예술성을 강조한 상징적인 작품들이 어떻게 도시에 녹아들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아홉...
도시색을 바꾸는 공공교통 TRAMWAY
2007.02.27
mari97
2년 전 에꼴불(ECOLE BOULLE) 재학 시에 트람웨이(TRAMWAY) 역 디자인 프로젝트를RATP 디자이너들과 산학 협력의 개념으로 진행한 적이 있다. (산학 협력이라고 해서 학생들의 디자인을 실제로 적용해서 상품화, 현실화하는 개념이 아니라 미래에 프로 디자이너가 될 학생들을에게 공공 디자인을 하기 전에는 어떤 것들이 연구되어야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어떻게 디자인을 하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실제 RATP 프로젝트에 참여한 디자이너들이 찾아와서 교수님들과 ...
ENSCI Open day 2007
2007.02.27
mari97
2007년도 오픈데이가2월 9일과 10일 양일간 프랑스의 대표적인 디자인 학교 ENSAD와ENSCI 에서 같은 날 동시에 열렸다. 이번해에 개교 25주년을 맞은 ENSCI는 작년 1500여명의 방문객 보다 훨씬 많은 2000여명 이상이 다녀갔다. 이번 오픈데이에서 가장 인기를 끌었던 부분이라면 단연 1층에 위치한 "Live"였을 것이다. "Live"는 졸업반 학생들의 졸업작품이나 학생들이 평소 진행한 프로젝트들의 프리젠테이션을 시간대 별로그야말로 라이브로 직접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만든 것이었다. 프랑스에서 명문...
Maison & Objet (메종 에 오브제) 2007
2007.01.31
mari97
패션계에 트랜드를 보기 위해 패션 디자이너들이 오뜨꾸뛰르 (Haute Coutre)와 쁘레따 뽁떼(Pret a porte)의 데필레를 주목한다면Maison & Objet(메종 에 오브제)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트랜드를 읽을 수 있는 대표적인 살롱이라 하겠다. 봄 /여름, 가을/겨울 시즌으로 일년에 두번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적인 살롱 Maison & Objet(메종 에 오브제)가 2007 봄/여름 시즌으로서1월26일 부터 시작되어1월 30일 22번째 그 성대한 막을 내렸다. 프랑스 최대 전시장인 Paris-Nord Villepinte PARC DES EXP...
붓없이 그리는 그림
2007.01.31
mari97
2005년에 폭스바겐의 신상품 발표에 맞춰 젊은 디자이너들을 후원하는 폭스 프로젝트로 인해 탄생하게 된 네델란드의 호텔 FOX는 한참동안 화제가 되었다. 우리는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예술작품에 가까운 일러스트들이 그려진 방들을 볼 수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단순한 벽지가 아닌 그래픽 이미지가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줄 수 있는 효과들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기회가 되었었다. 요즈음 프랑스에서는 텔레비젼 채널 중 하나인 M6에서는 Valerie Damidot 라는 데코레이터가 진행하는 집을 새롭...
Le Mouvement des images
2006.12.31
mari97
퐁피두에 수많은 전시 중에 특히나 관심을 모았던 Le Mouvement des images(이미지들의 움직임) 라는 테마의 전시를 소개해 보려고 한다. 이 전시는 영화를 중심으로 20세기 예술 전반도 함께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번 전시는 영화를 이루는 4가지 기본요소(defilement, projection, recit , montage)를 소주제로 4개의 부분으로 구분 되었는데 디지털 혁명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요즈음에 고전적인 방식의 옛 영화에 대한 또 다른 경험을 할 수 있었던 소중...
<<
<
19
20
21
22
23
24
25
26
27
>
>>